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2 변방연극제, '연극, 정치를 묻다'PREVIEW/Festival 2012. 7. 4. 14:51
오는 4일부터 20일까지 올해 14회째를 맞는 변방연극제가 "연극없는 연극, 정치 없는 정치" 주제로 열린다. 2012 서울변방연극제는 지난 변방연극제의 그것과 다른 2012년 선언문manifesto을 새롭게 내걸었다. 곧 일종의 마니페스토에서 서울변방연극제의 정의는 ‘동시대의 연극성을 새롭게 조망하고 질문하는’‧‘연극과 연극, 연극과 삶과의 경계에서 균열과 아름다움을 사유하는’‧‘불가능한 것들의 가능성을 모색하는’‧‘이상한 것, 낯선 것, 잡것들의 미학을 추앙하는’‧‘연극이 아닌 모든 것들의 연극제’ 이상 5개의 특성을 가리키고 있다. 이를 어떤 식으로 바라볼 수 있을까. 우선 동시대 곧 컨템퍼러리contemporary의 연극성은 하나의 틀로 정위되지 않는 커다란 하나의 흐름 안에 ‘지금 여기’에서 작..
-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제3회 여우樂(락)페스티벌 펼쳐보기PREVIEW/Festival 2012. 7. 3. 19:28
▲ 제3회 여우樂(락)페스티벌 포스터 [제공=국립극장] 오는 3일부터 21일까지 19일간 국립극장(극장장 안호상)이 주최하는 제3회 여우樂(락)페스티벌-「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가 국립극장에서 열린다. 양방언을 예술감독으로 영입하면서 달오름‧하늘‧야외광장까지 공간을 확대하고, 참여하는 13개 연주 팀이 21일에는 한 차례 함께하는 ‘여우락 콘서트’도 마련된다. 지난 6월 15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양방언은 작년에 연주자로 참여했던 경험에 비추어 연주자는 그 순간마다 실시간의 반응을 커뮤니케이션으로써 주고받는 게 생명이고 기쁨이기도 한데 이번에 예술감독으로 참여하면서 전체적으로 공간의 확장에 대해 더 생각했다고 전했다. 일본에 살고 있고 조금은 친숙한 듯 낯선 그가 일본이 아닌 한국 음악을 우리의 음악이..
-
연극 <봄의 노래는 바다에 흐르고> 리뷰 : ‘희극의 쾌락주의에서 비극의 숙명주의로’REVIEW/Theater 2012. 7. 3. 11:03
‘희극으로 가늠하는 현실(역사)의 망각’ 축제와 아득한 축복의 순간들 ▲ 연극 , 셋째 딸 미희와 만석의 결혼식 장면 [사진 제공=남산예술센터] 일제 강점기가 끝나가는 시점에서 육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섬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연극 는 그 속에서 이발소를 꾸리고 사는 홍길과 영순, 그리고 그 두 부부의 자식들의 삶의 터전을 제시한다. 그 풍경은 자연스레 프로시니엄차이를 지우고 남산드라마센터의 원형식 관객석이 더해져 마당 구조의 개방된 무대 형태를 선사한다. 이 이발소 의자를 정확히 무대 중심으로 둔 삶의 터전은 따뜻하다. 셋째 딸 미희와 만석의 결혼식 장면의 현실은 축제로 전도되는 것 같다. 현실은, 이 순간은 그러니 곧 객석과 무대를 허무는 한 순간이기도 하다. 그 와중에 막내딸인 정희는 빛을 보며 ..
-
2012 한국을 빛내는 해외무용스타 초청공연 리뷰 : '뛰어난 기량의 해외파 국내 무용수들을 한 자리에'REVIEW/Dance 2012. 7. 2. 14:55
▲ 김선희 발레단 [사진 제공=국제공연예술프로젝트] 시작은 김선희 발레단의 가 열었다. 하이라이트로 집약되어 있고, 충만한 발산의 지점에서 시작하는 군더더기가 없는 안무의 교차와 함께 안정감 있는 테크닉을 선보였다. 1막 솔로 바리에이션을 선보인 김한결은 서사의 흐름을 축약하는 대신 조용하고 은은하게 무대를 구축해 가며 인상 깊은 무대를 선보였다. ▲ 미국 털사 발레단의 조수연 [사진 제공=국제공연예술프로젝트] 미국 털사 발레단의 조수연과 Wang Yi의 중 발코니 파드되는 무대 상수 쪽 설치된 발코니 구조물을 배경으로 무대를 누빔이 특징이다. 은 온전하게 무대에서 확인 어려움 다양한 작품과 안무가를 만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지만 무대는 빈약하거나 비어 있을 수밖에 없고 현존으로 채우기에는 시간과 서사의..
-
국립발레단의 <poise>(안무_안성수) 리뷰 : 김주원의 국립발레단 무용수로서 마지막 공연REVIEW/Dance 2012. 7. 2. 08:49
차이의 생성의 안무, 그 속에서 김주원 차이를 벌리다. Intro : 수직성을 띤 구조물이 추동하는 무대, 즉물적 움직임_1막 1장 ▲ 지난 6월 28일 오후 3시경 서울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열린 국립발레단 50주년 기념작 프레스콜(캐스팅_김지영, 이동훈, 김리회, 이영철) 시각을 대체하며 출현하는 장엄한 음악은 이 공간을 환영의 서사로 바꾼다(의 무대는 전체적으로 1막과 2막 모두 쇼스타코비치 음악으로 주조됐다). 칸칸이 쳐 있는 구조물의 복잡함은 일순간에 사라지고 여기에 미로(迷路)의 함의는 없다. 흰색의 일렬로 올라간 구조물의 수직성은 발레 움직임의 그것을 상징한다. 곧 이 수직성의 도약의 순간은 미로보다는 발레의 움직임의 함의를 형성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