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경옥 무용단「헨젤과 그레텔-비밀의 숲」 리뷰 : ‘이는 매체 혼합적인 몸인가!’, 『2011 HanPAC 새개념 공연 축제』REVIEW/2011 HanPAC 새개념 공연 축제 2011. 8. 26. 12:57
본 매체에서는 2011 HanPAC 새개념 공연 축제가 일종의 다원예술 interdiciplanary arts의 동시대적 맥락을 띤, 예술 축제의 흐름을 새롭게 이어가는 하나의 조류라고 생각하고, 축제 간 모든 작품에 대한 리뷰 및 이후 총평을 다루고자 한다. 무대 전면의 숲의 광경, 점점이 생겨나고 이후 분화되지만 총체적인 역학 장을 그린다고 할 수 있는 숲은 숨을 쉬고 있고, 이 안 중간에 그 틈에 위치한 존재, 이는 매체혼합적인 몸인가? ▲ 이경옥무용단-안데르센 그 몇가지에 대한 대화(2010) [사진 제공=한국공연예술센터] 비닐과의 마찰이 내는 사운드, 그리고 거미줄을 치는 확장의 이미지, 사람들의 목소리는 숲의 이미지 계열과 맞물려 정령과 등가 되고, 땅을 두드리는 소리는 박자를 지정하며 의식을..
-
조성린+박길종, 「천수마트 2층」 : '재현의 서사 바깥에서 무대를 침범하는, 표현의 이중 제스처', 『고래, 시간의 잠수자』REVIEW/고래, 시간의 잠수자 2011. 8. 26. 11:26
전시장을 무대로 옮기고 해설사로 시간과 무대를 공유하며 작가의 작업을 설명하는 듯하지만, 이런 유사-전시 관람 형태의 퍼포먼스는 거의 허구의 서사(진실을 무대에서 이야기함으로써 허구의 진실을 만드는) 같은 작가의 사실을 만들어 내고(스토리텔링), 작품의 혼합적 표면과 그 속의 이중적 전략 또는 장치로서 전략 등이 그 안에 담기게 된다. 작품은 무대 위에 고정된 채 놓여 있고, 무대로 그것이 들어옴으로써 오히려 이동 없는 제약된 신체 환경을 의식하며 중앙의 도슨트(오히려 더 작품으로서 주목을 끄는 측면이 큰)를 보며 작품에 의미들을 가져가게 된다. 이것이 작품의 특징이라는 식의 말은 이 작품에 대한 신비화 전략의 서사 층위를 띠고 있고, 또 한편 의미는 규정되고 주어지는 것(한편 의미는 규정하는 사람의 권..
-
『분홍박각시나방』리뷰 : '경계 바깥에서 경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사람들' : , 『서울프린지페스티벌 2011』카테고리 없음 2011. 8. 25. 12:22
▲『분홍박각시나방』 포스터 [제공=서울프린지페스티벌 2011] 선화의 삶은 이상과 정상의 경계 바깥에서 그 경계에 대한 사고를 하지 않을 수 없다. 남녀 간의 사랑, 아이를 낳고 사는 가족의 형성, 정상의 조건을 충족시키며 거기서 남들과의 경쟁을 통해 성공을 이루는 것, 이러한 코드 시스템 속 정체성의 획득과 삶의 모티브를 투여하는 과정의 바깥에서 자연스럽게 내밀한 둘만의 사랑의 시간을 영원화하며 사랑을 하던 선화는 자연스럽게 또 사회에 그 사랑이 정말 야冶하게 구설수에 오르고, 비정상의 시선에서 그 동전의 양면과 같은 정상이라고 이야기할 수 없는 경계 짓기의 시선에서 타자화될 수 없는, 그렇지만 그러한 시선의 절대적인 사고의 전제를 알기에 그녀는 사랑을 슬픈 운명으로, 삶의 아픔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
-
서영란, 「업신여기다」 : '몸의 흔적들로부터 사회적 맥락의 주파수 맞추기', 『고래, 시간의 잠수자』REVIEW/고래, 시간의 잠수자 2011. 8. 25. 11:23
그녀는 몸을 보여주거나 움직임을 드러낸다기보다 오히려 자신의 움직임을 통해 자신을 숨기고, 또 의도하지 않는 몸의 일부-아니 의도했지만 의식하지 않는 신체까지 비춰내는 것 같다. 곧 그녀는 몸을 내어주는 것이다. 춤을 추는 게 아니라 움직임으로써 움직임을 통해 의식치 못 했던 흔적들을 끄집어내는, 그래서 마치 사회의 한 흔적, 리서치가 아닌 그 흔적들이 재단할 수 없이 그저 흘러나오는 것이다. 그래서 그 몸에 결부된 맥락은 의외로 광범위하고 예측하기 힘들다. 자신을 보이면서 스스로를 부끄러워하기, 자신에게 숨으면서 몇 겹의 층위를 쓰면서 드러내고 다시 자신의 속살을 드러낸다. 스프레이를 자신에게 뿌리며 신체를 만지고 또 정신병이 걸린 듯 무언가를 부정하듯 빠져 나가듯 어루만지듯 신체 결을 따라 손을 터는..
-
영화 「퍼블릭 에너미」(공공의 적) 리뷰 : '자크 메스린의 영화보다 더 한…… 요동치는 삶의 파토스 형국'REVIEW/Movie 2011. 8. 25. 10:48
아버지의 과거에 대한 부정, 그 순일한 정체성 형성의 과정을 인정하지 않을 때 자신은 다른 선택을 하겠다는, 독자적인 길을 걷겠다는, 어떤 관습에도 얽매이지 않겠다는 굳은 의지의 표현, 과거와의 단절, 종속에의 거부를 수행하겠다는 것, 나의 시간과 선택과 관계의 양상은 내가 가져가겠다는 것을 말한다. 이런 과거 부모 세대 역사와의 단절 이후 그는 스페인에 가서 사랑을 실천한다. 하룻밤 만에. 강렬한 시선의 투과로 여자를 자신의 방으로 끌어들인다. 이 시선은 반드시 닿게 되어 있고 통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돌아오게 되어 있다. 아버지(역사)의 문제, 사랑의 순간, 다시 폭력의 문제로 다가간다. 무기를 가진 타인의 정복, 공간에의 침투, 이는 곧 법과 질서로 이루어진 세계 일면에 대한 항거로 나아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