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view_ 2011 한팩 라이징스타 : 안영준 「Musical Chairs」REVIEW/Dance 2011. 4. 2. 02:58
재구성, 재조합, 응축을 통한 발산의 과정 ▲ 3월 7일 월요일 5시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쇼케이스 당시 모습 나무 계단의 압축적이고 환유적인 구조물에서의 오르고 내림, 이는 이 작품이 전형적인 구조에의 안무를 구성해 나갈 것임에 대한 사전 제시 성격을 띨까. 나무 구조물은 해체되어 각각의 무용수의 움직임을 통해 전유된다. 움직임은 구조물을 전제로 구성되어지고 그 바깥을 벗어날 수 없다. 이후 구조에 대한 해체와 구조의 순간적인 도입이 작품을 지배한다. 일렉트로니컬한 리듬이 전면에 배치된다. 이는 끊임없는 파열과 마찰의 에너지를 감염 시키며 상승한다. 여성은 남자들 가운데 중심을 차지하며 단독적인 주체의 위치를 점하는 듯 보이지만 음악이 상승하고 이후 국면이 전환되고 어둠을 띤 남자들이 새로운 역능으로..
-
Review_ 2011 한팩 라이징스타 : 김설리 「흰 그늘」REVIEW/Dance 2011. 4. 2. 02:53
합일되지 않는 자아, 관계 ▲ (사진 제공=한국공연예술센터) 이어 무대 위에서 철골 구조물이 내려와 있고, 이를 철봉 삼아 두 팔로 매달린 채 다리를 휘젓는 등의 움직임을 만든다. 그리고 한 명은 한 팔로 구조물을 잡으려고 하는 불가능성의 노력을 표현하며 다시 시퀀스가 바뀐다. 두 여자가 춤을 추되 배치의 층위를 달리 둠으로써 전면과 후면을 구분한다. 북 소리가 둥둥 울리는 가운데 갑작스러운 음악의 채워짐은 공백을 허용하지 않고, 두둥거리는 공기와의 마찰 안의 출렁거리는 공간의 틈입과 내재된 긴장에 지속된 시간에서 몸은 둘 곳 없이 유동하며 소리에서 미끄러진다. ▲ (사진 제공=한국공연예술센터) 몸을 역동적으로 펼치고 디테일한 부분까지 안무의 긴장과 부분의 확대를 감행하며 춤의 유동하는 멋과 에너지를 음..
-
Review_ 2011 한팩 라이징스타 : 홍경화 「오래된 미래」REVIEW/Dance 2011. 4. 2. 02:46
표현주의적 심상의 도취 ▲ (사진 제공=한국공연예술센터) 전체적으로 작품은 대작을 펼치려는 것 같았지만 이 안에서 내재적 심상에 갇혀 있을 수밖에 없었던 듯 보인다. 무엇보다 표현주의적 심상이 가득하지 않은가? 무대로의 신체 확장은 나무 구조물의 배치를 통한 선분 긋기, 그리고 그 위에서의 이동 또한 추락의 우울함을 반드시 동반하는 상승의 계단 쌓기 등의 움직임 양상을 통해 구현됐다. 결국 어떤 주어진 구조 안에서의 이동만이 가능하다는 것, 다시 말해 갇힌 울타리 바깥을 이동할 수 없다는 것은 무용수들의 우울하고도 슬픈 몸짓의 전유에서 드러났는데 , 과연 이 슬픔이 단지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무의식적 인식의 과정이었는지 실제적인 에피소드가 개입되지 않은 가운데 온전히 수용키 어려운 측면이 있다. ▲ (사진..
-
Review_ 2011 한팩 라이징스타 : 김보람 「TOUCH season 1 "플랑크 타임“」REVIEW/Dance 2011. 4. 2. 02:33
볼레로의 신선한 전유 ▲ 3월 7일 월요일 5시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쇼케이스 당시 모습 모리스 라벨의 「볼레로」의 육화라는 모티브가 깊숙이 자리하는 작품에는 음악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한 지향적 태도, 또한 거기서 자유롭게 음악을 해석하고자 하는 전유의 태도가 동반된다. 음악은 거대하고 반복적이지만 이 음악은 처음부터 끝까지 순일하게 흘러나오는 게 아니라 반복된 동작의 점층적인 상승에 따른 시간의 누적 뒤에 뒤늦게 이들의 입을 통해 튀어나오며 앙상블을 이룬다. 시선을 가린 무용수들은 하나의 덩어리 신체의 움직임 양상을 만든다. 주체적 시선이나 대면의 자리, 감정의 동요 같은 것은 없다. 이는 흥미로운 음악적 문맥을 반복과 확장의 움직임으로 치환하기 위함이며 누워서 다리를 위로 뻗는 동작은 음악..
-
안무가를 위한 전격적인 지원 프로그램, '안무가 베이스캠프'PREVIEW/Dance 2011. 3. 26. 15:40
국립현대무용단의 안무가 집중 육성 프로그램 ‘안무가’의 역량 발전 및 완성도 높은 작품 창작을 위해 작품 구상에서 공연까지의 창작활동을 지원하는 국립현대무용단의 창작지원사업 '안무가 베이스캠프'가 열린다. 국립현대무용단은 지난 2010년 10월 28일 29명의 지원 안무가들의 경력 및 제작 과정, 개별 프레젠테이션 평가를 통해 선정한 김남진‧김성용‧밝넝쿨‧이태상‧정영두‧최경실 이상 총 6명의 안무가는 11월부터 작품 구상을 시작, 12월 말 무용수 공개오디션을 통해 함께 작업할 무용수들을 선정, 2~3월 기간에 안무 작업 및 연습을 진행, 3월 26일부터 4월 3일까지,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에서 6명의 안무가의 6작품으로 첫 번째 안무가 베이스캠프가 열린다. 작품 구상 시작 단계부터 창작 기간의 안무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