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다페 2013] 안지형, <나무=존재의 무거움>: '무덤덤하게 현실의 시련과 만나기'REVIEW/Dance 2013. 5. 28. 07:37
▲ 안무가 안지형 [사진 제공=모다페] 옷이 걸려 있음, 조명을 받아 환영으로 반짝이는 옷을 입은 남자의 환영과 검은 옷의 실질, ‘옷’이라는 상징적 외부 층위와 정을 드러내는 검은 옷의 존재는 구분되며 대립된다. 결핍이 없는 마네킹과 인간이 가진 결여에서 갈망하는 인간의 비동기적 동기화의 양상이 빚어진다. 둘의 같은 방향을 보고 목을 감싼 채 자리를 벗어난 첫 번째 움직임에서 ‘마네킹’의 표정은 굳건했음이 드러나고 둘은 오히려 현혹되어 있음의 현실을 벗어난다. 낮고 무겁게 내리깔리는 내레이션은 현실의 깊은 체증을 이들에게 전이시키며 일견 거리를 둔 채 이들의 현실을 파고드는 게 당연하다. 움직임의 연쇄 고리는 멈추지 않고, ‘당연하게도’ 움직임을 반복적으로 이어간다. 이 무기력해 보이는 이 음악과 별개..
-
[모다페 2013] <Spark place #2> 리뷰(안무 신아람·차형도·주선희·정수동)REVIEW/Dance 2013. 5. 28. 06:53
신아람 : '파도에의 환유' ▲ 안무가 신아람 [사진 제공=모다페] 어둠 속 클래식은 ‘재현’의 장을 어느 정도 지시한다. 핀 조명의 수직 하강의 부재하는 자리는 이 이중의 재현에 대한 징후를 드리운다. 세 명은 파도의 환유물이 되어 출렁거린다. 이는 어떤 특별한 표현을 만들기보다 앞선 ‘부재의 자리’를 확대시켜놓은 자리에서 그 파도를 몸으로 감각하며 파도의 일부가 되는 그래서 표현 자체를 형식적으로 무화시키고 내용적으로 합치시키는 노곤한 시작 지점을 제공한다. 앞서 빛의 자리가 부재의 자리였던 것처럼 그곳은 어떤 내면의 빛과 같은 초월적 지점이 되는데, 애초 그것을 먼저 제시하고도 한 차례 현실의 등가되는 자리로 확대시켜 제시한 후, 현실과 함께 현실에서의 없는 자리로 제시함은 이상향의 의미를 상정하는..
-
[의정부국제음악극축제] 스토커씨어터 <인코디드>: '영상과 신체의 결합과 그 시차'REVIEW/Interdisciplinary Art 2013. 5. 28. 06:30
우주를 유영하는 존재들 ▲ 스토커씨어터(Stalker Theatre) [사진 제공=의정부국제음악극축제 UIMTF] (이하 상동 The rest is the same as above.) 어둠 속 하얀 점들, 곧 은하수였다. 이는 더 정확하게는 이 스크린의 검은색 곧 야광처럼 드러나는 흰색의 선분들‧점들의 배경이 되는 ‘검은색’이 암흑으로 느껴졌음을 또한 의미한다. 그 속으로 파고들며 끝없는 우주를 사유케 하는 영상이 나타내는 제한적 시야의 공간의 표층에서 발생되는 오로라 같은 양상의 궤적이 밀려간다. 무한한 가시성의 영역, 곧 '비가시성의 형식' 앞, 곧 스크린 앞에 처음 한 명의 존재, 그리고 이어 두 명의 존재가 춤을 춘다. 이 존재들은 곧 '가시성의 현존'으로서, 생명의 유일한 표지임을 자처하는 것에..
-
[모다페 2013] 지구댄스시어터 정석순, <Blue>: '너무 많은 의미들의 열림'REVIEW/Dance 2013. 5. 28. 04:49
▲ 지구댄스시어터 [사진 제공=모다페] (이하 상동) 마치 어둠에서 급작스레 치솟아 부재를 포화 상태로, 혼돈의 뒤섞임들로 채워 넣음은 이 부재의 환영을 현실로 확장하게 한다. 여러 문장들로 분쇄되어 제시하는 순간에서 두려움으로 옮아가는데, 그러한 정서의 변환은 문장들이 '그리고'라는 덧붙이기의 형식을 통해 이어지는 것처럼, 결국 '비논리의 논리' 형식을 띨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말하다’에서 ‘불안하다’로 치환되는 두 단어의 절합은 말하다가 불안해서 이미 불안함은 말을 부른다는 연쇄 논리를 상정한다. 이 불안은 삶의 사회적 질서가 가로 놓이는 것을 따라 삶과 연계된다. 이들은 아케이드 게임의 음악에 맞춰 부산스럽고 단출한 움직임들을 선보이며, 군무를 춘다. 중간 중간 말들이 현대인을 표상함은, 다시 ..
-
[모다페 2013] 김경영 안무, <THE STIMULATING MOMENTS>: 판소리와 '의미 없는 것들'의 절합REVIEW/Dance 2013. 5. 28. 04:41
▲ 김경영의 안무 작품 [사진 제공=모다페] 연지곤지를 찍은 검은 옷의 여자, 덤 타입 음악의 확장되어 가는 목소리 구문과 사운드, 붉은 응원용 치마를 입고 나타나 제3세계 언어의 우렁찬 기표들을 뱉고 한 바퀴 돌고 들어가는 검은 피부의 남자, 이러한 기표들은 중첩의 불안정한 기조를 만든다. “당신이 나의 곁에서 떠나기 전부터 이 어둠 속에” 먹을 것을 들고 관객석으로, 곧 ‘무대 바깥’으로 빠져 나감, 이국인과의 엇갈린 층위, 무대 위에 나무 세움을 통한 외부적 상관물의 도입, 이러한 이질적인 것들의 결합 층위는 끌어당기고 접합해 돌연 의미를 현재적인 낯섦의 어떤 것으로 발생시키는 것이다. 노래에 유연하게 잔걸음으로 흘러가는 여자와 남자의 이별 공식에 조우한 사랑 놀음의 떨림으로 주어질 때 통속적인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