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수현 안무가의 <아이 원트 투 크라이, 벗 아임 낫 새드(I want to cry, but I’m not sad)>의 안무 패러다임에 대한 접근카테고리 없음 2017. 1. 13. 11:52
수행사로서의 제목 ▲ (2016)[사진 제공=황수현 안무가](이하 상동) 제목인 (2016, 이하 )의 “울고 싶지만, 슬프지는 않다.”는 뜻의 문장은 공연의 시작을 꾀는 제사(題詞)이자 수행사(遂行辭)로서의 퍼포먼스 자체를 지시한다. 보통은 슬픔이 울음의 전제 조건이자 인과의 선행 요인이라면, 이 퍼포먼스 안에서는 울음을 슬픔 가운데 생성하지 않는 것, 곧 울음을 슬픔과 상관없이 작동케 하는 것이 주요한 전제가 된다. 한편으로 여기에는 왜 울고 ‘싶은지’에 대한 이유가 가늠되지 않는다. 곧 각각의 퍼포머/무용수마다 울음을 쥐어 짜내는 기술의 시현 정도로 나타나는 퍼포먼스는, 그러한 기술 자체가 안무로 작동하는 것까지만을 다루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곧 퍼포머 개개인의 감정 양태 자체는 울음의 유인은 될..
-
[2016 SIDANCE] 카롤린 칼송 리뷰REVIEW/Dance 2017. 1. 13. 11:43
건강상의 이유로 한국에 오지 못한 칼송의 작품 는 일부 축약한 영상으로 선보였고, 이는 추상표현주의 회화 작가 마크 로스코의 작품에 대해 영감을 얻는 칼송이 직접 구성한 텍스트의 내레이션이 나오는 가운데, 여러 심리적이고 미니멀한 동작들이 출현한다−물론 이는 짧은 비디오 단편들로 분절된다. 춤에 대한 내적 동기, 곧 불가해한 작품이 놓이고 이를 마주하고 생겨나는 감상을 춤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내면적 욕구, 그리고 작품에 대한 심리적 대화가 안무를 구성하게 된다. 시적이고 추상적인 표현주의적 안무의 심상은 구체적인 작품, 물질에 대한 것에서부터 출발함으로써 동시대의 춤에 대한 래디컬한 질문을 정초하지 않고서 춤의 유인과 안무의 합목적성을 얻는다. '침묵의 사물'은 춤이라는 매체와 적절히 상응하며 또한 말과..
-
<나, 말볼리오> 리뷰, '극에 참여하고 있다'REVIEW/Theater 2016. 12. 5. 12:17
공연은 현대인을 대표하는 관객을 상정하고 그런 의식화된 관객을 끊임없이 조소하고 비판하며 진행된다. 관객과 직접적으로 대면하고 관객에게 말을 걸면서 무력하게 앉아 있는 수동적인 관객의 의식을 깨우는데, 이러한 직접적 인터랙션과 셰익스피어의 희곡, '십이야'의 말볼리오라는 캐릭터가 희곡의 줄거리를 이야기하는 장면은 거의 반반으로 나뉜다. 극에 참여한다는 의식으로부터 극을 본다/듣는다는 의식으로 넘어감은 후자를 일종의 극 중 극 차원으로 볼 수 있는 메타 의식을 갖게 한다. 두 부분은 엄밀히 구분되는데, 전자가 후자의 주석이 아니라, 후자가 전자의 인용 차원이 된다는 점을 인지할 수 있는 부분이다. 궁극적으로 극은 말볼리오라는 불운한 캐릭터에 대한 해설이자 현대적 주석쯤이 된다. 한편으로 연극은 기본적인 희..
-
2016 프린지페스티벌 5작품 리뷰REVIEW/Theater 2016. 12. 5. 11:41
이지현, ▲ [사진 제공=2016 프린지페스티벌](이하 상동) '요정'(이라고 소개하는 아티스트 이지현)을 따라 가상의 공간('이곳은 일본 해안가')을 상정하고, 신문지로 사람을 빚고 또 욕조에 담가 신문지를 찢어 만든 물에 씻기고, 신문지를 찢어 손으로 뭉쳐 거품을 뿌려준다. 신문지는 생명과 물질의 매체가 된다. 예약을 통해 일 대 일로 진행되는 퍼포먼스는, 역할놀이를 한다는 점에서는 어린 시절 소꿉놀이와 비슷하지만 레디메이드 사용을 가급적 줄이고, 인형('자신이 돌연 생각한 사람')을 실제 제작하고 그에 생명을 불어넣는 극을 가정한다는 점에서는, 접촉을 통한 몰입으로써 일종의 원시적인 형태의 염원의 주술적 미디어를 구현하는 바 있다. 지성은, 관객은 일시를 선택해 스테레오타입화된 이상적 신부를 위한 ..
-
2017년 국립현대미술관 전시 라인업 및 중점 사업PREVIEW/Visual arts 2016. 12. 5. 11:34
2017년 국립현대미술관은 서구(미주, 유럽) 중심, 남성 중심의 근현대 미술 탐구에서 탈피하여, 중동, 아시아, 여성 등 그동안 소외되어 왔던 비서구, 비주류 미술을 고찰함으로써 기존의 미술사를 재정립, 재서술하고자 한다. 전[2017년 4월 ~ 7월, 덕수궁관]은 이집트가 근대 독립국가로 성장한 1930년대 이후의 이집트 아방가르드 예술 운동의 궤적을 밝혀낸다. 전[2017년 10월 ~ 2018월 3월, 덕수궁관]은 나혜석, 이인성, 이쾌대, 장우성, 천경자 등이 참여하며, 근대 시기의 다양한 사회, 문화 속 ‘신여성’을 다루며 미술을 비롯해 영화, 문화, 음악, 무용, 디자인 분야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조망하면서 타자화된 여성으로부터 주체적 개인으로 이행하는 과정의 근대기 여성상을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