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병준 <모든 것을 가진 작은 하나Ⅱ>: '분산과 합산으로서 협업'REVIEW/Interdisciplinary Art 2013. 8. 16. 05:37
▲ [탁월한 협업자들]전 포스터 [제공=일민미술관] 기타 연주와 무용수, 비닐봉지의 표피라는 기표, 일상에서 채집한 사운드로 뒤섞이고 반면 그 비닐봉지의 속은 그 끝은 절대로 드러나지 않고 다만 그것의 불가능성을 구현하고 동시에 그에 맞설 때뿐이다. 내지는 그것을 전제로 삼으며 나아간다. 아니 부유한다. 이 표면에서 울림 나아가 존재의 삼항조는 표현 불가능한 실재로서 표면, 울림 위에 퍼지는 언어들의 합산이란 상징적 코드, 존재 이전에 단편적 몸부림이라는 상상적 영역으로 세 층위의 합산으로 이어진다. 무용수의 춤은 이 공간 위의 적응이 아닌 환경에의 타자 되기, 그리고 음악과 함께 사라지기에 가깝다. 음악, 영상, 몸이 합산되고 서로에게로 융화되어 울림의 리듬, 움직임의 ‘반복’됨이라는 하나의 구문으로 ..
-
김현탁, 연극 <성북동갈매기>: '연극과 현실의 경계에 대한 재환기'REVIEW/Theater 2013. 8. 16. 03:33
▲ 극단 성북동비둘기, 연극 (연출: 김현탁) 는 기존 원작에 대한 재현 도식과 재현하고 있음의 메타 의식의 재전유 전략이 공존하며 실재와 가상의 경계를 끊임없이 전도하며 지속한다는 것에 유의해서 볼 수밖에 없다(이것은 포스트모던 이후의 연극의 한 대표적인 그리고 성공적인 전략이라 할 수 있을까). ‘트레프레프’는 무대 주변부를 어슬렁거리는 ‘니나’라는 짐을 떠안으며 무대 밖에 구질구질하게 정박해 있는가 하면 빈 무대를 두고 와 뜀박질로 그 부재를 오히려 드러내는 방식으로 존재하기도 한다. 강과 일상이라는 원작의 공간 관련한 알레고리는 무대와 (관객과 영역/무대를 공유하는) 무대 밖이라는 좁은 현실로 치환되는 듯싶다. 적어도 사각 프레임의 무대 바깥은 해안이라는 경계는 된다. 강은 이 무대 너머에 있다...
-
<영원한 침대>: '미완성의 모색들'이 가진 미학REVIEW/Interdisciplinary Art 2013. 8. 16. 02:56
▲ 콘셉트 이미지 [제공=LIG아트홀] 배우들은 공간의 각기 다른 곳에 위치해 있다. 일상을 환영으로 전도하는 이 ‘위치함’은 이들이 분명 같은 공간에 있지만 배우라는 암묵적 전제가 자리한 채 특정한 피사체가 되며 동등한 입장에서 의미 교환을 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환영적으로 자리하는 배우들의 움직임을 열어주는 건 연출의 개입인데 이는 기존의 비가시적인 연출의 영역의 경계 허물기나 아니면 또 다른 역할로의 극 내재적인 등장으로 보기에는 모호한 부분이 있다. 연출은 거의 들리지 않는 입만 뻥긋하는 듯한 말을 흘려보낸다. “말은 명령어”(들뢰즈)로 직접 작용하며 이 정지된 피사체의 접근 불가능함의 영역을 붙잡을 수 없음의 유동하는 흐름으로 바꾸어 놓는다. 마치 어떤 영감과도 같은 이 ‘들리지 않음’의 말은..
-
박나훈 <이웃>: '이웃으로서의 타자'REVIEW/Dance 2013. 8. 16. 02:48
▲ 박나훈 포스터[=박나훈 무용단 제공] 로비에서 박나훈과 김준기는 관객과 경계선을 긋지 않고 ‘어느새’ 출현한다. 이미 ‘정시’라는 관념과 그것을 둘러싼 침묵까지가 공연의 일부로 말려들어가고 있다. 영어 교육용 발음 청취 테이프의 무작위적인 재생은 그 자체의 리듬 패턴을 그리며 단속적인 출현의 텅 빈 기표의 흐름으로 이어진다. 이는 춤에 대한 직접적인 묘사도 춤이 가져가야 할 정서 역시 아닌 반면, 이 단어들과의 마주침은 이 두 남자가 각자의 영역을 그리며 맞닿고 떨어져 가는 단속적인 접속과 흩어짐과 같이 그저 나타남과 반복을 가능케 하는 순간적인 구성이라는 역량 아래 있다는 점에서 닮아 있다. 어깨를 맞대는 친밀한 인사와도 같은 제스처는 이 공연의 하나의 모티프이자 제사(題詞)이다. 이웃이기에 가능한..
-
연극 <왕과 나>: '변전의 연기술'REVIEW/Theater 2013. 8. 16. 02:43
▲ 7월 4일(목) 두산아트센터에서 열린 연극 「왕과 나」 프레스콜 (이하 상동) 현재진행형으로 펼쳐지는 사건의 나열, 코러스 진행은 재현이 아닌 표현의 한 평면으로 융해되는 변전술을 이룬다. 관계의 장에서 형성된 말이 순식간에 독백으로 옮겨지며 달라진 상황을 인식한다. 배우들은 어쿠스틱 기타의 주선율 아래 코러스가 은근하게 더해지며 ‘공동의 안무’를 취한다. 가령 둘의 손을 맞잡음은 ‘표현의 층위’에서 펼쳐진다. 곧 두 사람이 허공에 손을 뻗고, 이는 두 사람이 이미 손을 맞잡은 것으로 ‘서술’에 의해 표시된다. 이는 은밀한 접촉을 더 넓은 공간으로 확장되어 감질나게 둘의 스킨십을 표시한다. 철 지난 트로트는 시대착오적이거나 퓨전 식의 덧댐이 아닌 이전에 ‘흘러가는 시간’, ‘지나간 것과의 조우’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