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단 DNA(김용배적 감각): '적절한 그릇에 담은 전통'REVIEW/Music 2017. 7. 25. 14:55
▲ 박은하․김정희․김복만․원일 ‘장단 DNA’(부제: 김용배적 감각) 공연 모습[사진 제공=국립극단](이하 상동) 2017 여우락 페스티벌의 개막 공연인 공연[연출: 적극, 출연: 박은하(꽹과리, 춤), 김정희(장구, 꽹과리), 김복만(징, 꽹과리), 원일(북, 피리, 꽹과리), 김영길/윤서경(아쟁)]에는 본론의 끈덕진 길을 가는 데 있어 두 개의 초입이 자리한다. 15분 정도 빈 무대에 김용배의 사주를 음악 평론가 강헌이 푸는 것에 따라 스크린에 김용배의 사주 명식에 레이저 포인터의 빨간 빛이 표시되는 것[목(木)-여시아문: 고(故)김용배 원국풀이]이 첫 번째고, 이어 원일 예술감독이 신시사이저로 홀로 앉아 스크래치되는 연속적 기계음들이 하나의 구멍으로부터 분출되고 다시 그 구멍으로 소급되는 듯한 디제..
-
영진 리 연출, <용비어천가>의 모호함이란!REVIEW/Theater 2017. 7. 25. 14:40
소재주의적 나열? 혼합적 병치? ▲ [사진 제공=국립극단](이하 상동) 재미교포로 나오는 김신록은 한국인들에 둘러싸여 한 걸음씩 호기심을 안고 앞을 건넌다. 마치 이질적 시공간에 대한 체험과 여행을 하는 듯한 설렘으로 그는 한발 앞서거나 뒤따르는데, 백인 사회에서의 한국인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을 연기해 백인의 경멸, 혐오적 시선을 미러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이 작업에서, 김신록은 어떤 분노나 감정을 드러내지 않은 채 웃음을 띠고 있다. 마치 마네킹 같은 표정을 지녔다. 그러한 얼굴이 그를 지배한다. 한복을 입은 한국인들, 아니 동양인들의 영속되는 신화의 재현과 표상에 대한 낯섦과 거리 두기가 또한 그를 통해 체현된다. 그의 몸 자체가 곧 디아스포라다. 중간에 비스듬하게 앉아 뺨을 맞고 고개를 오른쪽으로..
-
이제 <손목을 반 바퀴>, 제목의 함의!?REVIEW/Visual arts 2017. 7. 25. 14:32
▲ 이제, , 116.8 x 91.0cm, oil on canvas, 2017[사진=갤러리 조선] 1, 2층으로 구성된 전시는 2층의 11개의 작품을 제한 한 개의 작업과 1층 전 작업이 전시 제목인 로 구성[총 27개의 작품]돼 있다. 사실 지난 이제 작가의 전시들에서 볼 수 있듯 옆으로 비껴 선 인물의 초상이나 토기로 지칭되는 괴상한 오브제들 등은, 전시 제목에 의해 새롭게 위치 지어진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일견 전시 제목은 그림을 그리는 행위 자체를 지시하는 듯도 보이며, 한편으로 안무적 지침과 같은 수행적 행위에 대한 요구로도 보인다. 전자는 그림을 일종의 노동으로 치환하고 어떤 기본적 움직임의 단위를 조각하며, 사실적 알레고리를 그림 그리는 행위에 부여하는 것으로 보이고, 후자는 그림 ..
-
이보 반 호브 연출 <파운틴헤드>: 질문을 통한 확장과 매개의 극REVIEW/Theater 2017. 4. 11. 23:24
▲ 한국 공연 장면 [사진 제공=LG아트센터] (이하 상동) 백색 공간의 무대는 거대한 실험실 같은 인상을 준다. 계단을 따라 내려오면 하나의 테이블에 주인공이 위치하여 원작 소설을 읽는 것으로 시작되는 것과 같이, 이 무대는 거대한 단인 동시에, 그것의 연장으로서 일종의 프로시니엄 아치의 경계에 의도적으로 걸친 상태 역시 가져가며 배우의 모습을 관객의 시선에 맞추면서 진행해 간다고도 할 수 있다. 그 결과 조금 더 입체적으로 보이는 무대는 또 다른 테이블 위의 스크린을 통해 단 아래 테이블을 포함해 실시간으로 그려지는 건축 도면들과 신문을 통해 전해지는 소식들을 매개한다. 따라서 공간의 물리적 분배와 입체적 증폭 및 가상 미디어적 덧셈을 통해 연극은 무대와의 관계 맺기를 수행한다. 인상적인 실로폰 등의..
-
김보라 <인공낙원>: 장치로서 무대, 장치에 포획되는 신체들REVIEW/Dance 2017. 4. 4. 18:07
▲ 김보라 안무, 연습 장면 [사진 제공=팔복상회] (이하 상동) 일단 눈에 띄는 건 하나의 거울이다. 무대를 비추는 커다란 경사진 거울은 거의 무대 크기를 육박하며, 무대를 포획한다. 불완전하고도 충만하게. 실재를 왜곡하며 동시에 변전의 상으로 실재를 채운다. 거울은 단지 복사와 복제를 수행하는 대신, 아가리를 벌리고 현재를 주어담고 동시에 기울기를 조절하며 하나의 시선으로 모든 것을 붙드는 것이다. 곧 거울은 관객이 보지 못하는 면이자, 하나의 주체적 역량으로 운동을 한다. 그러므로 거울은 하나의 가벼운 시선이자 묵중한 신체다. 동시에 커다란 환경으로서 거울 장치는 마찬가지로 빛과 색채, 그리고 사운드와 함께 환경을 직조한다. (화려한 의상들은 거울에 적합한 비춤을 선사한다.) 이 안의 존재자들은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