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뷰 3_모리시타 마키] 도쿄‧서울‧몬트리올을 잇는 현대무용 프로젝트 DANCE-X : Tokyo-Seoul-MontrealREVIEW/Dance 2011. 5. 19. 07:48
일본 출신 안무가, 모리시타 마키(Maki Morishita)의 「TOKYO FLAT」: 코드적 사운드의 흡착과 특별한 전유 어둠 속에 문 뒤의 사다리만이 비교적 선명하다. 이어 몸으로 소리를 내고 박자를 맞춘다. 다양한 음악들이 장면 놓이고 전환되는 가운데 소리에 따른 움직임의 코드들이 장면들에서 발생한다. 이를 음악에서부터의 출발인지 아님 몸으로부터의 출발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곧 음악은 몸의 독해를 통해 몸에 입혀진 음악의 과거로부터 발현된 현재가 구성되는 것인데, 음악은 생성되는 것 이전에 생성된 것이고, 특정한 시간의 축을 안고 있는 곧 코드적이면서 동시에 개인적인 기억에 의해 전유되는 음악은, 단순히 그것들을 끊임없이 바꿈으로써 코드 자체의 특성을 드러내면서 그것을 하나의 변화의 물결로 직조함..
-
제30회 국제현대무용제 MODAFE 2011 개최 18-29일, 5월 서울에서 춤에 도취되다.PREVIEW/Dance 2011. 5. 18. 09:57
(사)한국현대무용협회(회장 한선숙/상명대교수)가 주최하는 제30회 국제현대무용제 『MODAFE 2011』이 오는 5월 18일부터 5월 29일까지 12일간 한국공연예술센터, 노을소극장, 마로니에공원 TTL야외무대 총 6개 공연장에서 열린다. 1982년 시작 이후 지난 29년간 약 300여 국내•국외 무용단체 작품을 선보여 오며 올해 30회를 맞아 『MODAFE 2011』은 ‘Beauty beyond Body‧‧‧’라는 주제로, 호주 무용단 Chunky Move의 외 해외 작품 7개 팀이 초청되어 몸짓 언어의 내적 가치와 아름다움을 공유한다. 이 중 네덜란드 , 스위스 , 프랑스 세 작품은 청소년유해 작품 판정과 함께 ‘19금’ 상연 조건이 붙는다. 스위스 ANTIGEL FESTIVAL과의 협약으로 국제공동..
-
[리뷰] 코르넬 문드루초 :「프랑켄슈타인 프로젝트」, 괴물 주체의 패러디적 되살림카테고리 없음 2011. 5. 14. 08:09
컨테이너 박스, 카메라의 개입, 헝가리 사람들, 프랑켄슈타인 박사 이야기의 모티브. 아주 좁다는 것, 카메라와 연결된 몇 대의 수상기가 무대를 복사하고, 전시 프레임으로 바꾼다는 것, 통역과 번역이 필요하고, 좁다는 것으로 인해 가까이서 그들을 대면한다는 것, 자신을 만든 사람을 죽인다는 것, 신화적인 이야기의 실재화/현재화. 이 공간 전체를 쓴다는 것, 컨테이너 박스의 문을 열고 나가거나 예고 없이 들어올 수 있다는 것, 시선은 끊임없이 이동되어야 한다는 것, 카메라의 연결을 통해 공간 외부로 확장되기도 하는 것, 헝가리어가 관객에게 있어 영어 대신 언어의 대등한 층위를 상정한다는 것, 카메라에 의해 오디션 배우로 등장하는 사람들의 얼굴을 괴물처럼 변형시킨다는 것, 무대가 아닌 컨테이너 박스 자체를 리..
-
[리뷰] 바르바라 마티예비치 & 주세페 치코 :「나는 1984 I am 1984」, 칠판이란 스크린카테고리 없음 2011. 5. 14. 08:05
칠판에 1984년에 일어났던 일, 주로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것들을 나열하는데, 이는 칠판이라는 레이어를 통해 생각과 개념의 기호들을 연쇄적으로 적어 나가는 과정에서 렉처 퍼포먼스의 형식 아래 칠판이 메워지고 1984년이 재구성된다. 몇 개의 도상 기호들이 앞서 그려졌지만, 새롭게 이야기가 구성되며 기호들이 이어진다. 일종의 이전 기호는 전략적인 용도로 배치되어진 셈이고 또 미래적으로 재전유되어 배치되는 경험을 군데군데 할 수 있다. 과거는 지나갔고 기억을 통해서 재구성될 수 있음을 그림으로써 사실들의 나열과 사실들의 의도적이고 의지적인 선택과 배치를 감추고 천명하는 묘연한 경계 속에, 역사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기억을 통해 재구성해 현재와 연결된 지점들의 흥미로움을 띠게 된다. 매우 무미건조하게 기억..
-
[리뷰] 홍성민 :「엑스트라스 EXTRAS」, 봉쇄된 레이어에 배우에 대한 메타 시선카테고리 없음 2011. 5. 14. 08:00
Photo © Sungmin Hong 수많은 대학로 연기자들의 각각 다른 작품의 한 부분을 연기하는 것, 이는 작품의 해체이자 해체를 통한 조합이고, 조합을 통한 해체이다. 홍성민은 일부러 그것들이 연결되거나 접점을 일게 만들지는 것으로 보이는 것을 피하려 한 듯 보인다. 어떠한 덩어리로만 존재할 뿐이고 그 역할 자체로 존재할 뿐이다. 그렇지만 이 역할들은 어떤 감흥을 전달해 주지 못 하는데 그들의 대사와 몸에 달라붙는 조명과 다른 배역 간의 관계, 이야기의 최소한의 단위조차 형성되지 않는 분절로서의 대사만이 나오기 때문이다. 크게 보면 역할이 갖는 레이어는 하나의 구조로서의 작품을 성립시키지 않고 구체적으로는 역할의 레이어를 봉쇄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조명과 무대 등의 표층 층위가 성립되어야 하는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