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용 <COSMOS> 리뷰, '인류의 기원'카테고리 없음 2013. 3. 13. 00:43
집단적인 제의 의식이 공연 전반을 지배한다. “나는 사유한다”가 곧 존재를 확정하는 근대적 주체의 탄생이 됐던 사고 대신 인류의 탄생은 우선 몸이었음을 는 보여준다. 이 몸은 춤을 추기 때문에 몸인 대신 ‘아직 깨어나지 않은 몸’이기 때문에, 여기에 가해지는 레이저 빛은 몸을 거쳐 반사됨으로써 오히려 이 환영적 장치가 실재를 증거하는 근거가 된다. 다시 말하자면 이 레이저 조명이라는 이번 공연에 ‘특별히’ 첨가되어 구현된 ‘극장 테크놀로지’는 몸을 다른 식으로 증명하는 것이다. 웅얼거림의 집단 공명으로서의 음악, 몸을 더듬는 하지만 출산의 목적을 띠기보다는 그저 의식적인 과정으로서의 섹스 등 사회를 형성하는 제반 양상들이 만들어진다. 여기에 이 의식 없음의 신체들, 곧 존재자들 가운데 누군가 앞서 나오며..
-
국립현대미술관 《젊은 모색 2013》신선한 발상, '9작가의 이야기를 듣다'PREVIEW/Visual arts 2013. 3. 12. 23:04
오는 12일부터 6월 23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제1전시장에서 《젊은 모색 2013》전이 열린다. 1981년 첫 시작되어 제 17회를 맞은《젊은 모색》과 관련해, 최은주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 1팀장은 “서도호·최정화·이불 등 국제적인 작가들이 배출이 됐고, 한국 미술의 중요 작가들을 인큐베이팅하는 전시로 다시 형식을 갖춰야 되겠다는 생각을 했다. (……) 한국 청년 작가들이 참여하고 그 다음 기반을 마련하는 기회를 마련코자” 한다며 ‘과천관’에서의 지난 2010년 이후 실시된 격년제가 아닌, 해마다 개최하게 된 배경을 전했다. 김태동 작가는 새벽 텅 빈 거리를 찍기 시작하다 우연히 그곳을 지나가는 사람들을 그림에 중심에 놓으며 자신의 작품 세계를 새롭게 열었다. “처음 만나는 사람들과의 긴장감”을..
-
첫 번째 차세대안무가클래스 쇼케이스 리뷰REVIEW/Dance 2013. 2. 5. 17:06
유희주 : '환영 속에 허덕이는 신체' 환영으로서의 몸을 포함해 세 개의 프레임이 있다. 스크린, 내레이션이 나오는 다림질 방, 나방이 불빛에 퍼덕이는 것을 연상시키는 춤의 사각 프레임이 그것이다. 무용과 연극, 그리고 무용과 영상 드라마의 접합은 이 몸이 환영화될 수 있는가의 기술적·매체적 물음을 낳는다. 곧 이 접합이 합치를 지향할 때, 이 합치는 가능한지의 물음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물음은 늘 상존한다. 말 없는 무용의 신체에 말하는 주체의 등장에 이 몸의 불일치에도 일치를 지향해야 하는지의 수용의 태도에 있어 생겨나는 물음이다. 조명의 달라짐은 세계의 변환 내지 심상의 전환을 꾀하며 이 말들이 지닌 삶에 대한 흔적들의 언어, 곧 흔적을 따라가는 나만의 언어가 음악 장 속에 기입됐지만, 여기 신..
-
'워싱턴부터 재키까지', '미국미술 300년'을 조망하다-10개의 장면scenePREVIEW/Visual arts 2013. 2. 5. 15:14
2013년 국립중앙박물관 기획특별전 “미국미술 300년 Art Across America”전이 국립중앙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5일부터 오는 5월 19일까지 열린다. 워싱턴 대통령시절부터 재키(재클린 케네디)까지, 신대륙 발견의 시절부터 오늘날의 미국을 168점의 회화 및 공예품들을 담았다. “미국미술 300년” 전은 미국을 대표하는 로스앤젤레스카운티미술관, 필라델피아미술관, 휴스턴미술관, 테라 미국미술재단 등 4개 기관에서 작품을 대여했고, 6개 주제로 구성됐다. 교환 전시의 일환으로 마련된 이번 전시는 미 연방 예술인문위원회로부터 전시지불보증(Indemnity)을 받아 진행됐고, 2014년에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의 조선미술대전이 미국을 순회할 예정이다. 마이클 고반(Michael Govan, 사진 위)..
-
두 번째 <차세대안무가클래스> 쇼케이스 리뷰REVIEW/Dance 2013. 1. 31. 16:51
아르코공연예술인큐베이션 의 쇼케이스 공연이 지난 27일부터 오는 2월 2일까지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에서 진행된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주최하고 한국공연예술센터가 주관하는 에는 총 13명의 차세대 안무가들의 작품이 각각 무대 위에 오르며, 준비 기간 동안 다양한 강좌와 워크숍, 그리고 멘토들의 참여가 함께 진행되어 왔다. 몸은 말을 잃어버리다 : 최명현, 초원의 배경과도 같은 어떤 공간도 잡아두지 못한 ‘의식의 실존’의 흐름, 처음 시작에는 일종의 구김이 있었다. 이는 일순간이고, 대체로 몸은 흔적이라기보다는 정체됨의 은유로 작용한다. 의식의 흐름을 만드는 내레이션에 몸이 따라 붙는 방식, 문학을 재현하는 방식으로서 몸이 존재한다. 어둠 속 검은 마스크들을 쓴 존재자들은 무의식적 자아들이라 부를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