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춤, 임시적 공동체의 불가능성의 발화’REVIEW/Dance 2017. 10. 31. 00:28
아시아 & 아프리카 & 중남미 댄스 익스체인지 2017 예술에서 소위 국적이 다른 작가/작업자들의 협업은 무엇을 가리키는가. 아니 그것은 어떤 식으로 의미화되는가, 가령 과정(자체의 절대성)을 이야기하는가, 아니면 (필연적인 실패의) 결과를 이야기하는가. 보통 하나의 안무를 모두가 소화하는 방식은 애초에 합치를 의도했다고 할 수 있는가, 아니면 그로부터 드러나는 ‘차이’가 합치라는 순진한 의도를 비꼬며 그로부터 미끄러지는 찬란한 실패를 보란 듯이 보여주는 것일까. 이러한 결과는 단순한 섞임이라는 측면에서 퓨전(의 새로움)으로서 불릴 수 있는가. 시댄스 2017에서 선보인 아시아 & 아프리카 & 중남미 댄스 익스체인지 2017[총 5개 나라의 무용인들이 참여했다. 리카르도 부스타만테 마르티네스(Ricard..
-
‘매개되(지 않)는 커뮤니티 댄스’REVIEW/Dance 2017. 10. 31. 00:09
마오 무용단(Company Mariantònia Oliver) , 보결댄스라이프 ▲ 마오 무용단, ⓒTristan Perez-Martin [사진 제공=국제무용협회](이하 상동) 커뮤니티 댄스는 어떻게 성립하는가. 가령 어떤 동작을 그대로 전달하고 모방한다는 것, 또는 그들의 동작으로부터 춤을 생성하는 것, 커뮤니티 댄스에서의 안무의 두 가지 방식은 춤의 출발선상에서부터 본질적으로 분유된다고 할 수 있는가. 마오 무용단에서 안무가 마리안토니아 올리베르(Mariantònia Oliver)의 춤은 그야말로 자연스러웠는데, 무대를 자유롭게 뛰노는 반면 커다란 보폭으로 흔들림 없이 공간을 온전하게 채우는 데 어떤 흠결 없이 춤을 췄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는 (결코 전문적인 무용수로서 훈련되지는 않은) 가..
-
박순호 안무, <경인>: 구축과 장력의 관계술REVIEW/Dance 2017. 10. 13. 05:40
▲ 박순호 안무, [사진 제공=국립현대무용단](이하 상동) (북청)사자와 겹쳐 있음을 남자는 발견하며 공연이 시작된다. 얼굴께에 꼬리를 확인하며 발버둥 치듯 빠져나온 남자는 발견의 상황에서부터 사자와 한 몸인 상태가 일단락된다. 엎드린 상황에서 상체와 하체를 순간적으로 들어 올리며 점프를 하는 장면에서부터 특이성은, 사자가 아닌 퍼포머에게서 드러난다. 그는 거의 발을 땅에 딛지 않는데, 땅을 구르듯 그리고 발이 아닌 온몸으로 점프하며 자신의 생명력을 구가한다. 이는 네 발을 땅에 닿고 있는 사자와 대조적이다. 첫 번째 사자와의 분리가 깨어남의 인지로부터 시작된다면, 두 번째 분리는 적극적인 행위로부터 시작된다. 손전등을 사자 속으로 비추며 내장 기관을 가시적으로 만들며 해체술을 시전하고, 위에서 내려온 ..
-
러셀 말리펀트 컴퍼니, <숨기다 | 드러내다>: '몸은 끝없는 내용일 뿐인가'REVIEW/Dance 2017. 10. 13. 03:14
몸의 매체적 탐문 ▲ 러셀 말리펀트 컴퍼니(Russell Maliphant Company), ⓒTony Nandi[사진 제공=국제무용협회] 네 개의 작업이 ‘펼쳐진다.’ 에서 그림자와 실재의 유비는 전복돼 적용된다. 하나의 막 안의 무용수와 막에 비친 더 커다란 그림자는 무용수를 후면에, 전면의 일부로 배어들게끔 한다. 조명은 무용수 양 옆의 두 개로 변화하고 무용수는 중앙에서 두 명의 무용수를 거느린다는 인상을 준다. 여기서 2차원 이미지가 3차원 실재를 상회하는지가 관건이 된다. 이미지는 곧 그것이 단지 하나의 막에 비친 것일 뿐이라는 인식보다는, 막에 걸쳐지고 그 바깥에 실재가 다 보이지 않는 것이라는 인상을 준다. 그리고 그 셋은 하나의 다른 동시적 둘의 복사로 이뤄진 것이 아닌, 개별 존재-이미..
-
구정아 <아정구> 리뷰: 이미지의 실존주의REVIEW/Visual arts 2017. 9. 15. 12:46
▲ (2010), 아트선재센터 3층[사진 제공=아트선재센터] 3층의 (2010)는 선이 형성하는 것 배경과 그 안의 대상을 핵심적으로 드러내는 것, 아니 포착하는 것에 가깝다, 실재에 대한 묘사나 재현의 일부라기보다 흩날리거나 부유하는 선의 일부로써 유격이 되는 공간을 드러낸다. 곧 창조된 공간, 현실에 가깝다. 가끔씩 중간의 선 일부를 덧칠해 강조함으로써 시선의 포인트를 흐트러지게 하는 효과를 주는 가운데 뜯어지는 선을 마감하는 듯한 일종의 천에 쓰인 바느질로도 비유가 가능해 보인다. 그리고 이 드로잉들은 야광의 분홍색 조명으로 마감된 공간에 현기증을 느끼고 그것의 자장 아래 보이게 되는데, 이는 그림 속 공간을 채우거나 그림을 완성하는 효과를 낸다. 곧 조명은 그림들을 채색하고 선이 그 채색된 공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