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행준‧최준용‧타카히로 카와구치, 『무잔향』 아티스트 토크, 『고래, 시간의 잠수자』REVIEW/고래, 시간의 잠수자 2011. 8. 27. 10:25
『무잔향』이란. ▲ 「무잔향」 아티스트 토크, (사진 왼쪽부터) 통역, 타카히로 카와구치, 이행준, 최준용, 사회를 맡은 홍철기 무잔향은 잔향이 없다는 의미로, 4분 33초 간 시간적으로는 언제나 소리가 난다. 공간적으로 어디에서나 소리가 돈다. 무잔향실(완전한 방음 상태)은 밖에 소리가 안 들어가고, 안의 소리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잔향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 잔향을 다 없애는 공간인데, 높은 소리는 뇌에서 신경이 흘러가는 소리로, 낮은 소리는 혈관으로 흐르는 소리로 들린다고 한다. (홍철기) 개별 작품에 관해 그동안 했던 것과 많이 다른 처음 발표하는 작품으로, 정치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한, 필름은 물질이어서 시간을 어떻게 경험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해, 시간으로 환원하는 첫 번째 작품이고..
-
이행준‧최준용‧타카히로 카와구치, 「무잔향」 : '블랙박스 - 바다 속 심연', 『고래, 시간의 잠수자』REVIEW/고래, 시간의 잠수자 2011. 8. 27. 09:59
이행준 몽환적 사운드와 영사기의 필름 흘러가는 소리가 일정 정도 조응을 이루기도 한다. 사람들이 발자국을 남기며 돌아다니고, 공간의 반향, 곧 공간을 채우는‧건드리는 사운드, 공간과 결부된 공간이 있음을 알려주는 사운드의 존재, 하나의 악구를 형성하는 멜로디의 반복, 그렇지만 이 네 개의 영사기가 돌아가며 저마다 지정된 순서에 의해 순차적으로 소리를 내는 메커니즘은 기계들이 병치되어 자동적으로 맞아떨어지며 느껴지는, 곧 사운드를 멜로디로 인식하는 기제를 통한 것으로, 이것들을 하나의 기계 메커니즘으로 치환해 생각해 보는 게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것이 가능한 것은 또한 텅 빈 공간에 사운드의 영사기의 빛과 함께 점멸시키고 나서 영사기에서 흘러나오는 필름만을 공허하게 바라보고 있는 데서 이것이 자체적 동력..
-
이경옥 무용단「헨젤과 그레텔-비밀의 숲」 리뷰 : ‘이는 매체 혼합적인 몸인가!’, 『2011 HanPAC 새개념 공연 축제』REVIEW/2011 HanPAC 새개념 공연 축제 2011. 8. 26. 12:57
본 매체에서는 2011 HanPAC 새개념 공연 축제가 일종의 다원예술 interdiciplanary arts의 동시대적 맥락을 띤, 예술 축제의 흐름을 새롭게 이어가는 하나의 조류라고 생각하고, 축제 간 모든 작품에 대한 리뷰 및 이후 총평을 다루고자 한다. 무대 전면의 숲의 광경, 점점이 생겨나고 이후 분화되지만 총체적인 역학 장을 그린다고 할 수 있는 숲은 숨을 쉬고 있고, 이 안 중간에 그 틈에 위치한 존재, 이는 매체혼합적인 몸인가? ▲ 이경옥무용단-안데르센 그 몇가지에 대한 대화(2010) [사진 제공=한국공연예술센터] 비닐과의 마찰이 내는 사운드, 그리고 거미줄을 치는 확장의 이미지, 사람들의 목소리는 숲의 이미지 계열과 맞물려 정령과 등가 되고, 땅을 두드리는 소리는 박자를 지정하며 의식을..
-
조성린+박길종, 「천수마트 2층」 : '재현의 서사 바깥에서 무대를 침범하는, 표현의 이중 제스처', 『고래, 시간의 잠수자』REVIEW/고래, 시간의 잠수자 2011. 8. 26. 11:26
전시장을 무대로 옮기고 해설사로 시간과 무대를 공유하며 작가의 작업을 설명하는 듯하지만, 이런 유사-전시 관람 형태의 퍼포먼스는 거의 허구의 서사(진실을 무대에서 이야기함으로써 허구의 진실을 만드는) 같은 작가의 사실을 만들어 내고(스토리텔링), 작품의 혼합적 표면과 그 속의 이중적 전략 또는 장치로서 전략 등이 그 안에 담기게 된다. 작품은 무대 위에 고정된 채 놓여 있고, 무대로 그것이 들어옴으로써 오히려 이동 없는 제약된 신체 환경을 의식하며 중앙의 도슨트(오히려 더 작품으로서 주목을 끄는 측면이 큰)를 보며 작품에 의미들을 가져가게 된다. 이것이 작품의 특징이라는 식의 말은 이 작품에 대한 신비화 전략의 서사 층위를 띠고 있고, 또 한편 의미는 규정되고 주어지는 것(한편 의미는 규정하는 사람의 권..
-
『분홍박각시나방』리뷰 : '경계 바깥에서 경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사람들' : , 『서울프린지페스티벌 2011』카테고리 없음 2011. 8. 25. 12:22
▲『분홍박각시나방』 포스터 [제공=서울프린지페스티벌 2011] 선화의 삶은 이상과 정상의 경계 바깥에서 그 경계에 대한 사고를 하지 않을 수 없다. 남녀 간의 사랑, 아이를 낳고 사는 가족의 형성, 정상의 조건을 충족시키며 거기서 남들과의 경쟁을 통해 성공을 이루는 것, 이러한 코드 시스템 속 정체성의 획득과 삶의 모티브를 투여하는 과정의 바깥에서 자연스럽게 내밀한 둘만의 사랑의 시간을 영원화하며 사랑을 하던 선화는 자연스럽게 또 사회에 그 사랑이 정말 야冶하게 구설수에 오르고, 비정상의 시선에서 그 동전의 양면과 같은 정상이라고 이야기할 수 없는 경계 짓기의 시선에서 타자화될 수 없는, 그렇지만 그러한 시선의 절대적인 사고의 전제를 알기에 그녀는 사랑을 슬픈 운명으로, 삶의 아픔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