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현듯, 부아가 치밀 때가 있다>: 붙박인 공간에서의 영속된 현대인의 흐름REVIEW/Interdisciplinary Art 2016. 3. 22. 18:18
▲ [사진 제공=Beta Project] 극 초반 일상을 포착한 풍경들과 극이 끝난 이후 사람들을 인터뷰한 영상이 수미상응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곧 이 작품은 삶으로부터 튀어나온 것들을 재료화하며 그 결과 삶의 목소리와 얼굴로 극을 전경화하며 삶과 다시 작품을 결부시키는 것이라 하겠다. 이는 삶의 재현이라기보다 삶에 틈입하는 시선 자체를 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무대는 여러 일상 공간의 레이어가 연결되어 중첩되며 그 속에서 사람들은 우에서 좌로 이동하며 단계적으로 일상의 제의들을 밟아 나간다. 그러한 시간의 경과에서 행위들은 매우 너저분한 일상 풍경을 만들어낸다. 불특정한 인물의 유형들로 현대인이라는 하나의 전형들을 만드는 묘사적 풍경은 공간의 중첩을 통해 지속되는 동시대의 솔기를 보여준다. 극에는 ..
-
나인페스트 '퍼포먼스의 유동적이고 느슨한 짜임의 플랫폼'REVIEW/Interdisciplinary Art 2016. 2. 4. 18:45
하루 동안 문래예술공장에서 열린 '나인페스트'는 '1'이란 시리즈 첫 번째로서 이후 잠재된 기획의 기표와 함께, '서바이벌'이라는 부제가 더해져 있었다. 9팀이 협업을 통하거나 전체적으로 맞물려 진행되는 상황이 '서바이벌'에서의, 경쟁보다는 생존의 의미를 존속시켰는데, 여기서 '서바이벌'은 하나의 시공간을 공유하는 관객 전체로의 확장적 경험의 의미로 재전유된다고 볼 수 있었다. ▲ 나인페스트 공연 ⓒ박수환[사진 제공=아이디언](이하 상동) 가령 이로경 작가의 은 입구 반대편에 설치되어, 물 웅덩이에 발을 담군 성수연 배우가 간헐적으로 즉흥적 대사를 쏟아내거나 했고, 이로경 작가는 초반 이후 투입되어 이를 영상으로 매개하는 과정이 3시간 내내 진행됐다. 그리고 물과 연결된 음향을 공간 전체로 분사하는 박승..
-
조용진 <안무사용법>, '기본'의 의지적 적용REVIEW/Dance 2016. 1. 29. 02:00
▲ 조용진 안무 공연 모습 [사진 제공=국립무용단] (이하 상동) '기본'을 '현재(라는 의식)'에 출현시키고 음악에 적용하며, 또 춤을 추는 과정 자체 안에서 발현되게 하는 과정으로서 안무를 '사용'하는 법은 주로 따라 하기라는 중간 단계를 거친다. 선글라스를 낀, 표정을 소거한 존재들로부터 상호 닮음이라는 기초적인 동작들이 나오는 긴 인트로 쯤을 지나, '기본'은 매일 익히고 반복 숙달하여 이미 몸에 익은 것으로 기호화되며, 이는 중간 중간 출현하며 그 사이를 메우는 따라서 그것을 분절하는 따라 하기를 비롯한 수많은 동작들이 존재하고, 또는 '기본'을 한 사람이 수행하는 가운데 다른 한 사람의 빈 시간은, 상대방의 몸짓을 잇고 자신의 몸짓으로 기본을 궁구하고 새로운 동작들로 그것을 연장하는 과정으로 ..
-
류장현 안무 <칼 위에서>: 제도-현실 비판의 외양 아래 이는 파열음REVIEW/Dance 2016. 1. 29. 01:57
▲ 류장현 안무 공연 모습 [사진 제공=국립무용단] (이하 상동) 검은 옷으로 얼굴부터 전신을 가린 개성을 탈색한 이들은 관객 한 명 한 명을 객석에서 무대 위로 소환해 이 시대의 캐치프레이즈들과 대면시키고 그것을 들고 있게 하는 데서부터 시작한다. 이들이 좇는 건 잡히지 않고 달아나는 달(스포트라이트)인데, 이는 객석에 흰옷을 입은 이(무용수)를 무대에 불러내 신성한 제물로 삼고 그녀가 광기로 폭발하는 가운데 모두가 검은 옷을 벗어 하얀 옷으로 한판 굿을 크게 하는 것까지가 비교적 단순한 공연의 전반적인 구성이다. 피켓 시위와 밑에 길게 늘어뜨려진 걸개그림은 이곳이 원래 열린 극장이라는 사실과 밀접한 연관을 맺는다. 통제되지 않는 에너지는 각자의 춤에 자율성을 안긴 안무 방식인 동시에 공간을 최대한 채..
-
<I'M SO TIRED>(아임 쏘 타이어드), '비주체들과 주인공'REVIEW/Dance 2016. 1. 22. 10:34
공연 사진후반 3호선 버터플라이의 보컬 남상아의 거의 독무대로 기록할 만한 '스모우크 핫 커피 리필' 부분은 기존 연주와는 달리 특이하게도 밴드가 어느 순간 개입되지 않으며 마치 하나하나의 음절이 드럼부터 시작해 베이스, 기타로 나아가는 단계들을 누락하며 그것으로부터 벗어난다. 곧 보통 음악이 무용 작업에서 배경음악으로 쓰이는 데서 벗어나서 이 무대의 수많은 움직임들에 대한 주체의 서사를 주인공으로서 그제야 기입한다. 마치 그녀가 커튼콜에서 다른 무용수들과 한 무대에 서서 박수를 받을 수 있는 이유다. 수열로 이뤄진 장애물들을 뛰어넘기라는 정형화된 공식으로부터의 이탈과 그와 동시에 생겨나는 결과물인 환락을 무대 중심에 올린 이후, 음악은 무대 전체에 스피커를 통해 투과하는 한편 마찰음들을 통해 그 자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