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다페 2013] 최문석 안무, <Inst.Act>: '비-존재 되기의 불완전한 양상들'REVIEW/Dance 2013. 5. 28. 04:24
▲ 최문석 [사진 제공=모다페] 붉은 천에 검은 색 옷의 꿈틀거림과 치솟아 오름, 기이한 생명체의 탄생, 머리에 보통의 머리 하나가 더 있는 얼굴은 하얀 풍선으로 덮인 우주복 입은 존재가 풍선을 터뜨리고 기이한 존재들이 기어 나오기 시작한다. 사실 이들은 어떤 기괴한 생명체의 출연을 인위적으로 감행하거나 부유함과 사유 이전의 유기체 덩어리 자체를 나타내는데, 변종보다 채 형성되지 않음의 전 단계로서 변용을 예고하는 데 가깝다. 비-존재 되기는 어떤 중심도, 차이 짓지 않음, 의미화‧기호화되지 않음을 의미하는데 여기에 마이크를 매개로 하여 감정들이 드러나고, 관계의 주고받음 이후 비로소 존재의 모습을 갖추고, 손과 발을 기능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현실적 존재가 된다. ▲ 지난 5월 1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
연극 <홀연했던 사나이>: ‘영화라는 매체로의 꿈꾸기’REVIEW/Movie 2013. 5. 28. 03:55
과거와 현재의 혼종적 경계 ▲ 연극 (오세혁 작, 이윤주 연출) [사진 제공=연희단거리패] 은하수다방, ‘너구리’ cf 선전이 흐르는 어느 한낮의 하릴없이 게으른 풍경, 이것은 의고적 스타일로 그 시대를 알리는 시대-정보로서 흘려보낸 것이다. 그러나 곧 ‘한지붕 세가족’의 화면이 나오고 여기에 대사들을 지우고 그를 대신하는 화면과의 동기화를 이룬다. 이 동시성의 알레고리는 패러디의 기호에서 연유하는 것이다. 엄밀히 순돌이가 아닌 승돌이라는 점에서 패러디적 차용인 셈이고 일종의 ‘중첩된 기호’를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장기하의 ‘싸구려커피’가 첫 무대 장면을 가리키고 지배하는 음악이자 타이틀이 되는데 이 복고 스타일의 곡은 과거의 (현재에 기입된) 흔적과 현재와 분리된 또 다른 현재로서 과거 그..
-
<엄마가 사라졌다>(김철승 연출) : '시차적 배치'와 '엄마의 환유'REVIEW/Theater 2013. 5. 28. 03:01
인터미션, 극적 시간을 일상으로 연장하다. ▲ (김철승 연출) [사진 제공=LIG아트홀] (이하 상동) ‘엄마가 사라졌다’는 말은 엄마가 현재 어디에 있음을 말해주지 않는다. 더군다나 이는 엄마가 사라졌음의 지점으로 끊임없이 되돌아가며 현재를 재구성하는 누빔점 역할을 한다. 테이블을 두고 모든 이는 만난다. 이 속에 엄마는 함께 위치하는가. 이십분 정도의 짧은 시간 뒤에 극은 인터미션을 갖는다. 엄마가 사라졌음을 알리는 콘텍스트는 이제 엄마의 외부성으로서 위치를 관객이 전유하며 과거를 기억의 지점으로 바꾸는 전제로 기능한다. 엄마가 사라진 공간에 덧붙여진 일상의 시간이라는 잉여를 통해 그 사실이 공통의 전제가 되는 것이다. 언어 텍스트가 아닌 배치의 몽타주를 통해 중요한 건 텍스트는 이후 크게 기능하지 ..
-
[모다페 2013] 안신희‧이윤경‧차진엽, <Three Lips>: '무용수의 개성'과 '무거운 서사'의 낯선 조우REVIEW/Dance 2013. 5. 28. 02:43
신화 모티브 속 개개인의 돌출적 지점 ▲ 이윤경 [사진 제공=모다페] 두 여자는 머리를 빗겨주고 받는 관계로 일상의 영토를 그리고, 그 바깥에 느리게 다른 한 명이 이를 가로질러 궁극에는 그 앞으로 나가게 되며, 전체적으로 비극적 전운이 감도는 의미의 재편이 서두를 장식한다. 세 ‘여인’의 만남은 필연적 전개이고, 서로 간의 뒤엉킴 이후 앞을 바라보며 뒤로 물러남은 미래에 대한 예지적 기호를 두는 것에 다름 아니다. 이윤경은 하나하나 단단하게 움직임을 정초하는데, 음악과 구음이 뒤섞이는 황홀경 속에 춤꾼 그 자체가 된다. 신화의 내용적 표현 대신 살풀이 같은 절절함의 음악에 침잠된 이윤경은 무희 그 자체로 음악 자체에 대한 신명을 부여한다. 이는 춤 자체가 역할이 갖는 의미를 발생시킴에 다름 아닌데, 원..
-
[모다페 2013] 시디 라르비 셰르카위& 데미안 잘렛, <바벨> : ‘타자로의 연대와 접속’REVIEW/Dance 2013. 5. 28. 02:37
소통으로서 언어의 역사를 조망하다 ▲ 시디 라르비 셰르카위& 데미안 잘렛Sidi Larbi Cherkaoui & Damien Jalet, BABEL(Words), ⓒ Koen Broos [사진 제공=모다페] (이하 상동) ’단순한 제스처들이 발전되어 소통의 언어 형식을 이룬다, 그리고 그 안에서 완전한 소통은 불가능하다. 언어는 곧 오해와 이해의 사이에서 끊임없이 유동한다’, 일종의 언어에 대한 메타적인 탐문과 그러한 시원적 제스처로부터 끌어내는 언어를 춤의 기원과도 결부지어 생각하게 하는 내레이션과 몸짓들이 서두를 장식한다. 이 내레이션을 담당하는 인조 로봇 같은 여자의 목소리는 이 역사에서 현대로 오기까지의 시간들을 체현하고 전달하는 매체 자체가 된다. 이는 신성함(과거)과 평범함(현대)의 의미를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