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침묵을 듣기, 침묵에 말 걸기>: '사운드, 발화, 이미지의 비동시적 접속'REVIEW/Interdisciplinary Art 2013. 8. 31. 09:08
▲ 지난 23일 한국영상자료원에서 열린 수직으로, 수평으로 패닝되는 이미지 속에 신체는 흩어졌다. 심보선 시인은 자신의 시들을 읽으며 이 이미지들을 숏의 문법으로 치환했다. 한 구절 읽고, 흐름이 끊기는 단위에, 내지는 자신의 호흡이 끊기는 지점에서 (비)의식적으로 화면을 쳐다봤다. 곧 이는 말들의 재현에 있어 그 언어 단위의 규칙에 의해서나, 신체적이고 물리적인 그러나 의도적이지 않은 숨에 의해 시는 우연적으로 영화와 헤어졌다. 파트타임스위트(Part-time Suite)의 음악은 꽤나 가볍다. 영화가 아닌 영화관을 물리적으로 채우며 그들의 시선이 신체와 엇갈린 심보선과 달리, 영화관을 향한 것처럼 음악은 영화를 관조한다. 또한 맴돈다. 영화의 이미지들이 비현실적인 것만큼 시들은 의식의 흐름 기법에 따..
-
특별한 미디어 퍼포먼스 프로젝트가 열린다PREVIEW/Visual arts 2013. 8. 29. 14:10
일상 생활에서 스마트기기 사용이 상용화되었고, 한국은 IT혁명을 이루었. 동시대의 미디어아트는 세련된 기술적 메커니즘을 향해 전시가 이루어져 수많은 영상과 미디어 작가가 있다. 예술로서의 미디어보다 예술의 유희적인 기술적 측면만 부각되는 현상에 대한 문제제기로 Korea Media Performance Project가 열린다. 기획을 한 갤러리 정미소는 “감각적이고 화려한 테크니션을 넘어 예술본연의 심성과 미학을 전달할 수 있는 미술과 무용의 협업으로써 미디어 퍼포먼스 프로젝트의 새로운 시도가 되는 실험적 연구 자세를 보여 주고자 한다.”고 전했다. 본 프로젝트는 미술과 무용의 개념이 혼재, 혹은 새로움을 주는 프로젝트로, 관객과 소통을 중시한다. 기술 메커니즘을 포함한 미디어아트의 설치작업과 동시적인 ..
-
[기자회견 현장] 채프만 형제 개인전 프리뷰PREVIEW/Visual arts 2013. 8. 23. 12:46
▲ 디노스 채프만(좌), 제이크 채프만 오는 23일부터 12월 7일까지 송은 아트스페이스에서 2013년 해외작가 개인전으로 yBa 출신 작가, 채프만 형제Jake and Dinos Chapman의 개인전이 국내 처음으로 열린다. 1990년 영국 왕립 예술학교를 졸업한 이후 이들은 주로 전쟁, 대량 학살, 섹스, 죽음과 소비지상주의를 주제로 다뤄 왔다. 이번 전시는 2002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채프만 형제의 작품 세계 전반을 아우르며 신작 페인팅 작품 5점은 이번 전시에서 최초 공개되는 것이다. “작품 자체가 내면을 바라본다기보다 외면을 바라보는 시선이다” 22일 송은 아트스페이스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한 채프만 형제는 좋은 예술가가 되려면 자신에게 어떤 상처가 있거나 다른 사람과 다른 특별한 경험..
-
[기자회견 현장] 10년 맞은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오는 9월 5일 열린다REVIEW/Movie 2013. 8. 23. 11:51
▲ 박동현 집행위원장 오는 9월 5일부터 12일까지 한국영상자료원 및 KU 시네마테크, 스페이스 셀에서 제10회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EXiS2013, 이하 ‘엑시즈’)이 무료로 열린다. 지난 13일 오후 3시경 KU 시네마테크(서울 건국대학교 소재)에서 ‘엑시즈2013’ 기자회견이 열렸고, 박동현 집행위원장, 이장욱 부집행위원장, 이행준 실험영화 감독이 참석했다. 10주년을 맞아 ‘엑시즈2013’에서는 그 동안 해온 것들을 다시 돌아보는 취지에서 프로그램이 마련됐으며, 한 명을 집중 조망하는 회고전이나 인디 비주얼이 빠진 대신, 경쟁 프로그램이 하나 더 늘었다. ‘제임스 베닝’의 장편 영화 (121분)나 ‘나타니엘 도스키’의 (18분 30초) 등 국제 경쟁 4부분, 국내 작가 임철민 작가의 장편 (6..
-
[제천국제음악영화제] 16개의 발타리 필름 익스페리먼트(valtari film experiment)에 관한 메모REVIEW/Movie 2013. 8. 21. 13:04
1. varúð by inga birgisdóttir 어떤 자막도 없이 흘러간다. 그저 음악과 시적인 이미지들로 이뤄진 영상뿐이다. 화면 전체를 뒤덮으며 눈이 온다. 점차 밝아져 산과 강이 펼쳐지자, 마치 사운드는 이 세계 자체를 밝히며 오는 듯하다. 곧 음악은 축소되어 배경을 장식하는 대신, 그 배경 자체의 울림으로 온다. 이는 대부분의 영화에서 내러티브를 보충하는 측면에서 음악이 사용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특별한 뮤직비디오, 그리고 음악 자체를 상징하는 영상을 다시 만드는 프로젝트에 의한 것일 것이다. 이어 거대한 절벽들 사이에 한 사람이 손전등을 켰다 껐다 한다. 이 무수한 존재들의 점차적 증가, 그에 결부되는 음악의 상승은, 신비한 느낌을 선사한다. '이들은 어디서 왔는가, 도대체 누구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