국제공연예술프로젝트
-
[리뷰] "2011 한국을 빛내는 해외무용스타 초청공연" 1막REVIEW/Dance 2011. 7. 11. 07:00
Sergio Bustinduy(스위스 바젤 발레단)의 「Feel Good」(안무: 허용순) ▲ Sergio Bustinduy 휴대폰의 울림과 전화를 받으며 무대에 올라오는 남자, 다소 상투적인 등장은 무대의 긴장을 지우고, 이어진 춤은 화려하고도 경쾌한 막을 열기에 충분하다. 상의를 노출한 채 빠른 무대와 움직임의 전환, 활기차게 추며 맛깔 나는 무대를 선보인다. 그 역동적이고 활기찬 음악의 흐름과 중간 중간의 임팩트를 박자를 지정하는 손짓이나 몸짓으로 상쇄하며 무대를 달궜다. 김유미 & Jacob Bush(미국 애틀란타 발레단) 「에스메랄다」중 파드되(안무: Ben Stevenson) ▲ 김유미 고아한 표정과 자신감을 안은 김유미는 텅 빈 무대에서 완전히 빛과 넓은 터전에 놓인 낯섦을 상쇄하듯 매우 꼿..
-
[리뷰] "2011 한국을 빛내는 해외무용스타 초청공연" 2막REVIEW/Dance 2011. 7. 11. 07:00
K Arts 발레단 「Inspiration II」(안무: 조주현) ▲ 조주현 「볼레로」© 최성복 2막의 첫 번째 무대는 익숙한 볼레로 음악에 맞춘다. 다리 보폭을 넓게 서서 손 밀며 움직이는 동작들은 매우 분적절인 시현이다. 격정적 달리기와 몸을 펼치고 뻗고 하는 동작은 멋진 한편, 이질적으로 보인다. 손의 팔랑거리는 움직임 등 각기 서로 다른 표현들은 조명의 비침에 따라 나타나서 낯선 느낌을 준다. 앞 사람으로부터 리듬이 달라지는 다른 움직임의 출현, 단조롭고도 점증되는 음악에 모던하고 깔끔하고 건조하게 푸는 동작들은 세련되고 절도 있다. 한편 그 음악의 엉뚱함에 새로운 동작들을 서슴없이 포용한다. 곧 음악이 갖는 추상적이고 무형의 시간에서 연결 마디를 잔상으로 가져가며 맺고 끊음을 분명히 하여 단독자..
-
제11회 서울 국제 즉흥춤축제 리뷰, 16일 그룹 컨택 즉흥REVIEW/Dance 2011. 5. 14. 07:40
▲ 에오시 무용단의 즉흥 모습 보통의 즉흥은 음악과의 에너지적 충돌과 마찰, 밀접한 관계 내지 그룹을 만드는 가운데 영향의 주고받음으로 관계, 두 축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경우가 많다. 음악이 만드는 내러티브, 리듬, 에너지 층위는 무대 전체로 확대되고 이 영향권 아래서 움직임 또한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다. 다만 이것이 시작 지점에서 동기와 이야기를 전한다면 이후 움직임에 그것이 덧입혀지는 측면도 크고, 이는 어차피 음악의 영향권 아래 움직임이 영향을 받고 있음을 뜻하면서 동시에 시선의 영향권까지 확대되는 것을 의미한다면 움직임은 그것을 전복하고 때로 침묵하며 축을 새로 틂으로써 음악의 양상을 변화시킨다. 즉흥은 의외로 탈코드의 탈주 전략을 일관되게 펼치는 것만이 아닌 코드를 쌓아 가는 코드의 방향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