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극단 <죽고 싶지 않아>:청소년극의 불안정한 좌표REVIEW/Dance 2016. 6. 27. 01:45
공연 사진[=국립극단 제공] 청소년극이 함의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는 청소년을 소재로 하여 청소년을 향한 이야기를 하며 청년으로부터의 시선을 창출한다, 정도가 될까. 절반이 노출된 정육면체 검은 큐브의 4면은 칠판을 대신해 빼곡이 낙서가 자리한다. 이는 복잡한 청소년의 머릿속을 은유하는데, 곧 정리되지 않은 분열된 언어의 카오스에 휩싸인, 온전한 신체가 아닌 오로지 가득 찬 머리를 가진 이라는, 불완전한 존재에 대한 인공적 공간의 형상화인 셈이다. 이는 한편으로 초반에 교실로 자리하는데, 빠르게 가속하는 일과의 여정이 적당한 춤으로 재현된다. 여기서 '적당한'이란 춤의 테크닉을 현실적 몸짓으로 다듬어 내는 일이다. 재현과 표현의 중간쯤에 위치한, 곧 현실의 묘사를 통한 공감과 춤이란 예술의 폭력이 주는 ..
-
여전히 안무다-장치: '여전한 안무 이후 혹은 현재'REVIEW/Dance 2016. 6. 27. 01:39
(이 글은 공연 실제 진행 순과 달리 관련 작업들을 연계하며 쓰였고, 마지막에 약간의 제언을 담았다. 첫날 프로그램인 윤자영, 오설영의 작업은 기술하지 않았다.) 공연 사진[국립현대무용단 제공](이하 상동) 에서 무대 위에 걸린 줄과 그 위의 봉지들은 얼굴의 (비)현상으로서 무대와 일상의 접면을 상정하는데, 그 경계로부터 위치한 여자, 곧 선-행위를 하고, 그 주위를 떠돌며 현장을 배치하고 '잉여'들은 그것을 수습하며 무대가 끊임없이 재생/소거된다. 곧 있는 것이란 그러한 사라진 행위 자체에 대한 기시감과 피로감 정도로, 매개자적 퍼포머와 현실 속 캐릭터의 접면에서 무대가 만들어지는 과정 자체에서 퍼포머들은 직접적으로 관객에 접면한다. 그렇지만 무대라는 게임의 규칙 안으로 계속 소급시키며 이 작업을 여타..
-
모다페 2016 리뷰REVIEW/Dance 2016. 6. 10. 13:01
스코틀랜드 국립현대무용단, Dreamers 클래식 음악은 몸의 충동을 묶어두는 데 부족하며, 따라서 몸은 그것을 초과해 그에 적응하려 하는 듯하다. 이는 한편으로 클래식에 대한 일반적인 적응이라 할 수 있는 유연함의 안무 동작들에 대한 벗어남을 의도하는 것으로, 과잉된 움직임으로 음악을 전유하며 기존의 춤에 비평적 시선을 덧댄 것으로도 읽힌다. 또 한편으로는 음악은 강박인 동시에, 그 강박으로부터 분열되는 몸이 하나의 메시지로 드러난다. 샤론 에얄과 가이 베하르, Process Day 테크노 사운드에 따른 움직임은, 어떤 메시지를 담아내려는 의도가 없으며, 음악의 파장에 대한 움직임을 최대한도로 끌어올려 밀도 있게 움직임을 그에 적응하며 나타내는 간명한 안무의 방안이다. 테크노의 분절된 사운드가 몸의 탄..
-
<모든 군인은 불쌍하다> '숨 쉴 구멍이 없다'REVIEW/Theater 2016. 4. 29. 16:20
작품의 제목에서 방점이 찍히는 건 '모든'이다. 거기에는 군인이라는 특정 계급/신분에 따른 명명만 있을 뿐, 결국 그것을 말하는 이까지 불분명하게 흐트리며 포함한다. 다만 피해자(에 대한 탄식과 연민)만이 존재할 뿐이다. 극 속에서 유일하게 아들과 같이 자리하는 (탈영병의) 아버지는, 탈영을 한 아들과의 대면에도 태연하다. 아들이 어디에도 설 자리가 없다는 것, 코너에 몰렸다는 것, 그가 잠시 사회로부터 이탈된 채 공기처럼 부유하고 있다는 것에 맞서 어떤 초조함도 없다는 것은 어떤 사회의 외부도 상정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듯하다. 자신이 하나의 매체로서 전화를 받고 그것을 매개하는 것, 층간소음이 발생했을 때 으레 그에 대한 불만이 접수되고 나서 그것을 다시 전달했음을 알리는 것으로 사건을 종식하는,..
-
<시간의 나이> 시선의 정치학/미학REVIEW/Dance 2016. 4. 29. 13:04
▲ [사진 제공=국립극장](이하 상동) 공연은 호세 몽탈보의 시선과 몸이 겹쳐져 있다. 이는 국립무용단의 움직임에 대한 관찰로부터 포착된, 그리고 몽탈보의 움직임을 무용수들이 전유한, 두 가지 결은 시선의 층위를 각각 몽탈보와 관객으로 달리 분배한다. 그 결과 몽탈보의 시선에 딸려 들어갔다가(소환됐다가) 몽탈보가 머금지 못한 (몽탈보로부터 비껴난) 시선의 나머지를 보게 된다. 이런 측면으로 인한 문화 차이의 간극은 어색한 옷을 입은 것 같다는 느낌을 언뜻 주는 일면이 있다(어떻게 우린 몽탈보를 통과할 것인가, 혹은 어떻게 이 관문을 몽탈보는 통과할 것인가의 물음을 낳는다). 여기에 영상과 음악이란 레이어는 움직임을 이미 선취하거나 다른 차원에서 개입한다. 가령 대도시의 삶을 떼를 지은 새들의 모습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