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0-70년대 실험 작품들', 김구림 작가의 독자적인 세계 속으로 <김구림 초대전>PREVIEW/Visual arts 2013. 8. 18. 06:09
▲ (: 시간에 따른 변화가 작품을 이룬다), 7/15(월)일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1층 로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 당시 촬영 (이하 상동) 정말 다양한 작품들로 이뤄졌다. 회화는 물론 설치미술·퍼포먼스·필름까지 다룬 작가의 작업은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한편 개념적인 측면을 담고 있다. 미술관에 들어서면 커다란 설치미술들이 ‘시원하게’ 자리하고 있다. 말 그대로 가장 먼저 보이는 작품 중 하나인 얼음이 녹는 1970년 작업이 다시 제작된 가 있다. 1964년 발표한 은 검은 비닐로 감싼 나무 패널에 불을 붙이고 어느 시점이 지난 후 담요로 덮어 불을 끈 뒤 완성되는 작품으로 행위가 작품에 결부되어 있다. 전시 구성에서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 음향적인 측면인데 를 비롯하여 슬라이드 넘기는 소리가 전시장의 주의를..
-
전시 <조각의 속도>, 권오상과 테츠야 나카무라PREVIEW/Visual arts 2013. 8. 18. 05:21
▲ 권오상, The Sculpture 2, 브론즈에 페인트, 462×220×113cm, 2005 헤이리의 BSSM 백순실미술관에서 전시 전(9.7-11.3)이 열린다. 보통 느림을 지향하는 미술관에서 가장 빠른 조각을 선보인다. 슈퍼카와 경주용차를 보여주는 권오상과 테츠야 나카무라의 작품을 통해 이 전시는 조각에 현대사회를 투영시킨다. 특히 무거운 덩어리로서의 조각이 표면의 시각성을 통해 가벼워지고 미끄러지듯 0의 속도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것에 주목하며, 이 전시는 질주하듯 다가오는 현대사회 이미지의 속도를 조각에 오버랩하는 가운데, 두 조각가의 조각에 관한 이야기를 다룬다. 온통 오렌지색 페인트로 표면이 뒤덮인 권오상 작가의 람보르기니 「The Sculpture 2-Car」는 브론즈 덩어리로서의 중량감..
-
<북극가>: ‘음악과 함께 하는 판소리’REVIEW/Theater 2013. 8. 18. 03:58
▲ 포스터 [=MJ planet 제공] 북극곰이 겪는 재난의 상황이 펼쳐진다. 이는 지구적 재앙의 비가시적 간접적인 영향권 아래 있는 우리의 실제적 무지한 순수한 인식(이들이 그 원인을 모르듯)에 상응하며, 반면 그 이면에는 책임과 결과의 엇갈린 적용 아래 우리가 그 책임을 인식 못하고 사는 것처럼, 그리고 그 환경 파괴의 결과의 시차적인 적용을 인식하는 가운데 인류적 재앙을 미리 목격하는 셈이다. 반면 그 결과 곰돌이의 죽음 및 그의 어미도 떠나고, 깊은 나락으로 떨어져가며 ‘끝없는 끝’, 곧 ‘극적인 죽음’ 의 적막한 대기가 이어지며 창자도 떠난다. 그리고 이전의 무대에서의 고수가 피아노를 치고 창자가 되어 노래하며 역할의 전이가 발생한다. 만화적 프레임 안에 담긴 사진들이 컷의 미학으로 나타나며 이..
-
연극 <안녕, 마이 버터 플라이>: 연극의 현실로의 환원을 시도하기REVIEW/Dance 2013. 8. 18. 03:53
▲ 7/5(금)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에서 열린 연극 프레스콜 장면(이하 상동) 시작은 실제 손숙의 극에 맞춰 공연 시작 전 진행 상황이 그려진다. 서은경과 김원해는 뒤늦게 등장하고 그것이 곧 시작될 것임을, 아직 시작되지 않았음에서 시작된다. 공연 전 스태프가 공연이 시작됨을 알리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낸다. 가상적으로 실제를 그리는 이 공연 시작 전의 모습은 이 공연이 ‘손숙의 인생과 직접적으로 닿아 있는 공연’임을 그 바깥의 경계로부터 상정해 낸다. 이는 어떤 고전의 차용이 아닌, 현재의 삶과 역할 이전의 배우 자체로부터 출발하는, 어느 정도 그 자체로 손숙과 연극에 대한 것들이 현시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손숙의 고유의 톤과 음색, 표정은 이제 어떤 ‘역할’로 건너가는 간극을 낳는 대신 손숙이 갖고 ..
-
2013 한국을 빛내는 해외무용스타 초청공연 리뷰REVIEW/Dance 2013. 8. 18. 03:21
김지원 & Emil Faski (독일 킬 발레단), 자신의 신체를 감싸자 내면의 표현이 되고 남자는 조명에 의해 환영으로 드러난다. 무겁고도 유연하게 곧 한 발로 중심을 잡을 때 역시 이는 고정된 순간보다 그 무게로 상대방과 한 덩어리의 신체를 이루며 그 무게중심이 드러나게 또 둔중한 자취로 가 버림을 드러내는 데 있다. 바람처럼 남자의 품을 맴도는 자취이거나 매우 가벼운 휘발의 표지에 일말의 황홀일 수 있다. 이는 구체적으로 둘이 스쳐 지나가며 그리고 엇갈린 두 스텝으로 이 중간태의 두 순간 정도로 보인다. 윤전일 (함부르크 국립발레단), 윤전일은 바이올린 주선율과 피아노 구문의 단단한 중심을 잡는 선율에 이전됨의 시간에 감정의 밀도를 집약된 춤과 감정으로 군더더기 없이 보여준다. 이는 외떨어진 사각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