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다페 2013] 안신희‧이윤경‧차진엽, <Three Lips>: '무용수의 개성'과 '무거운 서사'의 낯선 조우REVIEW/Dance 2013. 5. 28. 02:43
신화 모티브 속 개개인의 돌출적 지점 ▲ 이윤경 [사진 제공=모다페] 두 여자는 머리를 빗겨주고 받는 관계로 일상의 영토를 그리고, 그 바깥에 느리게 다른 한 명이 이를 가로질러 궁극에는 그 앞으로 나가게 되며, 전체적으로 비극적 전운이 감도는 의미의 재편이 서두를 장식한다. 세 ‘여인’의 만남은 필연적 전개이고, 서로 간의 뒤엉킴 이후 앞을 바라보며 뒤로 물러남은 미래에 대한 예지적 기호를 두는 것에 다름 아니다. 이윤경은 하나하나 단단하게 움직임을 정초하는데, 음악과 구음이 뒤섞이는 황홀경 속에 춤꾼 그 자체가 된다. 신화의 내용적 표현 대신 살풀이 같은 절절함의 음악에 침잠된 이윤경은 무희 그 자체로 음악 자체에 대한 신명을 부여한다. 이는 춤 자체가 역할이 갖는 의미를 발생시킴에 다름 아닌데, 원..
-
[모다페 2013] 시디 라르비 셰르카위& 데미안 잘렛, <바벨> : ‘타자로의 연대와 접속’REVIEW/Dance 2013. 5. 28. 02:37
소통으로서 언어의 역사를 조망하다 ▲ 시디 라르비 셰르카위& 데미안 잘렛Sidi Larbi Cherkaoui & Damien Jalet, BABEL(Words), ⓒ Koen Broos [사진 제공=모다페] (이하 상동) ’단순한 제스처들이 발전되어 소통의 언어 형식을 이룬다, 그리고 그 안에서 완전한 소통은 불가능하다. 언어는 곧 오해와 이해의 사이에서 끊임없이 유동한다’, 일종의 언어에 대한 메타적인 탐문과 그러한 시원적 제스처로부터 끌어내는 언어를 춤의 기원과도 결부지어 생각하게 하는 내레이션과 몸짓들이 서두를 장식한다. 이 내레이션을 담당하는 인조 로봇 같은 여자의 목소리는 이 역사에서 현대로 오기까지의 시간들을 체현하고 전달하는 매체 자체가 된다. 이는 신성함(과거)과 평범함(현대)의 의미를 분..
-
다니엘 아브레우 컴퍼니 <Otros Rastros>: ‘명멸하는 어둠 속 움직임으로의 집중’REVIEW/Dance 2013. 5. 24. 14:23
▲ 다니엘 아브레우 컴퍼니(Cía. Daniel Abreu)의 [사진 제공=모다페] 다니엘 아브레우 컴퍼니(Cía. Daniel Abreu)의 는 단순한 움직임들을 느리고 정적으로 반복한다. 빛과 어둠을 원초적인 측면에서 사용하며 그와 같은 신비로움을 의식(儀式)적 움직임들로 치환한다. 이는 희미한 서사의 궤적을 따르는 것으로, 움직임을 그 서사(어둠의 정도를 통해서도 작동되지만 주요하게 음악에 의해서 역시 가동되는)에 환원시키기보다 신체 자체에 대한 집중을 유도한다. 빛과 어둠의 서사 ▲ 다니엘 아브레우 컴퍼니(Cía. Daniel Abreu)의 [사진 제공=모다페] 발가벗고 엎드려 있음의 포즈, 금세 밝아지며 이 어둠으로의 묘연한 뒤섞임은 순간에 그친다. 다만 정적과 두 몸만이 남았는데, 하나의 몸은..
-
연극 <소년이 그랬다>: '전도된 기호로 사회 균열을 드러내다'REVIEW/Theater 2013. 5. 22. 10:53
무대: 외부성의 표지 ▲ 5월 16일 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극장에서 열린 소년이그랬다(작. 톰 라이코스&스테포 난쑤 / 극본. 한현주 / 연출. 남인우) 프레스 리허설 (이하 상동) 양옆의 거대한 구조물로 버티고 있는 무대는 들락날락하는 공간으로서, 객석을 거대하게 관통하는 ‘텅 빈 중앙’ 그 자체로 존재하게 된다. 배우들은 두 개의 막을 교차해서 연기하고 이 끝으로부터의 시작을 야기한다. 배우들이 그 양 옆의 통로를 통과할 때 관객의 시선의 중심을 이탈하게 하며 외부성을 그대로 가져간다. 두 배우는 사건의 재현적으로 진행되어 가는 과정을 변용의 지점들로 가파르게 그려내고, 이는 한편 무대 양옆으로 이분되어 오가면서 ‘심리의 내러티브’로 드러난다. 한편 이 ‘외부성’은 객석 중앙을 통과하며 관객의 집중을 ..
-
연극 <채권자들>: '결여로부터 발생하는 사랑'REVIEW/Theater 2013. 5. 19. 15:03
무대-실재: ‘물 자체의 환상성’ ▲ 지난 5월 10일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에서 열린 연극 프레스리허설 장면 (이하 상동), 연극은 26일까지 열린다. 연극 은 1장 구스타프-아돌프, 2장 테클라-아돌프, 3장 구스타프-테클라, 이렇게 2명의 인물들이 대립각을 세우는 방식으로 각 장이 촘촘하게 교직되어 있다. 공간은 마치 실내가 열려 있는 느낌이다. ‘뚜껑이 열린 세계’라 하겠다. 실내가 야외와 혼합되어 있고 바위 등이 일상의 레디메이드들과 함께 조각적 대상들로 형상화되어 있다. 프로시니엄 아치 없이 단지 일종의 강을 형상화한 투명하고 일정하게 평평한 패널 그 위에 ‘탁’ 하고 놓인 커다란 패널이 있을 뿐이다. 이 조명의 밝음과 객석과 분리되지 않은 듯한 가까움은 객석과의 경계 허물기가 아닌 온전히 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