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럽공간으로 간 댄스’ : [디스코버스] 리뷰REVIEW/Dance 2012. 3. 16. 11:49
▲ 신영준 [디스코버스]는 극장에서 주로, 아니 대부분 춤을 췄던 무용수 내지 안무가들을 클럽으로 소환하면서부터 시작된 프로젝트, 우선 문전성시를 이룬 이 비-극장으로서의 극장에서 개인적으로 제대로 된 관람은 불가능했다. 클럽은 엄밀한 공간의 분할이 불가능한 공간이다. 개인적인 영역이 성립되기는커녕 접촉과 음악과 춤에 의한 유동적인 흐름 하에 재편되는 공간으로, 빛과 색감 있는 화려한 조명 아래 테크노나 일렉트로닉 계열의 음악은 어둠 속 집단 제의적인 광경을 연출한다. 저마다의 사람들은 자신의 영상이라는 집단적 도취 상태에서 자아의 구속을 일시적으로 벗어날 수도 있다-일종의 변형된 무아경의 상태. ▲ 김한성 실상 이 안에서 공연이란 곧 관객과 댄서가 엄밀히 구분이 되어 관찰하고 보여주는 따위의 분리가 상..
-
백남준아트센터의 전시장 자체를 실험한 '오토모 요시히데'의 퍼포먼스REVIEW/Performance 2012. 3. 16. 02:50
▲ 오토모 요시히데 경기도 용인에 소재한 백남준아트센터의 2012년 첫 번째 기획 전시인 [x_sound : 존 케이지와 백남준 이후]가 지난 9일 개막했다. 개막일에는 존 케이지의 악보가 연주된 데 이어 오후 6시경 두 번째 오프닝 무대를 이룬 오토모 요시히데의 연주는 급작스럽게 시작됐다. 사실 그럴 수밖에 없다. 보는 것과 다르게 사운드는 의지와 상관없이 나를 침범하는 것이다. 큰 충격의 감각의 치밂, 이는 내 감각과 사운드의 일종의 팽팽한 장력의 긴장 상태를 경험하는 것이다. 즉 일차적인 감각은 제어할 수 없지만 우리는 이에 대한 귀가 받은 충격과 그것을 보상하며 자신의 귀라는 매체를 원 상태로 되돌리려는, 그리고 이를 소음이 아닌 예술이라는 장 아래 해석해 보려는, 곧 받아들이거나 방어하거나 하는..
-
<백해무익 오쏠로택> 리뷰 : ‘불가능한 몸짓’들에 이르는 길REVIEW/Dance 2012. 3. 12. 12:34
▲ [사진 제공=바나나문프로젝트](이하 상동) 은 무용수들에게 던져진 과잉-음악에 대한 하나의 과제이다. 조금 더 정확하게는 이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지켜보는 것에 가깝다. 그보다 정확하게는 ‘응시’가 우리가 이들을 본다는 사실을 그들이 모른다는 사실에서, 어느새 그들이 우리를 봄으로써 우연하게 또 급작스럽게 우리와 마주침으로써 바라보는 우리가 이들에게 보이고 있었다는 ‘하나의 시선 너머의 시선’으로 전이가 일어나는 지점으로 연쇄적인 과정을 이루고 있는 중에 성립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하지만 이들 너머 어떤 시선은 완성된 형태의 재현이 아닌, 완성되지 못할 어떤 세계를 여행한다는 것을 바로 관찰한다는 것 자체에 있다. 이는 오히려 연출자가 무용수에게 주어준 과제를 관객 역시 함께 푼다는 의미가 있다. 불..
-
연극 <풍선> 리뷰 : ‘상상적인 것’이란...REVIEW/Theater 2012. 3. 12. 11:33
▲ 3월 2일 프레스리허설 장면(이하 상동) 의 상상적인 것은 상징적인 것을 초과한다. 한편 이 떠올리게 하는 연극은 게오르그 뷔히너의 『보이체크』인데, 이 연극이 보이체크의 아내가 다른 남자와 놀아나는 것에 대한 분노의 정념과 이성의 강제 아래 인간의 감정이 소거되는 듯한 전유적 시선이 보이체크의 영혼을 말살하는 과정의 두 축으로 그래서 비극을 향해 전개된다면, 은 고환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른 군인이 그로 인해 군대 내 국가 기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실험 대상이 되어 통제된 삶을 사는 한편 그로써 어머니와의 관계가 희미하게 유지되며(이는 서로에 대한 간절한 염원의 두 존재를 낳으며) 결국 비극의 결과로 치닫고 있다. 여기서 공통된 것은 (실험) 대상으로 전락한 주인공의 모습들, 그리고 그 주인공은 세계..
-
안은미의 <사심 없는 땐쓰> : 사심捨心 있는 댄스에서 사심私心 없는 댄스로...REVIEW/Dance 2012. 2. 28. 14:44
▲ 23일 두산아트센터 연강홀에서 열린 프레스 리허설 장면 지난 24일에서 26일, 서울 종로구 소재 두산아트센터 연강홀에서 열린 안은미의 (기획·제작: 두산아트센터·안은미컴퍼니)는 그녀의 에 이어 두 번째 보통 사람들에서의 특정 계층 집단을 대상으로 한 리서치 아카이브 프로젝트이다. 안은미는 이를 ‘무용책’, ‘미디어책’이라는 단어로 언급하기도 했다. ▲ 13일 두산아트센터 연강홀에서 열린 제작보고회에서 안은미 안무가 안은미는 얼마나 춤추는 이가 똑똑하고 예쁜가 보여주는가 보여주는 게 춤의 일반적인 모습이고, 무대 위의 사람들이 관객과 제대로 소통되고 있는지 모르는 상태로 지속하는 것이라면, 스스로 먼저 가서 배우고 그 사람들도 와서 배우고 하는 형태가 이번 무대의 차이라고 설명했다. 예술가와 고등학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