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최은진 <유용무용론>: 춤의 의미와 당위, 그 혼란으로부터
    REVIEW/Dance 2014. 10. 21. 17:41

    ▲ 최은진 <유용무용론> [사진 제공=LIG아트홀]

    최은진 <유용무용론>은 유용한 것을 일상의 노동/행위로 두며 그 대척점에서 무용(舞踊)을 무용(無用)함으로 치환한다. 그리고 이 무용(無用)한 무용이 유용한 행위와 맞닿을 수 있는 지점을 모색한다는 식으로 이 작품의 테제를 선언한다. 그에 따르면, 그 말 이전에 발생한, 위성희가 객석에 있는 의자를 옮기고, 윤상은이 안무를 소화하는 두 대립된 장면은 춤무용론을 입증하는, 그리고 춤과 노동이 분절됨을 보여주는 작위적인 재현의 장이며, 앞으로 춤유용론의 경계를 만들어질 것으로 보이게 된다. 그런데 이것이 가능한 것인가. 아니 그 당위 자체가 요구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일까. 노동과 춤의 유용함의 기준 자체가 다르기 때문이다. 오히려 춤이 사회적 기준에서 벗어나기에, 곧 유용하지 않기에 그것은 결과적으로 유용한 것이 아닌가. 어쩌면 최은진은 안무에 대한 중압감과는 별개로 그녀가 언급한 온전히 춤추기(로)만 지속할 수 없는 현실과 춤의 좁은 영역의 어긋난 균형에서 그 둘을 인접하게 두며 마치 환상적으로, 현실로부터 무대로 탈피하고자 한 것은 아니었을까. 유용함의 기준이 지배하는 현실을 가지고 옴으로써.
     
    그럼 실제 안무는 어떻게 조직되는가. 행위와 움직임의 접합은 그녀가 정사각형의 비닐을 무대에 깔고 화분 하나를 옮겨 심는 과정에서 드러난다. 위성희가 스티로폼을 뜯기 시작해 최은진이 흙을 퍼 담고 윤상은이 나무를 들고 하는 과정은 뚜렷한 목적의 결과를 지향하는 가운데, 그 중간의 흐름 자체를 안무화한다. 그 동작들이 결코 최적의 노동의 흐름은 아니므로 결과에서의 효율은 그리 높지 않다. 위성희는 눈을 감고 스티로폼을 뜯는 과정에서 리듬을 부여하는 가운데 마치 한국무용의 가락을 체현하는 듯하다. 이는 행위와 일종의 오브제(스티로폼)가 생성하는 안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단순히 한국무용을 전유해서 그것을 나타낸 것이 아니다. 그렇다면 어쨌건 행위가 안무화되며 새로운 움직임을 낳았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가능성은 일회적이고 우발적이며 그래서 미미하다고 보인다.

    우선 그 전에 최은진이 말을 객석에 던지는 순간으로 돌아가자. 최은진이 고개를 돌리면서 말을 던지고 신체는 그 반대편으로 여전히 작동하고 있을 때 그 순간은 꽤 길게 느껴진다. 순간의 영원 같은 그 순간은 말이 신체로 신체를 앞서 나가는 그런 순간이다. 동시에 말이 신체를 앞지르며 발생하는 안무이며 말과 신체가 교직하며 둘의 시차를 가지고 나아가는 그런 안무가 된다. 이는 그녀의 지난 작품인 ‘신체하는 안무’의 연장선상에 있는데, 말을 하며-신체를 관찰하고 설명하고, 움직임을 서술하기도 한다-그 말의 효과와 함께 움직임을 추동해 가는 것이다. 말은 결코 신체 바깥에 있지 않으며 신체 내재적이고 동시에 신체 외재적이다. 곧 후자의 층위에서는 말은 표현, 발설됨을 통해 기능하고 가시화된다. 그 말과 신체를 같은 레벨에 둠으로써 현재 진행형의 안무에 접근해 가는 것이다.

    사실 ‘신체하는 안무’ 시리즈를 만들어 나가는 차원에서, 이번 작품을 구상해도 됐었을 것 같은데, 춤의 의미를 담론화하는 것에 머무는 대신 춤과 일상을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안무의 방법론을 모색하는 과정의 중간에 위치한, 이번 안무 방식은 결과적으로 그 안무 자체의 표현 형식이 그녀의 처지, 나아가 무용계의 현실 제도를 가리키는 식의 렉처 퍼포먼스로 전이된 것에 가깝게 됐다(물론 그 뒤로 세 무용수 모두 ‘신체하는 안무’를 일부 짧게 재현적으로 반복하기는 했다). 하지만 그 행위와 춤의 접합이 사실상 어떤 희극적 장면으로 거듭나는 가운데, 그녀가 던진 질문의 무게는 사실상 해소되지 않고 유예된 것에 가까웠다. 춤이 유용하려다 무용하게 되는 어떤 흐름은 실제 우스꽝스럽게 그 질문 자체에 화답하는 결과를 보인 것이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그 질문이 일종의 그녀에게 실제적으로 자리하는 중핵의 질문이라고 할 때(그것이 아니라면 정말 문제가 있다, 또는 애초 질문이 잘못 됐다.) 그것은 거리 두기를 통해 바라보게 되는 그 유희적 향연이 그녀 스스로에게 대답을 줄지는 의문이었다. 결국 화분에 옮겨 심어진 나무 한 그루만 놓고 사라지고 서정적 팝이 나오고, 으레 조명이 사라지며 화분에 은근한 조명의 중심을 두고 끝이 나는, 그러니까 춤과 무용수가 아닌 화분을 비출 때, 춤은 환영의 행위로 사라져 간다. 그리고 이는 꽤 허전했다. 그것이 상투적 결말에 대한 메타적 풍자인지, 곧 유용도 무용도 하나의 화분이라는 결과 안에서는 그 경계가 무색한 것임을 드러내는지, 그것도 아니면 환영으로만 결국 남는, 남을 수밖에 없는 무용의 무용론을 고집스럽게 또 은유적으로 가져가는 것인지는 다소 불분명했다.

    김민관 기자 mikwa@naver.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