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티끌모아 로맨스」 리뷰 : '티끌이나 모아야 하는 젊은 세대의 삶의 고투 너머'REVIEW/Movie 2011. 11. 6. 19:40
「티끌모아 로맨스」는 루저로 불리는 젊은 세대의 삶에 밀착한다. 실질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으로 치환되는 노동, 그 노동의 신분을 가르는 스펙과 자기 투자의 끝없는 소진의 과정은 젊은 세대의 몸을 정확히 절단하고 통과하며 옥죄고 있다. 이것을 유쾌하게 보여주는 한예슬(홍실)의 돈밖에 모르는 모습, 반면 루저로서 돈이 하나도 없는 송중기(지웅)는 재개발이 되는 못 사는 동네에서 한 건물 건너 옥상에서 마주하고, 송중기에게 돈을 벌게 해주겠다는 한예슬의 제안에 따라 계약 동거가 시작된다. 물론 잠자리를 같이 하는 게 아니라 한예슬의 옥상에 텐트를 치고 사는 비루함 그 자체를 보여준다. 송중기는 비등비등하게 한예슬보다 키가 조금 큰데(그다지 크지 않은데), 영화에서 키는 굉장히 중요한 비주얼을 담당하는 요소이다..
-
'범죄가 되는 돌이킬 수 없는 두 소년의 장난', 청소년극 <소년이그랬다>PREVIEW/Theater 2011. 11. 2. 22:47
▲ 11월 2일 수요일 오후 3시경 국립극단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의 남인우 연출이 작품에 대한 질문에 답하고 있다. (재)국립극단 어린이청소년극연구소(소장 최영애)의 첫 작품 가 11월 말, 국립극단 백장극장 무대에 오른다. 두 소년의 우발적인 장난, 그것이 가져온 엄청난 파장을 다룬, 는 세계적으로 청소년극의 큰 반향을 일으켰던 연극 를 원작으로, 한국적 현실을 차용하여 만들어진다. 는 국립어린이청소년극단을 목표로 올 5월에 문을 연 (재)국립극단 어린이청소년극연구소의 첫 작품으로, 내년부터 전국의 학교 현장을 직접 찾아가서 공연할 계획이다. ▲ 를 각색한 한현주 작가 청소년의 생각을 듣기 위해 다소 추상적이지만 이백여 명의 설문조사를 거쳤고, 청소년들이 쓰는 어투를 극 속에 살려 낼 계획이다. ..
-
일반인에 최초 공개된 유니버설발레단의 <오네긴> 오픈 리허설 현장PREVIEW/Dance 2011. 10. 31. 14:52
▲ 10월 29일(토) 오후 2시경 서울 광진구 유니버설발레단 연습홀에서 일반 관객을 상대로 열린 오픈 리허설 현장, '타티아나' 역 강미선과 '오네긴' 역 이현준이 연기했다. 유니버설발레단의 이 11월 12일부터 19일까지 LG아트센터에서 2년 만에 다시 무대에 오른다. 10월 29일(토) 오후 2시경 서울 광진구 유니버설발레단 연습홀에서는 일반 관객을 상대로, 오픈 리허설이 열렸다. 은 2004년 강수진이 슈투트가르트 발레단과 함께 내한하여 크게 오열하는 마지막 장면으로 막을 내려 강렬한 인상을 남겼던 작품이다. 러시아 대문호 푸쉬킨(Pushkin,1799~1837)의 소설 ‘예브게니 오네긴’을 바탕으로, ‘차이코프스키’가 작곡한 오페라 탄생 이후, ‘쿨트 하인즈 스톨제(K.H.Stolze 1926~..
-
[2011 SPAF] '히로시마-합천: 두 도시를 둘러싼 전람회/서울ver.' 리뷰 : '현실 리서치에서 몸의 체화로.'(현장컷_15p)PREVIEW/Interdisciplinary Art 2011. 10. 29. 17:51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인 1945년 8월 6일과 9일,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각각 두 도시는 인류 역사상 최초로 원자폭탄 투하로 인해 괴멸되었다. 도시에 대한 작품을 제작해 오던 ‘마레비토 씨어터 컴퍼니’는 이에 대한 프로젝트 를 시리즈로 제작해 왔고, 마쓰다 마사타카는 이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을 준비하면서 국경을 넘어 ‘합천’이라는 도시에까지 관심을 확장한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합천에서 히로시마로 강제 이주된 많은 사람들이 원폭피해자가 되었으며, 합천은 종전 후 살아남은 이들의 귀향으로 ‘또 하나의 히로시마’로 일컬어지고 있다. 연출가가 두 도시를 여행하며 알고 느끼게 된 감정의 과정을 따라, 출연자들에게 두 도시에 대한 각자의 생각들을 함께 토론하여 발전시키고 형상화하게 하였고, 작품은 전시 차..
-
'미디어아트와 몸이 만나다' : 남영호 <S.U.N>(2011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초청작)PREVIEW/Dance 2011. 10. 27. 19:39
▲ (사진 왼쪽부터) 10월 24일 월요일 오후 6시경 대학로예술극장에서 열린 예술가와의 대화 자리에서 제랄딘 파오리, Tacit Group 대표 장재호, 남영호, 스테판 쿠조 오는 27일부터 28일, 양일간 서울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에서 (Seon. Universel. Numérique)가 오른다. ▲ 안무가 남영호 은 5년 만에 한국 무대에 서는 안무가 남영호의 호흡에서부터 시작되는 현대무용과 미디어아트 태싯그룹의 음악, 프랑스의 컴퓨터프로그래머이자 영상예술가인 스테판 쿠조의 비디오 영상, 멀티예술가이자 모로코 카사블랑카 다윈 페스티벌 예술감독인 제랄딘 파오리의 무대장치와 의상 및 선무도가 결합한 무대로 펼쳐진다. ▲ 태싯그룹 대표 장재호 인간의 기본적인 활동인 움직임과 호흡에 대한 의문으로 시작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