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가·작품의 경계를 시험하는 전시’ :『디지털 시대에 떠오르는 아마추어리즘』PREVIEW/Visual arts 2011. 11. 12. 15:13
2011 아르코미술관 기획공모전, 신보슬/미야 요시다 공동 기획 참여 11월 12일부터 12월 18일까지 서울 종로구 소재 아르코미술관에서 2011 아르코미술관 기획공모전 『디지털 시대에 떠오르는 아마추어리즘』이 열린다. ▲ 전시 공동 기획을 맡은 일본 출신 독립 큐레이터 미야 요시다(Miya Yoshida) 아마추어라는 단어가 부정적인 함의로 쓰이는 반면 이번 전시는 대가를 바라지 않는, 자신이 좋아서 하는(labour of love) 노동을 전시장으로 옮기는 작업으로 준비됐다. 아마추어와 프로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지점, 한편 동시대 작가들의 경우 파인 아트를 전공했지만, 협업의 개념이 적용되면서, 전문 영역에 닿아 있는 부분들에 있어서는 아마추어인 부분이 예술과 접목을 이루는 영역이 생겨났다. ▲ 전..
-
「서글퍼도 커튼콜」(2011 봄 작가 겨울 무대) 리뷰 : 삶을 긍정할 수 있는 어루만짐의 누군가REVIEW/Theater 2011. 11. 12. 00:14
▲ 「서글퍼도 커튼콜」 연습 장면[사진 제공=한국공연예술센터] 재생 장치를 두 배쯤 빨리 돌려 빠르게 몸에서 내닫게 만드는, 초반의 몰아붙이는 말들은 마치 말들의 잔치인 소설을 압축해 담아내고자 하는 절박한 강박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이 빠른 말들의 속내는 기실 파국의 파토스의 뜨거운 분출을 예고한다. 현실을 연극으로 비유한 곧 어둠 속에서 빛/끝을 향해 내달리는 처절하고도 외로운 고투로 비유한 것, 연극의 커튼콜은 단 한번뿐이지만, 실제 이 연극에서 커튼콜은 두 차례 정도 미리 주어진다. 빗소리 비는 박수 소리와 묘하게 겹쳐 청량하게 무대를 전환시킨다. 비가 내는 불규칙적 수없는 마찰은 귀를 자극하고 연달아 이어지는 박수와 역시 닮았다. 각자의 어머니만이 존재하지만 이 연극에서 우람의 엄마는 반지의 엄..
-
[무대컷_17장] 국립극장 기획공연시리즈5 <타,Get> 리뷰 : '전통 타악과 팝핀 댄스의 퓨전식 무대'REVIEW/Interdisciplinary Art 2011. 11. 7. 14:26
장구의 일정하게 낮게 드리운 연주는 마이크를 타고 공명의 중첩을 통해 하나의 자장을 형성한다. 기타의 멜로디에 타악은 배면에 깔리고 둘은 촘촘한 힘겨루기의 양상을 보이는데 어느 순간 장구는 그 배면을 실재의 소리로 뚫고 나와 역전시킨다. 두 번째 곡에서 디저리두는 묘한 사람의 음색의 변환과 길게 뻗는 방향성을 갖고 독특한 멜로디를 만드는 가운데, 단보우(Dan Bau)는 발생된 음을 밀고(확장하고) 당기며(축소하며) 공간적 분배를 자유롭게 한다(일종의 공명을 붙들어 그것을 이차적으로 왜곡시키는 장치가 일종의 현의 역할을 하는 악기라고 볼 수 있겠다). 물을 넣은 단지를 겉을 마찰하고 또 속까지 진동을 주는 두 가지 주법을 섞어 쓰며 후자를 통할 때 물 소리가 나며 마치 항해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실제 마..
-
[2011 SPAF] 극단 우투리 「김이박의 고백」 리뷰 : '고단한 현실 토로와 그 징후들'REVIEW/Theater 2011. 11. 7. 13:55
사면을 관객석으로 채우고 그 안에 커다란 관 하나를 놓고 벌이는 위태위태한 사투다. 객기 어린 삶의 토로이기도 한 한편 관의 모서리를 타고 걷기도 하는 등 죽음과 삶의 경계에서 현실의 고단함부단함삶은 시간으로 치환되고 기계적으로 산출되는 시간의 질서에 따라서 변화는 없다을 이야기한다. 양복을 입은 비즈니스맨으로 치환된 사람들은 관객에게 질문을 던지는데 삶의 한 부분을 가져올 것을 약간은 명령하는 것에 가깝다. 곧 이들의 배설술주정에 가까운 삶의 토로가 관객의 토로로 이어지길 어떤 무대의 관객으로의 전이는 그렇게 관 바깥으로 방만하게 분출되는 가운데 이뤄지고 또한 그 관을 최종적으로 바라보며 우리의 삶이 죽음으로 치닫고 있음을 보여주며 의식은 죽음이라는 확고한 영역 안정적인 무대 영역을 상정하는 공간 바깥..
-
[2011 SPAF] 남영호무용단 <S.U.N> 리뷰 : '사운드로 번역되는 호흡'REVIEW/Dance 2011. 11. 6. 22:17
▲ ⓒ 최영모 [사진 제공=한국공연예술센터] 호흡은 무대를 잠식한다. 호흡은 파악되지 않고 사운드/물질로 비물질/영혼/존재로, 움직임을 추동하는 사운드로 자리하며 무대를 뒤덮는다. 음악이 없는 조용한 무대에 호흡은 관객이 충분히 체감할 수 있는 부분이다. 반면 사운드 내지 음악이 지배하는 무대에서 호흡은 실종되기 마련인 반면, 이 공연은 그 호흡 자체가 사운드로 몸의 확장된 매질로 작용하는 것이다. ‘이’라는 들숨과 ‘아/파’라는 날숨을 번갈아 무대에 놓으며 관객석을 통과하는 남영호의 숨이 어느새 사운드 매질을 타고 대기를 잠식하는/공명하는 광경이 시작을 장식하듯 호흡은 마치 내가 살아 있음을 신체적으로 증명하는 데카르트의 코기토에 대립되는 전제로 자리하며, 이 신체가 유효함을 기계적으로 증명하며 또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