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어터 백, <서바이벌 파라다이스>: '닮은 듯 다른 게임과 현실, 그 간극으로부터'REVIEW/Theater 2013. 8. 16. 05:48
▲ 씨어터 백, (연출 백순원) [사진 제공=씨어터 백] 두 명의 포옹하고(관계 맺고) 있는 배우, 그 앞에 ‘환상’을 품은 여자는 관객의 ‘퍼포머’로의 접속 지점이자 관객의 시선이 체현되는 부분이다. 이후 특이점은 말이 없는 퍼포머들이 구현하는 극적 세계의 양상이다. 4개의 큐브 사이를 이동하거나, 공간의 특정 좌표를 표시할 수 있는 영역으로 두고 ‘무인도’를 구현한다. 이 공간을 섬으로 환유할 수 있는 물리적 메커니즘은 바로 조명이다. 정확히는 암전을 통해 달라진 위치와 시간의 흐름을 손쉽게 가져간다. 이 무인도가 실제에서의 일상 너머의 ‘실재’로 갑작스레 건너뛰는 것이라면, 그러나 이는 다시 게임의 일부를 곧 현실에서 아바타를 상정한 것에 불과한데 가상을 현실에 앞세운 것이다. 가령 유난히 잦은 암..
-
권병준 <모든 것을 가진 작은 하나Ⅱ>: '분산과 합산으로서 협업'REVIEW/Interdisciplinary Art 2013. 8. 16. 05:37
▲ [탁월한 협업자들]전 포스터 [제공=일민미술관] 기타 연주와 무용수, 비닐봉지의 표피라는 기표, 일상에서 채집한 사운드로 뒤섞이고 반면 그 비닐봉지의 속은 그 끝은 절대로 드러나지 않고 다만 그것의 불가능성을 구현하고 동시에 그에 맞설 때뿐이다. 내지는 그것을 전제로 삼으며 나아간다. 아니 부유한다. 이 표면에서 울림 나아가 존재의 삼항조는 표현 불가능한 실재로서 표면, 울림 위에 퍼지는 언어들의 합산이란 상징적 코드, 존재 이전에 단편적 몸부림이라는 상상적 영역으로 세 층위의 합산으로 이어진다. 무용수의 춤은 이 공간 위의 적응이 아닌 환경에의 타자 되기, 그리고 음악과 함께 사라지기에 가깝다. 음악, 영상, 몸이 합산되고 서로에게로 융화되어 울림의 리듬, 움직임의 ‘반복’됨이라는 하나의 구문으로 ..
-
김현탁, 연극 <성북동갈매기>: '연극과 현실의 경계에 대한 재환기'REVIEW/Theater 2013. 8. 16. 03:33
▲ 극단 성북동비둘기, 연극 (연출: 김현탁) 는 기존 원작에 대한 재현 도식과 재현하고 있음의 메타 의식의 재전유 전략이 공존하며 실재와 가상의 경계를 끊임없이 전도하며 지속한다는 것에 유의해서 볼 수밖에 없다(이것은 포스트모던 이후의 연극의 한 대표적인 그리고 성공적인 전략이라 할 수 있을까). ‘트레프레프’는 무대 주변부를 어슬렁거리는 ‘니나’라는 짐을 떠안으며 무대 밖에 구질구질하게 정박해 있는가 하면 빈 무대를 두고 와 뜀박질로 그 부재를 오히려 드러내는 방식으로 존재하기도 한다. 강과 일상이라는 원작의 공간 관련한 알레고리는 무대와 (관객과 영역/무대를 공유하는) 무대 밖이라는 좁은 현실로 치환되는 듯싶다. 적어도 사각 프레임의 무대 바깥은 해안이라는 경계는 된다. 강은 이 무대 너머에 있다...
-
<영원한 침대>: '미완성의 모색들'이 가진 미학REVIEW/Interdisciplinary Art 2013. 8. 16. 02:56
▲ 콘셉트 이미지 [제공=LIG아트홀] 배우들은 공간의 각기 다른 곳에 위치해 있다. 일상을 환영으로 전도하는 이 ‘위치함’은 이들이 분명 같은 공간에 있지만 배우라는 암묵적 전제가 자리한 채 특정한 피사체가 되며 동등한 입장에서 의미 교환을 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환영적으로 자리하는 배우들의 움직임을 열어주는 건 연출의 개입인데 이는 기존의 비가시적인 연출의 영역의 경계 허물기나 아니면 또 다른 역할로의 극 내재적인 등장으로 보기에는 모호한 부분이 있다. 연출은 거의 들리지 않는 입만 뻥긋하는 듯한 말을 흘려보낸다. “말은 명령어”(들뢰즈)로 직접 작용하며 이 정지된 피사체의 접근 불가능함의 영역을 붙잡을 수 없음의 유동하는 흐름으로 바꾸어 놓는다. 마치 어떤 영감과도 같은 이 ‘들리지 않음’의 말은..
-
박나훈 <이웃>: '이웃으로서의 타자'REVIEW/Dance 2013. 8. 16. 02:48
▲ 박나훈 포스터[=박나훈 무용단 제공] 로비에서 박나훈과 김준기는 관객과 경계선을 긋지 않고 ‘어느새’ 출현한다. 이미 ‘정시’라는 관념과 그것을 둘러싼 침묵까지가 공연의 일부로 말려들어가고 있다. 영어 교육용 발음 청취 테이프의 무작위적인 재생은 그 자체의 리듬 패턴을 그리며 단속적인 출현의 텅 빈 기표의 흐름으로 이어진다. 이는 춤에 대한 직접적인 묘사도 춤이 가져가야 할 정서 역시 아닌 반면, 이 단어들과의 마주침은 이 두 남자가 각자의 영역을 그리며 맞닿고 떨어져 가는 단속적인 접속과 흩어짐과 같이 그저 나타남과 반복을 가능케 하는 순간적인 구성이라는 역량 아래 있다는 점에서 닮아 있다. 어깨를 맞대는 친밀한 인사와도 같은 제스처는 이 공연의 하나의 모티프이자 제사(題詞)이다. 이웃이기에 가능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