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모다페 2012》 수잔델랄센터(Suzanne Dellal Centre), ‘소극적 양상의 가상을 입다.’
    카테고리 없음 2012. 5. 29. 08:00

    <The Diplomats> : 군중의 중심을 형성하는 것의 은유

    ▲ 수잔델랄센터(Suzanne Dellal Centre) <The Diplomats>, ⓒGadi Dagon [사진 제공=원더스페이스]

    실재적인 사운드의 매질이 전해지며 가벼운 움직임이 긴장감을 돋우며 퍼지고 여섯 명은 공기를 바깥으로 퍼뜨리며 흩어졌고 개별자만이 춤을 생경하게 그 안에서 시선에 의해 대상화됨을 외면하며 춘다.

    이 가벼움은 무거움의 음악적 힘을 의기양양한 미소로 전유한다. 음악은 국가 행사에 쓰이는 그런 음악으로, 각자 다른 현대의 보통 사람을 상정하는 개체 둘은 의상을 통한 차이로 나타나고 이 영광스러운 음악을 유희적으로 전유하며 마치 꼭두각시 같은 몸짓들로 자리한다. 이 유희적 몸짓이 군무의 정확한 일치의 흐름을 보인다는 것이 아이러니하다.

    ▲ 수잔델랄센터(Suzanne Dellal Centre) <The Diplomats>, ⓒGadi Dagon [사진 제공=원더스페이스]

    적당한 거리에서 형성하는 불가능한 간격이 기입된다. 다수 앞 한 명은 구경거리로 비하되지만 그 누구도 고귀함을 내세울 순 없다. 이 거대 서사는 환영을 불러일으키지만 이것이 환영임을 알리는 그 바깥에 실재를 제시할 수 없음의 허무함까지 갖는 음악에 작품은 곧 개별의 무용수들의 관계는 한시적이고 덧없는 유희로, 또 코드화된 식의 관계로 펼쳐진다.

    개체는 음악에 전염된 군중에서 음악에 어떤 진동 상태에 이른다. 좀비 같은 상태로 불완전 연소한다. 음악이 늘어지고 개체화되며 환영의 현상으로 뿔뿔이 흩어지며 무화될 때 이것들을 하나로 할, 하나의 주체로 호명할 힘인 상위의 존재를 요구하게 된다.

    ▲ 수잔델랄센터(Suzanne Dellal Centre) <The Diplomats>, ⓒGadi Dagon [사진 제공=원더스페이스]

    그리고 음악이 마침내 아니 또 다시 하나의 목소리로 강력한 힘으로 현상될 때, 실재의 힘으로 제시될 때 숭고함이 빚어지고 감동으로 젖어든다. 마치 이 개체가 되는 것의 시도가 쓸모없음, 불필요함을 자각이라도 한 듯 그리고 경멸의 시선은 이제 한 명씩 한 명을 다수가 둘러싼 채 밝아지는 미소로 그 음악에 미소로 감응됨을 나타내고 국가에 맞춰 가슴에 손을 대고 그것을 맞듯이 존경의 제스처를 취한다.

    애국심이 형성되는 과정이 묘사되는 또는 그것이 징후적으로 드러나지만, 이것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유지하기보다는 오히려 유희적인 느낌으로 감각되는 데 주안점을 두는 듯 보인다.

    <WONDERLAND(PART1)> : 가상의 연극

    ▲ 수잔델랄센터(Suzanne Dellal Centre) <WONDERLAND(PART1)>, ⓒGadi Dagon [사진 제공=원더스페이스]

    깜깜한 극장에서 무대 위에서부터 불을 켜달라는, 또 누구 없냐는 말을 관객 사이에서부터 성립시킨다. 이는 실제 현실을 관객으로부터 이루며 관객을 초과하는 목소리다.

     

    막을 열었을 때 복식은 지난 어느 시대를 상정한다. 한 명에게 구조물품을 전한다. 하나의 연극은 이 현실이 환영임을, 곧 춤을 드러내지 않으며 객관화된 실재를 전함을 유예함의 사실의 여지로 남겨두는 것이다.

    밝게 피어오르는 오브제를 무대 바깥에 최후의 남자까지 갖고 사라지고 나자 실재의 매질을 가리키는 소리의 파편들이 전하는 심상찮은 대기가 꿈틀거리고 이들은 한 곳을 어둠 속에 응시하고 있다.

    ▲ 수잔델랄센터(Suzanne Dellal Centre) <WONDERLAND(PART1)>, ⓒGadi Dagon [사진 제공=원더스페이스]

    그리고 다시 깔리는 소극(笑劇)의 양상을 빚는 것 같은 음악에 모두가 누워 있고 그 일렬로 무대 상수와 하수를 잇는 행렬을 몸을 타고 이동하여 무대 하수의 잠든 여자에게 키스하며 끊임없이 거부당하는 남자의 모습에, 춤이 흥겨운 정신없이 분산되는 무대의 이 극적 결을 따라 퍼질 때 탄생하는 춤은 또 다시 밀도가 높지 않다.

     

    팡파르를 울리며 악기가 고요함 속에 퍼지며 무대 위 네모난 사각형의 조명으로 만들어진 바닥에 양복을 입은 남자가 현실과 그 속의 신분을 상정하고 그 얼굴에 옷을 덮어씌우고 여기에 여자는 한껏 경멸을 지껄인 후, 남자는 현실을 여러 실재로 하는 경계에서 환영으로 기능한다.

    그리고 다시 처음 군중으로의 각 개체의 모습들, 그리고 우스꽝스러운 군무의 남자들이 여자들을 뒤에서 살며시 껴안고 사라지자 여자들은 정신이 혼미해진다. 이내 한 여자가 혼절하고 마는데 음악에 맞춰 사랑의 열병을 묘사한다.

    ▲ 수잔델랄센터(Suzanne Dellal Centre) <WONDERLAND(PART1)>, ⓒGadi Dagon [사진 제공=원더스페이스]

    채워지지 않는 가슴에 관객을 향해 자신의 울분을 주어 삼킨다. 여기서도 연극의 흔한 제스처를 역할에 대한 거리를 형성 않는 식으로, 관객의 의식에 역할로서 직접 결합한다.

     

    남자가 모두가 누워 있는 가운데 이 음악에 힘겹게 몸을 담그며 춤춘다. 이는 음악에 대해 몸을 환영으로 두는 것이다. 이는 다시 연극적인 서사를 음악을 통해 진행시키고 몸을 거기에 적응시키는 것과 같았다.

    ▲ 수잔델랄센터(Suzanne Dellal Centre) <WONDERLAND(PART1)>, ⓒGadi Dagon [사진 제공=원더스페이스]

    모두 갈등을 흔한 말다툼의 표정으로 탈바꿈하고, 검은 옷의 복식으로의 전이가 부르는 ‘존재에 대한 상실의 의미’는 누군가가 의식을 잃음으로 가시화되며 그 의미를 남김없이 소진하게 된다.

     

    거기에서 또 다른 각축의 우스움으로, 다시 유희의 덤으로 무대를 나눔, 그리고 이런 관객을 향한 유희적인 제스처와 빈 몸짓들이 일견 신선함으로 주는 듯 보이지만 실은 춤의 실재에 대한 고통의 감각과 시간의 종합이 만드는 경험을 가로막는 가상의 힘으로 작용될 뿐으로 보인다.

    [행사 개요]
     
    행사명 : Modafe 2012 [제31회 국제현대무용제]
    행사장소 : 한국공연예술센터(아르코예술극장, 대학로예술극장),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외
    행사일정 : 2012년 5월 19일(토) ~ 5월 31일(목)
    주요제작진
    - 총 예술감독/조직위원장 : 한선숙 ((사)한국현대무용협회 회장/ 상명대 교수)
    - 자문위원 : 박상규(상명대문화예술대학 원장), 손영신(NEWSIS 사업본부장), 양종훈(상명대디지털이미지학과 교수), 이두식(홍익대미대 교수), 안호상(국립극장 극장장), 장 진(필름있수다대표, 영화감독), 전무송(연기인), 정현욱(원더스페이스 대표), 정창모(한국,미국 공인회계사), 최진용(의정부 예술의전당 사장)
    - 모다페 홍보대사 : 양정수(수원대 무용과 교수), 박상원(배우)
    - 국내공연 감독 : 최성옥
    - 해외공연 감독 : 최상철

    김민관 기자 mikwa@naver.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