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전 발레와 대별되는 사실적 드라마 발레 <로미오와 줄리엣> 리뷰REVIEW/Dance 2012. 7. 12. 13:13
사실적이고 자연스레 있는 현실로의 가교 ▲ 케네스 맥밀란 안무, 유니버설 발레단의 [사진 제공=유니버설발레단] (이하 상동) 입체주의적인 그림의 막, 무대 배경의 어둠은 과거와의 시차를 이루며 이 그림 안 현실에 극을 편입케 하는 유리한 기제로 작용한다. 무대 중앙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의 걸음은 현실의 그림 안에서 걸어 나오는, 그야말로 자연스런 그 일부로서의 출현이다. 여기에 광주리를 맨 여자들을 비롯하여 무대는 질서 없이 채워져 짜인 무대가 아니라 세계 그 자체의 모습을 반영한다. 이는 중간 중간 무대 전환 이후 등장하는 인물들의 구성과 연기에서도 이어졌다. 케네스 맥밀란 안무의 에서의 이러한 사실적인 장면들은 어떤 급격함이나 고난이도 테크닉이 그러한 몰입을 심히 강요하지 않는다. 이 세계를 시대의 시..
-
연극 <전하의 봄> 리뷰 : '역사와 현재의 혼재화된 현실에서'REVIEW/Theater 2012. 7. 11. 17:21
연극은 현실과 가상의 혼재된 전략에서 진행된다. 안경을 쓴 전하와 양복 입은 하인의 대면에서부터, 무대 밖 극장 문은 닫히지 않고 끊임없이 이 무대로서의 연습실에 곧 역할로서 임하기 위해 들어오는 배우들의 들락날락거리는 입구가 된다. 이는 현실과 무대를 잇는, 또는 관객의 의식에서부터 무대로의 시간의 터널인 셈이다. 여기에 악기가 장단을 맞춰 끼어들며 현실을 놀음판의 연장선임을 자연스레 확인시킨다. 선글라스를 낀 전하는 지난 어느 특정 시점의 전하에 근접하며, 안경 낀 양복 입은 남자 하인은 마치 상사에게 압박받는 샐러리맨 같은 유사성을 주며 역사를 집약하는 통시성의 조건을 이룬다. 끊임없이 연극이 이뤄진다는 의식과 함께 연극의 시간 터널의 지점은 한편 무대에서는 연습 현장에서 연극의 실제 현장으로 차원..
-
강낙현·정보경 융복합공연 프로젝트 <2012 DRIVE-THRU>, '스크린‧신체‧음악의 상호 매개'REVIEW/Dance 2012. 7. 9. 11:32
▲ 강낙현·정보경 융복합공연 프로젝트 [사진 제공=FOYER Productions] (이하 상동) 영화의 깜빡임의 점멸과 폭풍우 같은 무언가 폭발을 배태하는 잠재 풍경, 그리고 이 스크린이 비추는 무용, 스크린과 합일된 무용의 흔적은 낯설다. 무엇보다 영화는 다 드러나지 않는 공간을 재현한다. 신체는 의도치 않게 영상 속에서 부분 신체로(프레임과 격렬히 항전한다), 몸은 무대를 향하고 빛은, 오하드 나하린의 와 같이 원형의 대열로 벌린 의자들에 앉은 무용수들을 비춘다. 나하란의 작품처럼 분출로서의 어떤 절규의 수반됨 없이 이 스타카토의 반복적 ‧강박적 박자는 계속된다. 이 안에서 그 에너지를 잠재해 놓고 있다. 즉 온전히 감내해 낸다. 어쩌면 시계의 방향을 상정해 놓은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곧 초과하..
-
'조상이 남긴 꿈' 미연&박재천 듀오, '오랜 것과 조우하다'REVIEW/Music 2012. 7. 7. 11:39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 미연과 박재천 듀오의 우리 음악과의 신선한 접목 오는 21일까지 열리는 2012 여우樂 페스티벌 의 첫 번째 공연이 지난 3-4일 국립극장 KB국민은행청소년하늘극장에서 열렸다. 피아노의 미연과 드럼의 박재천의 그 자체로 혼종hybrid의 만남에, 안숙선 명창, 김청만 고수, 꽹과리의 이광수가 후반부에 무대에 올라 신선한 접목이 새롭게 만들어졌다. 박재천은 판소리, 무속, 사물가락 등 한국의 전통음악과 20C 현대음악의 일련의 기법을 연구하여 드럼 세트와 전통 타악기의 혼합된 자신만의 악기 세트를 구성한다. 미연은 아방가르드 피아노 연주자이자 전통음악의 장단과 선율을 연구하여 서양적인 화성과 리듬구조를 만드는 데 탁월하며, 프리 연주자로서 강렬한 건반 터치의 주법을 구사한다..
-
연극 <안티랜드> 리뷰 : 국가와 개인 간의 비틀린 관계를 묻다REVIEW/Theater 2012. 7. 6. 10:43
소포클레스의 희곡 『안티고네』를 현실의 질문으로 옮기다 ▲ 연극 [사진 제공=100페스티벌] (이하 상동) : 100페스티벌은 '순수한 연극정신의 회복과 새로운 관객 창출'을 의도하는 독립연극공동체운동의 일환으로, '100 연극공동체'가 주최하는 페스티벌이다. 페스티벌의 이번 주제는 ‘연극, 정치를 말하다’로, 국가와 개인 간의 문제에 질문을 던지는 작품인 극단 '코뿔소'의 연극 (연출: 신동인, 상연 기간: 7월 3일~8일)는 이 페스티벌의 첫 번째 작품이다. ‘테베의 왕 오이디푸스의 딸, 안티고네는 아버지의 죽음 이후 테베로 돌아오고, 자신의 두 형제가 왕위를 둘러싸고 싸우다 죽고 대신 자신의 숙부 크레온이 새로운 테베의 지배자가 됨을 경험한다. 크레온은 두 형제 중 폴리네이케스를 역적으로 취급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