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철인 안무, <0g>: 속도를 체현하기, 그리고 이후의 것은.REVIEW/Dance 2019. 6. 28. 16:13
▲ <0g>ⓒAiden Hwang [사진 제공=국립현대무용단](이하 상동)
길게 줄을 돌리고 그보다 빠르게 달려 거기를 뛰어넘는 퍼포머들, 그리고 혼자 남아 그 줄을 돌리는 퍼포머. 전자가 바깥으로의 장력에서 시작된다면, 후자는 그 스스로가 칭칭 감기며 속도의 중심은 계속 변전된다. 두 장면에서 미치는/닿는 힘은 다시 음악의 출력으로 상승된다. 그러니까 <0g>는 현란한 몸 동작이 아닌 움직임의 속도, 그 속도가 어떤 힘의 작용 아래 구현되는지를 보여주고자 하는 작업이다. 그렇다면 순전히 물리학적인 몸의 방정식에 가깝다. 반면 힘껏 달리다가 어느덧 바닥에 누운 사람들을 홀깃 뒤로 보며 가는 남자의 시선은, 이 작업을 일종의 내러티브를 내포한 작업으로 볼 수 있는가라는 의구심을 일으키기에 충분하다.반사신경의 반응, 공간의 위치 확인이라고 보기에는 그 시선은 머무르는 것이었다. 이러한 시선은 실재적이라기보다 연극적이며, 게임의 룰만 있는 일종의 물리적 속도전에서 관계의 틈을 예고하는 것이다. 이러한 속도전에서 ‘짜이는’ 몸들은 서커스의 기예를 상기시킨다. 육박하는 몸들은 우리의 시선이 제어하는 것이라기보다 우리의 시선을 제어한다. 왜냐하면 시선은 그 움직임을 따라 가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으면 시선의 이유는 없어진다.
여기서 무대 뒤에 위치한 쾅 프로그램은 이 작업에 힘을 실어주는 것일까. 음악은 보통 무용 공연이라는 것에서 그렇게 이해되고는 한다. 곧 부차적인 것이자 보조적인 것으로 인식된다. 사운드는 오히려 이 곡예 체제에서 일정 정도 그 속도에 맞춰 상승을 추동하면서도, 이 곡예에 외부적인 차원에서 유일하게 단락을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다. 그 움직임이 멈추지 않는 한.
밴드는 문이 닫힌 무대 뒤에 위치해 있고 음악이 커질 때 문이 열리므로 움직임에는 의도치 않게(?) 시각적 단락이 생긴다. 또한 드럼 베이스의 음악은 그 자체로 움직임과 합치되지 않는 밀도의 단락을 만든다―잘게 나뉘지 않고 퉁 내리꽂힌다. 이전에 이 공연에 비해 추가된 음악은 그런 차원에서 이 작업을 유일하게 다른 차원으로 순간 만들었다. 그렇지만 다시 돌아와서 이런 서커스 차원의 몸은 그 속도가 다하고 나서는 단락된 현재만을 안기는 것이다.
[공연 정보]
공연명: <0g>
공연 일시: 6.14.(금)~16(일) 금 8PM, 토·일 3PM
공연 장소: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제작진:
ㅇ 안무: 정철인
ㅇ 음악: 쾅프로그램
ㅇ 의상: 최인숙
ㅇ 출연: 류지수 문경재 전중근 정철인
[프로그램 정보]
제목:국립현대무용단 픽업스테이지 <스텝업>
장소: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PART 1
일시: 6.7(금)-9(일)
작품: <디너>(안무: 이재영), <무용학시리즈 vol. 2.5: 트랜스포메이션>(안무: 이은경)
PART 2
일시: 6.14(금)-16(일)
작품: <0g>(안무: 정철인), <여집합_강하게 사라지기>(안무: 최강프로젝트)
김민관 편집장 mikwa@naver.com
728x90반응형'REVIEW > D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서울변방연극제, <미니어처 공간 극장>(안무: 허윤경): 관객을 제1의 전제로 배치하기 (0) 2019.08.04 최강프로젝트 안무, <여집합_강하게 사라지기>: 보기의 시선을 분할하다 (0) 2019.06.28 이은경 안무, <무용학시리즈 vol. 2.5: 트랜스포메이션>: 리듬 생산―비워지며 채워진 몸 (0) 2019.06.28 이재영 안무, <디너>: ‘일상의 시공간을 무대화하기’ (0) 2019.06.28 <Utopia : [고래]>: ‘유토피아는 어떻게 가시화될 수 있는가’ (0) 2019.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