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싸이의 시청 앞 공연에서 간과된 사실들카테고리 없음 2012. 10. 4. 22:32
'세계시민으로서 자랑스런 서울시민이 되는 길' 싸이의 서울광장에서의 공연이 일사천리로 진행되고 있다. 싸이는 '강남스타일'의 빌보드 차트 1위를 목전에 앞둔 상황에서 1위에 오륵게 되면, 시청 앞에서 웃통을 벗고 공연을 하겠다고 공약을 했다. 싸이의 이러한 공약은 2위임에도 우리가 그 공연을 볼 수 있다는 시혜를 베푸는 형태로 전환됐다. 이에 대한 서울시의 긍정적인 수용으로 싸이의 공연을 볼 수 있게 됐다. 공약이란 원래 현실에서의 성사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이고, 약속이란 하나의 상호 합의에 의한 것이므로 공약이 어느새 약속으로 둔갑하는 가운데 사실상 싸이가 처음 내뱉은 공약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게 허공에 붕 떠 있었지만, 이는 정말 불가능할(?) 정도로 쉽게 실현됐다. 언론이 말하는 하나의 오류를 짚자..
-
글로벌개더링, 오는 5-6일 캐리비안 베이에서 열린다(with '데이비드 게타')PREVIEW/Festival 2012. 10. 1. 12:03
오는 10월 5·6일 양일간 경기도 용인시 캐리비안 베이에서 글로벌개더링코리아2012(이하 글로벌개더링)가 열린다. 2001년에 영국에서 시작되어 세계 각국에서 개최되고 있는 일렉트로닉 뮤직 페스티벌 글로벌개더링은 국내 대표적인 일렉트로닉 뮤직 페스티벌로 자리 잡았으며, 올해 페스티벌에서 눈에 띄는 두 가지는 우선 지난 8월 9일 최초 내한을 밝힌 세계 정상의 디제이 겸 프로듀서인 데이비드 게타(David Guetta)가 라인업에 올랐다는 점과 그간 개최됐던 한강공원 난지지구가 아닌 워터파크인 캐리비안 베이에서 열린다는 점이다. 글로벌개더링은 지난 8월 2일 개최 장소와 라인업 공개 이전에 블라인드 티켓 1,000매가 하루 만에 매진된 바 있는데, 캐리비안 베이의 새로운 장소 선정은 조금 뜻밖이기도 하고..
-
국립무용단 <도미부인>, 꽉 찬 무대는 가능성. 세세한 안무와 이야기 부분은 아쉬움REVIEW/Dance 2012. 9. 18. 14:43
처음부터 무대는 꽉 찬다. 군무의 크기는 엄청나다. 이른바 스펙터클의 미학이다. 처음 뒤돌아서 추는 군무, 그리고 스텝의 잔 이동은 하나의 판 자체가 유동하는 형국이다. 이 대규모 군무는 사당패의 춤에 따라 넘실대는 벼의 물결 같이 촘촘히 뭉쳐 커다란 흐름으로 여겨진다. 안무는 이 커다란 판짜기에 요체가 있다. 곧 판의 흐름을 통제하고 다루는 데 있다. 여기에 우리식 교향악이 무대를 뒤덮는다. 주로 태평소와 같은 요란하다 싶을 정도의 거센 악기의 멜로디가 무대의 스펙터클을 가져가는 데 힘을 더하고 장구 등의 악기는 이 분위기를 급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덩실대고 굼실거리며 팔랑이는 잔 몸짓들은 사실 이 큰 도저한 흐름 속에 순간적으로 두드러진다. 사실상 이 밝음의 놀이판의 군무는 이 극의 스토리텔링 안에서..
-
영화 <피에타> 리뷰, '불가능성의 구원을 이야기하다'REVIEW/Movie 2012. 9. 5. 11:00
▲ 영화 스틸 [사진 제공=NEW] (이하 상동) 냉혹한 사채 청부업자 강도는 예의 엄청나게 불어난 돈을 받으러 가서 끔찍한 순간의 신체 형벌로 상대를 불구로 만들고 보험금을 받아 그 돈을 갈음한다. 피에타의 전반은 이 건조한 형벌의 집행과 무기력하게 그에 당하는 힘없는 자들의 모습을 어둡게 그려낸다. 어둠 속 강도 역의 이정진의 눈은 악마의 시선으로 묘사되지만, 실상 두려움과 공포를 야기하지는 않는다. 메두사의 머리는 그것을 보는 순간 즉시 온 몸을 굳어버리게 해서 죽음에 이르게 하지만 이 공포는 형용할 수 없는 것, 얼어붙게 만드는 것, 그래서 매혹적인 그 무엇이다. 하지만 오히려 이정진의 시선은 영혼 없는 무엇이다. 그의 상대들이 그와의 부조리한 계약에 항거할 수 없듯 어떤 정이나 따스함도 여기에는..
-
추천영화 <카우보이>, 2012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 개막작REVIEW/Movie 2012. 8. 24. 22:59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라는 영화제가 있습니다. 이 청소년은 청소년만을 위한 영화를 가리키는 걸까요. 내지는 청소년만이 만든 영화를 말함일까요.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는 청소년을 위한, 또 청소년에 의한 영화제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어제 개막작 카우보이(감독: 부드윈 쿨)을 보고 청소년의 감성을 담아낼 수 있는 작품이라는 것을 한 가지 더 추가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청소년의 청은 ‘푸를 청(淸)’입니다. 이는 언 대지가 녹고, 푸르른 생명들이 자라나는 봄이라는 계절을 닮아 있습니다. 각박해져만 가는 세상에서, '묻지마 범죄'가 일어나는 것은 우리가 공동체적인 삶의 영토를 잃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한편으론 생명의 가치, 생명으로서의 가치를 잃었기 때문인 것도 중요한 까닭이 되는 것 같습니다. 바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