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희중 안무 <지평선 아래 솟구치는 것들>: '안무의 사운드적 확장'REVIEW/Dance 2017. 3. 22. 00:30
▲ 김희중 안무 [사진 제공=컬처버스] (이하 상동) 3명의 사운드를 다루는 이들은 무대 뒤편에서 은폐되지 않고 오히려 디제잉 부스처럼 위치하며 따라서 작업은 움직임에 피처링을 하는 사운드적인 실험에 가깝다. 책을 쌓는 과정은 필연적으로 그것을 허물 것을 전제한다. 이는 유기적 짜임의 구조를 이루는 대신 엔트로피적 발산의 즉흥적이고 충동적인 면모에 의거한 것이기 때문으로, 강박적이고 제의적으로도 보이는 이런 '행위'는 안무의 체계적 질서를 보여주는 대신, 하나의 명령에 따른 프로그램화된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이는 사운드 디제잉의 실험 자체의 단면으로 소급된다. 이 책을 펼칠 때 허약한 구조를 쌓고 허무는 일시적 건축 행위는 텍스트를 읽을 수 있는 이의 자동 기술적 의식의 흐름을 드러내는 것으로 이어진다..
-
2016 송은미술대상 리뷰REVIEW/Visual arts 2017. 3. 22. 00:12
▲ 그들이 온다. 은밀하게, 빠르게, 2016, 단채널영상, 사운드 염지혜의 스크리닝 (2016)는 짧은 시간에 부여되는 리듬과 일정 단위의 구별이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이 이후 김세진 작업과의 비교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비규격화적인 표현 형식은 소급되지 않는 이상한 차원/레이어로 빠져들며 해독 불능, 판단 유예/불가의 상황을 초래한다고 보인다.). 여기에 감상적이지 않고 유희적이고 장난스러운 말이 헐겁게 화면에 드러난다. 곧 그것은 목소리에 입힌다. 그럼에도 그 목소리는 결코 견고한 하나의 내레이터로 수렴되는 대신 일정하지 않은 인격체, 가상으로 형성된 캐릭터에 애매하게 부착된다. 사실 그러한 필연적 균열은 드러나기보다 전체적으로 헐겁다는 인상을 주는 정도에 그치게 한다. ▲ 열망으로의..
-
춤판 야무 <섬>: 행위로써 구성되는 시간과 존재REVIEW/Dance 2017. 3. 21. 23:36
▲ 춤판 야무 포스터 무대 바닥, 각목들을 쌓아 놓은 가변 구조물은 금배섭과의 거리를 두는 섬의 좌표로서 의미를 함축한다. 이는 제도라는 것의 미약한 울타리를 두른 불안전한 자기 지시적 경계를 나타내는 듯하지만, 이는 후반에 신체의 지지대로 사용된다. '예술로써 생존하기'는 예술계 내 하나의 화두로서 가끔씩 드러나는 것의 연장선상에서 이를 바라볼 수도 있을 것이다. 지난 작업 에서 안무가 금배섭은 이미 작품의 지원서를 읽는 등 제도와 결부된 기록과 경험 차원을 복기한 바 있다. 이번 작업의 모티프는 사실상 탈북자이고, 그를 향해 가상의 실제 같은 편지를 전단에 기록했는데, 타자를 향한 제스처와 함께 단순히 타자적 형상을 그대로 취하거나 하는 것이라기보다 상호간섭적으로 파생되어 가는 타자와의 섞임을 드러낸..
-
장영혜중공업 ≪세 개의 쉬운 비디오 자습서로 보는 삶≫: '시적 알레고리와 리듬 문자, 그리고 사운드'REVIEW/Visual arts 2017. 3. 21. 23:27
▲ 《세 개의 쉬운 비디오 자습서로 보는 삶》 전시 전경, 아트선재센터, 2017, 사진: 김상태 [사진 제공=아트선재센터] (이하 상동) 시각적 제스처로 한정 짓기에는 화면 안 글자의 폰트, 형태, 배치 들의 궤적은 지연되지 않으므로 일종의 시간예술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화면 밖 공간을 채우는 재즈 풍의 연주는 그것과 싱크를 맞추며 화면의 전환과 시각적 리듬에 더해 끊임없는 자극을 준다. 사실상 언어의 장르적 특질은 1층의 가 주로 대화체로 구성된 인터넷 소설의 외양으로 판소리 사설을 떠올리게 하는 반면, 2층의 는 한국 사회의 대타자적인 기호이자 동시에 모든 고급적이고도 매력적인 장소로서 '삼성'―삼성이라는 고유명사에 대한 직접적 언급으로서 삼성이라는 상징 자본의 고유한 위치를 비판적이고 적대적..
-
남산예술센터 2017 ‘동시대성을 화두로 공공극장의 역할 제고’카테고리 없음 2017. 2. 7. 18:59
▲2017 남산예술센터 시즌 10명의 연출가 [사진제공=남산예술센터] 남산예술센터(서울문화재단 산하)는 3월부터 10편의 작품을 올린다. 우연 극장장은 ‘민감한 동시대 주제’를 다루려고 하고, 재공연되는 두 작품(, )에 대해 한국사회에서 아직도 유효하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또한 ‘검열각하’를 혜화동로터리에서 작은 역사를 세우려는 연대의 움직임으로, 지금 한국 사회 내 문화예술을 개별적인 목소리가 아니고 여러 다수의 목소리를 모아서 다뤘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이를 남산예술극장으로 가져옴으로써 현장과의 연대를 강화하는 동시에 공공극장의 역할에 대해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서사를 벗어난 새로운 형식의 작업들을 다룬다. 구자혜 연출가는 에서 작년 문화예술계 내 성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