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무용단 <단>, 미디어의 선정성은 재고되어야 할 부분카테고리 없음 2013. 4. 14. 11:09
애초에 없었던 논쟁, 웃지 못할 촌극 국립무용단의 최근 작 (안무: 안성수, 연출: 정구호)의 일부 노출 장면에 관해 이래저래 말들이 많다. 우선 국립무용단의 작품 중 일부의 노출 장면이 외설이냐 예술이냐 사이에 첨예한 의견 대립이 일어났다는 것은 바로잡아야 할 사실 관계 차원의 문제로 보인다. 나아가 이러한 ‘논란’은 이 작품과 본질적으로 어떤 연관성이 없다는 점에서, 사태의 논점이 상당히 흐트러졌다고 보인다. 문제의 본질: 미디어의 선정성 ‘아찔한 노출’, ‘눈을 어디다 둬야 할지……’, ‘수줍게 가린~’ 등 이와 같은 문구는 우리가 인터넷상에서 흔히 보는 사진기사의 제목들의 한 양상이다. 이는 어느 한 매체나 기자에 한정된 부분이 아니라는 점에서, 특정한 매체나 기자에 대한 비판 역시 아니라는 점을..
-
[페스티벌 봄 2013] 제롬 벨 & 극단 호라 <장애극장>: '투명한 개입으로 현시를 만드는 법'REVIEW/Dance 2013. 4. 9. 05:53
수행적 발화로 우선하는 말 ▲ 제롬 벨 & 극단 호라 Jerome Bel & Theater HORA “Disabled Theater”, ⓒ Michael Bause(The rest is the same as above.) 제롬 벨은 수행적 발화의 형태로, 무대에 직접 등장하지도, 나아가 내한하지도 않은 채 무대의 과정들, 곧 10명의 지적장애를 지닌 스위스 취리히에 위치한 호라 극단 (Theater HORA)의 배우들을 움직인다. 곧 그의 말이 따른 뒤에 배우들은 행동하게 되며, 배우들의 행동은 그의 말이 없다면 존재할 수 없다. 이 말을 전하는 이는 스위스 독일어와 제롬 벨이 사용하는 영어 사이에 교량 역할을 했어야 하는 그리고 무대에서 실시간으로 그 역할을 다시 해내는 통역사인데, 일종의 제롬 벨의 ..
-
[2013 한팩 라이징스타] 곽고은 <도시 미생물 프로젝트-판매를 위한 춤>: '냉소적 유머로 드러낸 상품미학'REVIEW/Dance 2013. 4. 8. 01:04
자동 인형의 움직임이 주는 불편함 ▲ 곽고은 : 지난 3월 25일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열린 쇼케이스 장면 (이하 상동) 상품 미학의 현실을 무대화하기는 주요하게는 인간의 인조인간 내지 자동기계 인형 되기의 과정으로 드러난다. 곧 인간이 상품이 되는 것인데, 여기서 파생하는 뻣뻣한 춤은 나아가 작동되고 있음 그 자체일 뿐인, 가상의 존재에서 벗어나서는 안 된다는 원칙에 저당 잡힌 형국으로 빚어지며 모종의 갑갑함을 안긴다. 상상력 어린 재현은 표현을 창출하지만, 또한 표현은 재현의 가혹한 엄금의 현실을 냉소하지만, 그러한 차가운 생명력 자체는 어떠한 하나의 결과만을 생각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실제 그런 결과를 빚는다), 동시에 하나의 춤의 무늬만을 생각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답답한 느낌을 더한다. ..
-
[2013 한팩 라이징스타] 안수영 <Time Travel 7080>: '추억을 현시하다'REVIEW/Dance 2013. 4. 8. 00:53
'감정을 자극하다' ▲ 안수영 , 지난 3월 25일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열린 쇼케이스 장면 안수영의 공연을 두세 번 정도 본 것 같다. 지난 2012 서울세계무용축제 '힙합의 진화' 참가작인 에서는 실제 고백과도 같은 정동(affect) 어린 수행 구문을 공연에 집어넣어 눈물을 훔치게 하는 측면이 있었는데, 이번에는 과거에 대한 멜랑콜리를 여러 변전의 양상 속에 현상해 내며 주는 쾌감으로 거기에 가닿는 측면이 있었다. 추억의 노래들로 만들어진 장면들 ‘호텔 캘리포니아(Hotel California)’로부터 시작된 공연은 ‘나 그대에게 모두 드리리’의 신파 재현의 한 장면을 새롭게 표현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헬멧을 쓴 머리로 거꾸로 버틴 채 무대 커튼이 내려와 이불인 것처럼 덮고 잔 움직임들로 남녀 ..
-
[2013 한팩 라이징스타] 최수진 <Out of mind>: '남아 있는 그리고 낯선 감정들'REVIEW/Dance 2013. 4. 8. 00:30
내면의 실존적 표출 ▲ 최수진 , 지난 3월 25일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열린 쇼케이스 장면 ‘내면의 단상들을 미추를 떠나 처절하고도 극한의 상태에서 표출한다’, 이와 같은 표현주의적인 측면이 무대 전반을 지배한다. 여기에는 실질적인 관계 맺음보다는 추상적인 정동(affect)의 신체들이 구가하는 혼돈에 싸인 갈등이 자리한다. 중간 중간 커다란 오브제들의 활용을 통해 이미지가 주는 무대의 재편을 가져가는 측면이 있고 최수진의 춤은 그 중에서도 두드러졌다. 사실 최수진은 뛰어난 무용수로서 촉망받는 존재라는 점은 안무에 있어서는 오히려 군무라는 춤-공동체의 영역에서 조화롭게 뒤섞여야 하는 측면이 있는 것을 감안할 때 그 두드러짐에 무조건적인 점수만을 줄 수 없는 점이 강하다. cf. 격렬함에서 벗어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