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림 앤 비전 댄스 페스티벌] 극적 연출들의 묘REVIEW/Dance 2009. 7. 21. 23:34
심새인 안무, 「Invitation」은 폭력을 실재화하며 극적으로 진행되었다. 골방에 갇혀진 세 남녀 사이에서 나머지 둘을 죽여야 최종 승자가 된다는 지령이 하달된 듯하다. 홍일점 여성은 약간의 백치미를 품은 젤소미나 같고, 성적 정체성이 갖춰지기 전의 순수한 인간의 따스한 스킨십을 갈구하는 듯 보인다. 그에 반해 두 남자는 한 명은 폭력적이되 여성에 대한 성욕을 발산하는 중 그에 빠져 게임에 룰을 잠시 잊는 가운데 죽음을 당하고, 나머지 한 남자는 여자를 구하려는 듯하다. 그러나 여자에 의해 남자가 죽자 여성을 위로하는 척하다 여자를 죽이고 비열한 웃음을 띤다. 그리고 그 역시 죽음을 당한다. 이 모든 게 쇼라고 중간 끊어 가는 가운데 ‘발설’하는 것은 폭력을 적당히 무화시키려는 의도가 아닌 현실에 간..
-
드림 앤 비전 댄스 페스티벌] 단단한 몸성의 확인 | 무용REVIEW/Dance 2009. 7. 21. 23:29
지난 4일 공연들은 주로 몸을 어떤 식으로 구조화하거나 전표현적인 표현을 구가할 것인지 내지는 춤의 다양한 무늬들의 잠재성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몸에 대한 춤의 고찰이 두드러졌다. 손정민 안무의 「Puzzle」에서 유동하는 육체는 진공 상태에서 사운드가 전하는 매질의 촉각적 전이 가운데 펼쳐졌다. 즉, 존재 차원에 대한 집중을 요했다. 시계 소리, 찰칵, 압력솥 소리 등의 물질 차원의 소리는 진공 공간의 특성에 붙박이처럼 단단하게 정박하며 무용수들의 긴밀한 결합과 공조가 이뤄졌다. 한 명은 의도적으로 거기서 배제되는데, 둘이 형성하는 그 장력이 탄탄해서 들어설 수 없음으로 벗어남이다. 이는 곧 에너지 층위의 형성이라고 할 수 있었다. 배제되었던 그녀가 중심축에서 벗어났다가 다른 두 명이 바깥으로 동심원의 ..
-
[모다페 2009] 국내외 초청 작품들_화끈한 무대 셋REVIEW/Dance 2009. 6. 15. 18:05
김경영, Susanna LEINONEN, 최상철 김경영 타악, 그것은 실재적이고 직접적이며 공명의 코드를 지니지만 그 웅장한 자극에도 폭력이나 거친 숨의 맥박을 가지진 않는다. 전체적으로 작품은 북의 조율 하에 상승과 휴지, 그리고 반복의 구조를 통해 나아갔다. 모든 것은 빠른 속도와 미적 편재의 순간적인 자취를 보여 주는 데 그 묘가 있었고, 선분을 긋고 2인무에서 군무 사이를 오가는, 그리고 집단과 집단의 교차 작용을 통한 구조를 만드는 것으로 그 흐름을 이어갔다. 하나의 이미지 질서는 곧 흐트러질 운명에 처하고 다시 만나 확장되는 미래를 예고한다. 무용수들은 굴곡으로 자리하고 비슷한 몇 가지 동작은 하나의 계열선상에서 순차적인 조합을 이루며 안무를 만든다. 단순하지만 편재와 배치 구조를 만드는 것,..
-
[모다페 2009] 무용에서 ‘언어의 발설’이 갖는 의미REVIEW/Dance 2009. 6. 15. 17:12
국내초청공연 안무가 이혜경, 김형남, 유호식 전체적으로 세 편의 작품들을 보면서 왜 춤은 몸을 드러내지 못하는지 고스란히 몸의 언어로 말하지 못하는지 하는 생각들을 불러일으켰다. 마지막으로 펼쳐진 은 색다르고 재미있었다. 놀라운 것은 어떻게 무용수들이 이야기의 구조에 적합하게 안무적인 몸짓들을 체화했는지와 천연덕스러운 역할 되기였고, 언어 사용에 있어 자연스러움이 배어 있었던 것이다. 그렇지만 실험적인 시도의 평가나 장르의 파기에 대한 사고를 가져오더라도 굳이 연극적인 공연으로서 춤의 언어에 어떤 새로움을 보여 줬다고는 생각되지 않았다. 물론 어떤 역할이 완벽히 되어 춤을 추는 것, 언어를 배제하지 않는 노력, 춤으로써 이야기를 전하는 데 따른 노력과 시도는 그것들이 주로 배제되는 측면이 없지 않은 가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