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뷰] "2011 한국을 빛내는 해외무용스타 초청공연" 1막REVIEW/Dance 2011. 7. 11. 07:00
Sergio Bustinduy(스위스 바젤 발레단)의 「Feel Good」(안무: 허용순) ▲ Sergio Bustinduy 휴대폰의 울림과 전화를 받으며 무대에 올라오는 남자, 다소 상투적인 등장은 무대의 긴장을 지우고, 이어진 춤은 화려하고도 경쾌한 막을 열기에 충분하다. 상의를 노출한 채 빠른 무대와 움직임의 전환, 활기차게 추며 맛깔 나는 무대를 선보인다. 그 역동적이고 활기찬 음악의 흐름과 중간 중간의 임팩트를 박자를 지정하는 손짓이나 몸짓으로 상쇄하며 무대를 달궜다. 김유미 & Jacob Bush(미국 애틀란타 발레단) 「에스메랄다」중 파드되(안무: Ben Stevenson) ▲ 김유미 고아한 표정과 자신감을 안은 김유미는 텅 빈 무대에서 완전히 빛과 넓은 터전에 놓인 낯섦을 상쇄하듯 매우 꼿..
-
[프리뷰] 연극 '아시안 스위트' : 현실의 나락에서 희망의 순간으로...PREVIEW/Theater 2011. 7. 11. 02:47
‘고맙습니다.’, 나락에 가 본 사람은 그 어려움에 감사할 줄 안다는 것은 인간이 가진 역설 가운데 하나이다. 지나간 것의 추억을 겪었던 모든 것의 사랑을. 감사함은 모든 슬픔과 흔적들, 그리고 현재 삶에의 감사함이 묻어 있다. 무엇보다 내 자신을 보듬는 것이다. 이는 커튼콜을 대신하는 배우로서 관객에게 던지는 메타 차원의 대사이기도 하다. 이후 그녀가 일상에서 매만지던 현실에의 감각들, 마치 손 어느 한 곳에서 스치듯 수없이 훑었던 웨딩드레스, 마치 그 시간들이 삶의 환유 차원에서 시간의 조각들로 된 웨딩드레스를 무의식적으로 이루고, 그 결혼의 은유로서 웨딩드레스가 다시 꿈의 서사, 새로운 삶의 전환을 여는 중첩적인 기호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녀에게 부착된 존재된 루저들, 또는 세상 바깥의 사람들..
-
[리뷰] 국립국악관현악단(황병기 예술감독)의 <Part of Nature> 창작발표회 현장REVIEW/Music 2011. 7. 10. 18:34
지난 6월 29일(수) 국립국악관현악단(황병기 예술감독)의 창작음악회 (파트 오브 네이처)의 창작발표회가 개최됐다. ▲ 황병기 예술감독 황병기 예술감독이 지난해 초 구상하여 재독(在獨) 작곡가 정일련에게 위촉한 이 작품은 올해 말로 임기가 만료되는 황병기 예술감독이 재임 중 마지막으로 심혈을 기울여 기획한 대작이다. 작곡가 정일련이 작품 전체를 맡아 ‘자연속의 인간’ 이야기를 ‘출(birth)’, ‘숨(breath)’, ‘심(heart)’, '손(hands)‘, ‘이름(name)’, '혼(spirit)' 이렇게 6개의 인간을 대표하는 키워드에 각각 어울리는 협연곡으로 구성한다. 오는 10월 6일과 7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지휘자 정치용이 객원 지휘를 맡아 전 악장이 펼쳐진다. '창작음악회'는 국립국..
-
[리뷰] 제1회 대한민국발레축제 창작발레 열전 : 백영태 「Flow...ing」REVIEW/Dance 2011. 7. 6. 04:24
클래식 발레의 정조, 헌정 기념으로서의 시선이 덧대이는 공연... 남녀의 관계 쌍을 중심으로 한 안무가 구성된다. 이인무에서 삼인무로 둘의 관계적인 측면에서 안무가 구성되다, 한 명이 가세하면 두 사람의 관계를 지켜보는 시선이 부각된다. 그리고 셋의 안무는 다시 둘의 안무로 변화한다. 관계에서 시선으로 다시 관계로 변화하는 들고 나오며 새롭게 계속 구성되는 안무는 전형적인 발레의 이인무의 아름다움을 빚어낸다. 음악 역시 복잡 미묘한 관계에 얽힌 이야기들을 풀어내는 장치로 적절히 배합되는데 고전 발레와 다른 감정 선의 집중과 몰입을 더욱 과장되게 드러낸다. 는 매우 극단적인 슬픔 깨지기 쉬운 연약함fragile 또한 섬세함delicacy을 추구하는데, 이는 남성 무용수의 낭만적 정조를 공통으로 함의함을 전..
-
[리뷰] 제1회 대한민국발레축제 창작발레 열전 : 차진엽 「keep yourself」REVIEW/Dance 2011. 7. 6. 03:53
음악의 폭발을 통한 무대의 해체 차진엽의 춤은 물 흐르듯 몸의 유연한 선분과 파동 치는 움직임을 순식간의 시선의 전유를 통해 짜릿함의 감각을 순간 가져간다. 여기에 움직임을 보조하는 기타를 비롯한 밴드의 사운드 록 가수의 정체성을 앞뒤로 포진하여 무대를 감싸고 있는 전체적인 내러티브를 만드는 한편 그러한 록의 에너지와 리듬을 분해하고 펼쳐놓는 신체들로 분하게 된다. 처음 머리를 길게 붉은 빛 계열 재킷을 풀어헤쳐 상반신을 노출하는 록 가수의 등장은 무대가 올라가기 전, 록 뮤직비디오가 계속해서 흘러나오던 것을 현시함에 가깝다. 그의 움직임은 광란한 어느 록 가수의 야생마 같은 팔딱거림이고, 이는 음악에의 분출이고, 일상으로부터의 해방과 같은 의미로서 하나의 제스처이자 음악의 전유, 대중들의 시선의 수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