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13 마로니에여름축제] 팩토리1+1+1 <Salon de Factory>: '춤의 메타적 리서치'
    REVIEW/Dance 2013. 8. 15. 20:32


    ▲ [2013 마로니에여름축제] 팩토리1+1+1 <Salon de Factory> 까페에서 먼저 일시적으로 체험한 이후,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으로 옮겨갔다 (이하 상동)


    무용수만큼의 여러 흐름으로의 무용수들은 춤을 느슨하게 추며 넓게 퍼졌다. 관객 한 명씩과 네트워크하고 중앙의 무대로 끌어오기 위함이었다. 이는 곧 관객과 중앙의 경계를 허물며 하는 자와 보는 자의 경계를 역시 소멸시켰는데 이는 몇 그룹으로 나뉘어 각각의 무용수가 순환하며 갖가지 제스처를 취해 관객의 주의를 허물고 멈춰 있음의 긴장을 해소시켰다. “나는 지금 무대에 섰다”는 것을 전제하며.


    어떤 놀람의 반응이 관객을 무장 해제시키는 것이다. 갖가지 상징적 기표들, 이는 어떻게 튀어나오는 것일까, 각종 의성어로부터 대사의 편린들은 어떤 근거로 튀어나오는 것일까. 이는 우연한 것, 우발적인 것을 떠나 어쩌면 익숙한 것으로 그렇게 스쳐지나가는 것들이다. 그래서는 정확히 무용 자체의 관습적인 부분을 따르기보다 일상에서 구체적인 것을 닮아 있다. 영상에서의 인터뷰 채집을 통한 이름이 뭔가로 혈액형 따위, 절규들의 익명인과 관계 맺기를 구성한다.


     이들이 춤보다 또한 무대보다 ‘우리의 삶’으로부터 먼저 출발하고자 하는 이들의 예술적 목적과 의도를 가리키고 있었다.


     무용에서 말을 벗어나기는 힘든 반면 그 전에 말을 더하기 역시 쉽지 않다. 기존의 춤이 말을 갖기 어려운 만큼 춤에 말을 섞는 것은 다분히 실험적인 의미가 된다.



     이들은 이 말의 자리를 더하기 위해 연극배우를 집어넣는다. 그리고 15년째 취미로 연극을 하며 지겨워지면 그 취미를 그만두라는 그의 아버지의 불인정에 대한 삶의 고백을 한다. 


    그는 그 앞에서 미친 듯 어지러이 춤추는 무용수들 앞에서 술 주정식의 연기를 한다. 이는 그의 삶을 비관하는 삶의 한 부분의 재현 같기도 하고, 어쩌면 자신의 직접, 나아가 삶을 인정 않는 아버지의 모습이 된 것도 같다. 이들의 춤은 클래식하고 경쾌하고 팔다리를 매끈한 선분으로 그어졌지만, 곧 거친 퍼포먼스로 넓게 퍼져나가는 식의 움직임이 더해지는 식으로 진행됐다. 


     ‘더 잘 먹고 살기 위해’라는 슬로건을 만들었다. 한 단어 당 한 동작을 관객에게 인지시킨 후 동일한 움직임이 나오면 단어를 내뱉게 해서 풍선 터뜨리기, 탑 쌓기 등은 관객의 주의와 시선을 안고, 집단적인 퍼포먼스의 장으로 나아갔다. 


    연극하는 이의 자의식을 봤다면, 춤추는 이의 자의식은 무엇일까. 물론 직접적인 발화로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이들의 적극적인 소통, 그를 위한 리서치, 사회로 직접 나가는 것의 시도 등은 춤과 관련한 제도적인 것, 춤이 사회 속에서 성립하는 전제에 대한 인식, 그리고 춤을 사회에서 다시 출발하게 하는 것 자체로 춤을 재정의하며 거기서부터 출발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춤 자체의 완성도, 그 내재적인 춤의 결을 보는 문제는 차라리 부차적이다.


    김민관 기자 mikwa@naver.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