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다페 2009] 국내외 초청 작품들_화끈한 무대 셋REVIEW/Dance 2009. 6. 15. 18:05
김경영, Susanna LEINONEN, 최상철 김경영 타악, 그것은 실재적이고 직접적이며 공명의 코드를 지니지만 그 웅장한 자극에도 폭력이나 거친 숨의 맥박을 가지진 않는다. 전체적으로 작품은 북의 조율 하에 상승과 휴지, 그리고 반복의 구조를 통해 나아갔다. 모든 것은 빠른 속도와 미적 편재의 순간적인 자취를 보여 주는 데 그 묘가 있었고, 선분을 긋고 2인무에서 군무 사이를 오가는, 그리고 집단과 집단의 교차 작용을 통한 구조를 만드는 것으로 그 흐름을 이어갔다. 하나의 이미지 질서는 곧 흐트러질 운명에 처하고 다시 만나 확장되는 미래를 예고한다. 무용수들은 굴곡으로 자리하고 비슷한 몇 가지 동작은 하나의 계열선상에서 순차적인 조합을 이루며 안무를 만든다. 단순하지만 편재와 배치 구조를 만드는 것,..
-
[모다페 2009] 무용에서 ‘언어의 발설’이 갖는 의미REVIEW/Dance 2009. 6. 15. 17:12
국내초청공연 안무가 이혜경, 김형남, 유호식 전체적으로 세 편의 작품들을 보면서 왜 춤은 몸을 드러내지 못하는지 고스란히 몸의 언어로 말하지 못하는지 하는 생각들을 불러일으켰다. 마지막으로 펼쳐진 은 색다르고 재미있었다. 놀라운 것은 어떻게 무용수들이 이야기의 구조에 적합하게 안무적인 몸짓들을 체화했는지와 천연덕스러운 역할 되기였고, 언어 사용에 있어 자연스러움이 배어 있었던 것이다. 그렇지만 실험적인 시도의 평가나 장르의 파기에 대한 사고를 가져오더라도 굳이 연극적인 공연으로서 춤의 언어에 어떤 새로움을 보여 줬다고는 생각되지 않았다. 물론 어떤 역할이 완벽히 되어 춤을 추는 것, 언어를 배제하지 않는 노력, 춤으로써 이야기를 전하는 데 따른 노력과 시도는 그것들이 주로 배제되는 측면이 없지 않은 가운..
-
[모다페 2009] 이야기 구조를 지닌 작품들REVIEW/Dance 2009. 6. 10. 09:29
Inna Aslamova, 김은희, 김재덕의 스펙터클한 무대들 ‘Inna Aslamova’의 : 물음표의 코드들 뚜렷한 씬과 시퀀스의 구분들이 종합적으로 안무의 흐름을 바꾸고 전이하며 무용수들을 캐릭터화하고 있었다. 우스꽝스럽고 희극적인 면모의 음악에 조응하여 춤 역시 엉거주춤하듯 느리고 약간 부자연스러운 듯한 움직임을 만들고 있었다. 처음 정장 차림의 늙은 여자가 나와 책을 읽어 이 공연이 이후 스토리 전개의 양상을 띨 것임을 예상케 했는데, 원전 텍스트의 사전 이해 없이 그것들을 온전한 모습으로 구성하기는 어려웠던 게 사실이다. 클래식에 덧입혀지는 움직임이 엉뚱한 변용으로 새로운 장과 음악적 재해석을 현재적으로 펼쳐 놓고 있는 데 반해 움직임은 규칙적이면서 음악의 힘을 머금고 있었다. 반면 현대적인 ..
-
[모다페 2009] 크리스 해링의 감각적 사운드를 통한 몸의 고찰REVIEW/Dance 2009. 6. 10. 09:19
Chris Haring의 이 작품은 굉장히 감각적이고 재미있다. 춤인지 연극인지 하는 구분의 지점에서 물음이 전 날 관객과의 대화에서 나왔다고 하는데, 언어의 강조와 움직임의 부피가 준 것을 가지고 장르적인 전환의 시각으로 접근한다면 이는 표피적인 차원의 분석에 그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음소와 파롤의 언어는 자연스레 무용수들의 몸을 뒤흔들었고, 우리 감각에 실재적인 마찰을 가져왔고 자극했으며 춤을 조직하는 운동성을 가지고 있었다. 끊임없이 소리는 분쇄되고 그럼으로써 기표는 미끄러져 나가고 튕겨져 나갔다. 의미를 붙잡을 수 없이 감각에만 상처 혹은 자극을 입히고서. 사실 어설픈 것 같은 뭔가 부자연스러운 움직임은 립싱크의 행동에 일치하는 데서 비롯되고 있었고, 이것은 오히려 사전의 철두철미하고 힘든 훈육..
-
[모다페 2009] 안무가 ‘김원’과 ‘Jin Xing’의 공동 작업 <외침>REVIEW/Dance 2009. 6. 3. 11:07
공허함과 실존의 도시 풍경을 내화하다 은 한국과 중국 간의 대표적인 안무가 김원과 진싱와 만남과 무용수들의 공동 작업으로 이뤄졌지만, 문화의 만남과 교차가 작품 안에 발생하는 것이 느껴진다거나 그러한 차이를 감지하기에는 다소 어려웠다. 전체적으로 언뜻 그들의 얼굴에서부터 중국과 우리나라의 익숙함과 상이함이 발견될 때도 있지만, 그래서 중국과 한국 간의 알 수 없는 어떤 시대적 배경과 공간에 신비함과 함께 의문을 불러일으켰는데, 전체적으로 한국과 중국 무용수 간의 어떤 구분 없이 뒤섞여 공동의 안무를 이뤄내고 있었다. 첫 장면에서 겹겹이 옷을 껴입은 남자가 옷을 벗은 채 앞을 향해 서 있고, 맨 몸의 사람들이 무리를 이뤄 다른 편에서 앞을 주시하고 있다. 이들은 분리되어 있지만 곧 있을 조우를 짐작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