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2 한국을 빛내는 해외무용스타 초청공연 리뷰 : '뛰어난 기량의 해외파 국내 무용수들을 한 자리에'REVIEW/Dance 2012. 7. 2. 14:55
▲ 김선희 발레단 [사진 제공=국제공연예술프로젝트] 시작은 김선희 발레단의 가 열었다. 하이라이트로 집약되어 있고, 충만한 발산의 지점에서 시작하는 군더더기가 없는 안무의 교차와 함께 안정감 있는 테크닉을 선보였다. 1막 솔로 바리에이션을 선보인 김한결은 서사의 흐름을 축약하는 대신 조용하고 은은하게 무대를 구축해 가며 인상 깊은 무대를 선보였다. ▲ 미국 털사 발레단의 조수연 [사진 제공=국제공연예술프로젝트] 미국 털사 발레단의 조수연과 Wang Yi의 중 발코니 파드되는 무대 상수 쪽 설치된 발코니 구조물을 배경으로 무대를 누빔이 특징이다. 은 온전하게 무대에서 확인 어려움 다양한 작품과 안무가를 만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지만 무대는 빈약하거나 비어 있을 수밖에 없고 현존으로 채우기에는 시간과 서사의..
-
국립발레단의 <poise>(안무_안성수) 리뷰 : 김주원의 국립발레단 무용수로서 마지막 공연REVIEW/Dance 2012. 7. 2. 08:49
차이의 생성의 안무, 그 속에서 김주원 차이를 벌리다. Intro : 수직성을 띤 구조물이 추동하는 무대, 즉물적 움직임_1막 1장 ▲ 지난 6월 28일 오후 3시경 서울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열린 국립발레단 50주년 기념작 프레스콜(캐스팅_김지영, 이동훈, 김리회, 이영철) 시각을 대체하며 출현하는 장엄한 음악은 이 공간을 환영의 서사로 바꾼다(의 무대는 전체적으로 1막과 2막 모두 쇼스타코비치 음악으로 주조됐다). 칸칸이 쳐 있는 구조물의 복잡함은 일순간에 사라지고 여기에 미로(迷路)의 함의는 없다. 흰색의 일렬로 올라간 구조물의 수직성은 발레 움직임의 그것을 상징한다. 곧 이 수직성의 도약의 순간은 미로보다는 발레의 움직임의 함의를 형성하는 것이다..
-
'장현수 판을 벌이다 ': 국립무용단 장현수의 <팜므파탈> 리뷰REVIEW/Dance 2012. 6. 30. 15:34
▲ 26일 화요일 오후 서울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진행된 국립예술가 시리즈8_국립무용단 장현수 중 '악의 꽃' 프레스콜 장면 [사진 제공=국립극장] 왜 국립무용단의 공연에 국립무용단원인 장현수의 단독 공연에 요부(妖婦)가 아닌 서양 역사의 고유한 계보학의 역사를 간직한 기표인 ‘팜프파탈’을 제목으로 쓴 것일까. 장현수와 팜프파탈이란 단어 사이에는 닿을 수 없는 간극이 유동한다. 곧 이 공백에 팜프파탈로 채울 수 있는 것은 무한해진다. 그러한 차원에서 이 개념으로서의 그녀 자신을 벗어나는 긴 여정의 다채로운 결과물의 발현을 기약한다. 장현수와 무용수들은 한복의 하늘거리는 옷, 쪽진 머리로 섬섬한 자취, 외유내강의 환영 같은 실체도 남긴다. '악의 꽃', '살로메'가 1/2부의 모티브를 이루지만, 표현적인..
-
[+기자간담회 현장] '연극, 정치를 말하다', "100 페스티벌" 살펴보기PREVIEW/Festival 2012. 6. 28. 00:56
▲ 100 페스티벌 2012 포스터 [제공=100페스티벌] '100 연극공동체'는 순수한 연극정신의 회복과 새로운 관객 창출을 의도하며 독립연극공동체운동의 일환으로, 지난 2005년 7월 4일, 8인의 운영위원과 150여 명의 신진‧기성 연극인이 모여 발족한 ‘100만원 연극공동체’에서 시작됐고, 2005년 젊은 연출가 五目(오월)전을 시작으로 2008년 현재의 이름으로 단체명을 변경하였다. ▲ 지난 20일 서울연극센터에서 열린 《연극, 정치를 말하다》 기자간담회 현장에서 100 페스티벌의 장용철 예술감독 극단 작은신화의 배우이자 100 페스티벌의 장용철 예술감독은 순수한 연극정신이라는 말은 교과서적인 이야기이지만 공기처럼 순수한 가장 기본적인 개념의 단어이기 때문에 사용한다고 전했다. 칠팔년을 이 단어..
-
연극 <그을린 사랑> 리뷰 : '은근한 음악극적 리듬과 시간의 중첩, 그리고 대지의 마음'REVIEW/Theater 2012. 6. 27. 06:00
시작 : 실재를 은폐하는 상징적 가치 ▲ 나왈(배우 배해선_사진 오른쪽)에게 그녀의 쌍둥이 자식을 건네는 말락(배우 남명렬), 나왈의 딸 잔느(사진 왼쪽), 연극 드레스 리허설 [사진 제공=명동예술극장] 금기의 규칙을 깨고 이방인 와합과 사랑에 빠져 아이를 뱄지만 그 사실을 부정하는 나왈의 어머니 아니 그의 부족 전체, 그 세계, 아이란 실재는 그 최종 증거물로서 실재의 가치를 띤 채 제거되고, 다시 그 제거된 이후의 결과로 현실은 금기를 금기 너머로 은폐하고, 이 아이를 배었다는 사실이 지워지며, 이 모든 것이 봉합될 것이라 서툰 수줍은 유혹으로 와합이 아이를 포기하도록 종용한다. 아이는 여기서 상징적 가치로서 비가시화된다. 사지에 몰린 절박함의 산모는 아이를 감각하지만 이 감각에 이데올로기의 포성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