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극 <허탕> 리뷰 : '현실을 탈주하는 현실에 대한 우화'REVIEW/Theater 2012. 6. 26. 11:18
판옵티콘의 세계 ▲ 지난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소재 동숭아트센터 소극장에서 열린 연극 프레스콜 (이하 상동), 불특정인으로 죄수 2를 연기한 속 감옥에 모든 것은 자급자족이 가능하도록 조율되어 있다. 어둠과 진실, 참회‧반성의 공간을 집약하는 블랙박스를 의도적으로 역전한 화이트큐브는 죄악이 아닌 빛의 공간으로 가시화되어 있고 다 드러나고 보이는 투명성의 형태를 띤다. 바깥의 시선은 보이지 않고 오히려 여러 대의 스크린으로 매개되며 그 시선의 존재는 무화된다. 사실 죄수의 죄질이 중요치 않다. 그 죄질 또한 오해의 이름으로 둘러쳐진 세속의 일면에서 그리 멀지 않아 보인다. 일면 CCTV에 의해 복사되어 증거를 곳곳에 남기며 감시 체제의 일환에 속한 우리 삶을 적확하게 은유한 것으로 보이는 은 처음부터 ..
-
연극 <다정도 병인양하여> 리뷰 : '연출의 연애사를 함께 듣고 보다'REVIEW/Theater 2012. 6. 26. 10:34
삶과 연극 사이에서 저울질하다 ▲ 연극 최종 리허설 사진 [제공=국립극단] (이하 상동) 작품은 일종의 워크숍 북이자 연출이 작품에 끼어듦으로써 메타적 시선을 확충하는 한편(메타 연극의 면모를 가져간다고도 하겠다) 마지막에서는 더군다나 삶을 고스란히 시현함으로써 다큐멘터리 연극의 형태를 사적 연애 방담에 과감히 녹여 버리며 삶과 연극을 위태롭고 또 가볍게 저울질한다. 얼마나 연극이 삶에 다가가며 그 생생함을 체현할 수 있을까의 화두는 삶이 예술로 파고드는 자유로운 경계를 확충하는 데로 나아가지만 이 생생함의 재미, 사적 방담과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게 하는 더할 나위 없는 엔터테인먼트의 요소 속에 삶은 빠르게 흡입되며 또한 소진된다. 어쩌면 이후 성기웅의 로맨틱 서사는 관객에게 사적 방담의 사실을 묵인한 ..
-
연극 <죽은 남자의 핸드폰> 리뷰 : '휴대폰을 지닌 현대인에 대한 현실의 우화'REVIEW/Theater 2012. 6. 22. 16:48
Intro ▲ 콘셉트 촬영 사진 [제공=맨씨어터] (이하 상동) 은 사라 룰(Sarah Ruhl) 원작의 일종의 번역극인 셈인데 이는 문화적 차이(시공간의 다름)를 상정한다. 모든 다른 국적의 극을 우리 것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공통부분이겠지만 번역이 드러나는 부분은 다름이 자연스러움으로 비치지 않는 부분, 원작에서 우리 극으로 옮기면서 드러나는 그 옮김의 행위가 매개라는 이름으로 드러나는 부분이겠다. 다른 국적의 이름과 우리의 음식에 대한 언급은 현실과 원작이 전도된 평면을 맺는 가운데 그 매개의 행위를 직접적으로 드러내고 만다. 반면 이런 사소한 결벽증에 가까운 지점들을 제하고 이 작품은 꽤 우리의 현실을 사유하는 의미들을 공유한다. 곧 핸드폰에 얽힌 세속을 상정하며 그를 철학적으로 반추해 내..
-
국립현대무용단 홍승엽 예술감독 안무 <호시탐탐> 리뷰 : '무대에의 호랑이 몸짓의 미적 기입'REVIEW/Dance 2012. 6. 22. 15:57
: '호랑이-인간의 체현' ▲ 국립현대무용단 [사진 제공=국립현대무용단] (이하 상동) 나무 구조물로 짠 판의 구조물, 조금은 가까이 먼저 제시된 음악 피트 쪽으로 움직임은 이 환영과 현실이 접질리는 층위를 의도적으로 제시하는 측면이 있다. 이미지 구조물을 만들고 거기에 이어 어렴풋하게 등장하는 것이나 얼굴을 가리고 있는 무용수-비인간의 행동은 이미지와 무용의 상관적 관계를 의도적으로 추구하는 것에 가깝다(이는 다시 말하겠지만 홍승엽 안무가의 클리셰이거나 주요한 안무법이겠다.) 음악은 가야금의 선율처럼 들리는 바가 있었다. 곧 음악이 거세지고 튕기는 스타카토 기법의 연주와 사실 닮은 부분이 있다. 전자음과 연주는 부조응하지만 은근한 고양과 하강이 맞물린 지속의 조화를 이룬다. 이미지와 신체의 긴장 관계가..
-
2012 한팩 솔로이스트 두 번째 공연 리뷰 : '최진욱, 예효승, 이은경'REVIEW/Dance 2012. 6. 22. 14:12
안무 김윤수 : '인터액티브 공간 탐색의 노정'▲ 2012 한팩 솔로이스트 김윤수 [사진 제공=한국공연예술센터]김윤수의 페르소나로서 최진욱은 무대에 드러나지 않는 김윤수를 대리하고 그의 빈자리를 대신하며 생기는 공백의 지점에서 유동한다. 따라서 이 길로 도착하는 또는 벗어나 새로운 길을 쓰는 하나의 노정이라고 하겠다. 전자 에너지의 입자가 만드는 인상적인 텅 빈 공간은 사실상 기표의 조명 외에 동원된 새로운 조명의 힘에 의한 것이며, 이로써 깊이 있는 단면(환영성)과 폭을 지닌 공간(유동하는 바다)의 수직축과 수평축이 이루는 묘한 공간의 힘을 맺어 낸다. 이 공간은 몸을 절단하고 또 몸에 의해 이 공간은 갈리며 신체의 불투명성과 투명성을 동시에 보게 한다. 물에 다리를 걸어보는 것으로 이 곳을 가늠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