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라이스 앤 위스퍼스’ : ‘어떻게 연극은 살아 있음을 경유할 수 있는가’REVIEW/Theater 2013. 5. 9. 12:00
무대로 들어가는 관문을 너머 ▲ 크라이스 앤 위스퍼스(Cries and Whispers) ⓒ Foto Istvan Biro [사진 제공=국립극장] 크라이스 앤 위스퍼스(Cries and Whispers)의 무대로 입성하기 위해서는, 본격적인 막이 오르기 위해서는 백스테이지를 경유한 일종의 통과의례가 필요하다. 사실 이러한 설명은 충분치 않은데 비닐로 된 파란색 덧신을 극장 바깥 로비에서 받고 신은 이후, 백스테이지로 들어가는 즉시 연극은 시작되기 때문이다. 본격적인 막이라 함은 잉그마르 베리만의 영화를 찍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인데, 이 영화를 찍기 전에 배우들이 무슨 역을 맡고 이 모든 과정을 진두지휘할 감독 역할을 하겠다는 것을 관객들이 가까이서 인식하게 되는 것이 통과의례의 전부이다. 결과적으로는 각..
-
[의정부국제음악극축제 개막작] <칼리굴라_리믹스> : 말의 파국과 광기의 도주REVIEW/Interdisciplinary Art 2013. 5. 9. 10:54
오케스트라-지배의 절합 구도 ▲ [의정부국제음악극축제 개막작] [사진 제공=의정부국제음악극축제] (이하 상동) 경사도를 가진 테이블, 원탁을 기하학적 배열화한 테이블에 인물들의 배치가 이뤄진다. 칼리굴라는 뒤로 돌아 있고 그의 일종의 지휘봉을 가지고 여기저기를 지정하는 행동부터 시작해 그는 일종의 오케스트라 지휘자이며 다른 이들은 오케스트라가 되는 동시에, 이는 그를 중심으로 도열한 일종의 지배‧피지배집단을 연상시킨다. 역으로 따져 본다면 오케스트라라는 것 역시 대표성을 띤 지휘자라는 엄격한 격식의 실천과 실질적인 이끌어감의 주체가 가로놓이는 것이다. 이는 일종의 왕권을 지닌 국가의 정확한 은유에 다름 아니다. 그런데 칼리굴라는 “흥”하고 자신을 경유해 그들 집단에 집중되는 분위기를 내차버린다. 이러한 ..
-
<리바이어던(Leviathan)> 리뷰 : '사물의 시선으로'카테고리 없음 2013. 5. 3. 15:20
▲ 포스터 [사진 출처=imdb] 지난 4월 29일 두산아트센터에서 두산인문극장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상영된 (2012, 루시엔 캐스탱-테일러, 베레나 파라벨)은 마치 ‘사물의 시선’을 보여주는 것 같다. 영화라 봐야할지 다큐멘터리의 일종으로 봐야할지 의문이 가는 이 작업에서 ‘사물’의 의미는 중의적인데 은 물론 카메라의 시선 자체를 따라가는 것이면서 동시에 이 카메라가 겪는 온갖 파국적 상황에 따라 부유하는 곧 상황과 절합되는 카메라라는 것의 체험적 시선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중간에는 카메라를 든 사람이라는 매개가 다른 방식으로 교체되어 있음의 전제가 있을 것이다. 시종일관 가득 찬 사운드는 마치 볼 수는 없는 카메라 자체가 우리고 그 카메라가 응전해야 하는, 온갖 정신없는 결코 벗어날 수 없..
-
M-note 현대무용단 <차리다> : 평행의 리듬 속 변주의 순간들REVIEW/Dance 2013. 5. 3. 14:57
▲ LIG아트홀ㆍ합정 개관기념 공연 댄스 엣지Dance-edge, M-note 현대무용단 ⓒ 이운식 [사진 제공=LIG아트홀] 지난 4월 30일과 5월 1일 LIG아트홀ㆍ합정에서 열린 M-note 현대무용단의 ('차'는 ‘여기, 이’란 뜻의 지시사 차(此)와 다도에서의 차(茶)를 이중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차리다'는 그 옛말이 '정신을 차리다'라는 뜻을 지니는 것처럼 동사적 의미로 ‘알아차리다’의 의미를 내포한다)는 움직임들이 하나의 자장으로 묶여 있으며, 한 명의 움직임이 이후 그림자처럼 다음 사람을 따라 붙는 식의 시차를 생산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무대는 어둠 속 아스라이 깔린 빛, 점차 밝아진 신비한 장을 형성한다. 이 환경 속 미지의 존재자들은 서로에게 조심스럽게 접속하고 움직임은 순간 모방의..
-
밝넝쿨, 이은경 <Hard Duo> : '제4의 벽'을 열어젖혔을 때REVIEW/Dance 2013. 5. 3. 14:40
▲ LIG아트홀ㆍ합정 개관기념 공연 댄스 엣지Dance-edge, 밝넝쿨, 이은경 지난 4월 30일 열린 공연 장면 ⓒ 이운식 [사진 제공=LIG아트홀] 밝넝쿨과 이은경은 제4의 벽을 열어젖힌다. 관객에게 자신들의 춤이 현재 벌어지고 있음을 드러냄으로써 모종의 참여를 유도한다. ‘이 춤은 재현되고 있음이 아니다’, 하지만 여기에 한 가지 사유가 부가되는데 ‘이 춤은 재현된 무엇을 드러낸다’라는 것이다. 패션쇼의 형식을 차용한 몸짓들과 의도적인 춤판의 열어젖힘의 만남은 이제 현실 코드의 전유와 지금 여기의 현시 사이에서 춤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으로 향한다. 단순한 코드의 조합, 곧 패션쇼의 분위기를 달구는 소진되는 반복의 음악, 그리고 그에 부가되는 몸짓은 음악의 지루함, 그리고 몸짓의 소진, 곧 춤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