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상이 남긴 꿈' 미연&박재천 듀오, '오랜 것과 조우하다'REVIEW/Music 2012. 7. 7. 11:39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 미연과 박재천 듀오의 우리 음악과의 신선한 접목 오는 21일까지 열리는 2012 여우樂 페스티벌 의 첫 번째 공연이 지난 3-4일 국립극장 KB국민은행청소년하늘극장에서 열렸다. 피아노의 미연과 드럼의 박재천의 그 자체로 혼종hybrid의 만남에, 안숙선 명창, 김청만 고수, 꽹과리의 이광수가 후반부에 무대에 올라 신선한 접목이 새롭게 만들어졌다. 박재천은 판소리, 무속, 사물가락 등 한국의 전통음악과 20C 현대음악의 일련의 기법을 연구하여 드럼 세트와 전통 타악기의 혼합된 자신만의 악기 세트를 구성한다. 미연은 아방가르드 피아노 연주자이자 전통음악의 장단과 선율을 연구하여 서양적인 화성과 리듬구조를 만드는 데 탁월하며, 프리 연주자로서 강렬한 건반 터치의 주법을 구사한다..
-
연극 <안티랜드> 리뷰 : 국가와 개인 간의 비틀린 관계를 묻다REVIEW/Theater 2012. 7. 6. 10:43
소포클레스의 희곡 『안티고네』를 현실의 질문으로 옮기다 ▲ 연극 [사진 제공=100페스티벌] (이하 상동) : 100페스티벌은 '순수한 연극정신의 회복과 새로운 관객 창출'을 의도하는 독립연극공동체운동의 일환으로, '100 연극공동체'가 주최하는 페스티벌이다. 페스티벌의 이번 주제는 ‘연극, 정치를 말하다’로, 국가와 개인 간의 문제에 질문을 던지는 작품인 극단 '코뿔소'의 연극 (연출: 신동인, 상연 기간: 7월 3일~8일)는 이 페스티벌의 첫 번째 작품이다. ‘테베의 왕 오이디푸스의 딸, 안티고네는 아버지의 죽음 이후 테베로 돌아오고, 자신의 두 형제가 왕위를 둘러싸고 싸우다 죽고 대신 자신의 숙부 크레온이 새로운 테베의 지배자가 됨을 경험한다. 크레온은 두 형제 중 폴리네이케스를 역적으로 취급하여 ..
-
2012 변방연극제, '연극, 정치를 묻다'PREVIEW/Festival 2012. 7. 4. 14:51
오는 4일부터 20일까지 올해 14회째를 맞는 변방연극제가 "연극없는 연극, 정치 없는 정치" 주제로 열린다. 2012 서울변방연극제는 지난 변방연극제의 그것과 다른 2012년 선언문manifesto을 새롭게 내걸었다. 곧 일종의 마니페스토에서 서울변방연극제의 정의는 ‘동시대의 연극성을 새롭게 조망하고 질문하는’‧‘연극과 연극, 연극과 삶과의 경계에서 균열과 아름다움을 사유하는’‧‘불가능한 것들의 가능성을 모색하는’‧‘이상한 것, 낯선 것, 잡것들의 미학을 추앙하는’‧‘연극이 아닌 모든 것들의 연극제’ 이상 5개의 특성을 가리키고 있다. 이를 어떤 식으로 바라볼 수 있을까. 우선 동시대 곧 컨템퍼러리contemporary의 연극성은 하나의 틀로 정위되지 않는 커다란 하나의 흐름 안에 ‘지금 여기’에서 작..
-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제3회 여우樂(락)페스티벌 펼쳐보기PREVIEW/Festival 2012. 7. 3. 19:28
▲ 제3회 여우樂(락)페스티벌 포스터 [제공=국립극장] 오는 3일부터 21일까지 19일간 국립극장(극장장 안호상)이 주최하는 제3회 여우樂(락)페스티벌-「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가 국립극장에서 열린다. 양방언을 예술감독으로 영입하면서 달오름‧하늘‧야외광장까지 공간을 확대하고, 참여하는 13개 연주 팀이 21일에는 한 차례 함께하는 ‘여우락 콘서트’도 마련된다. 지난 6월 15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양방언은 작년에 연주자로 참여했던 경험에 비추어 연주자는 그 순간마다 실시간의 반응을 커뮤니케이션으로써 주고받는 게 생명이고 기쁨이기도 한데 이번에 예술감독으로 참여하면서 전체적으로 공간의 확장에 대해 더 생각했다고 전했다. 일본에 살고 있고 조금은 친숙한 듯 낯선 그가 일본이 아닌 한국 음악을 우리의 음악이..
-
연극 <봄의 노래는 바다에 흐르고> 리뷰 : ‘희극의 쾌락주의에서 비극의 숙명주의로’REVIEW/Theater 2012. 7. 3. 11:03
‘희극으로 가늠하는 현실(역사)의 망각’ 축제와 아득한 축복의 순간들 ▲ 연극 , 셋째 딸 미희와 만석의 결혼식 장면 [사진 제공=남산예술센터] 일제 강점기가 끝나가는 시점에서 육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섬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연극 는 그 속에서 이발소를 꾸리고 사는 홍길과 영순, 그리고 그 두 부부의 자식들의 삶의 터전을 제시한다. 그 풍경은 자연스레 프로시니엄차이를 지우고 남산드라마센터의 원형식 관객석이 더해져 마당 구조의 개방된 무대 형태를 선사한다. 이 이발소 의자를 정확히 무대 중심으로 둔 삶의 터전은 따뜻하다. 셋째 딸 미희와 만석의 결혼식 장면의 현실은 축제로 전도되는 것 같다. 현실은, 이 순간은 그러니 곧 객석과 무대를 허무는 한 순간이기도 하다. 그 와중에 막내딸인 정희는 빛을 보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