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다페 2015 리뷰: 특기할 만한 몸짓들, 현재 유효한 질문에 대한 질문REVIEW/Dance 2015. 7. 1. 11:21
스펠바운드 컨템포러리 발레단의 는 하나의 작은 큐브를 가지고 사계절의 변화와 그 속에 존재들의 관계를 구현한다. 커다란 무대는 작은 하나의 무대이자 공간인 큐브에서부터 시작되며 큐브로 돌아간다. 큐브에서부터 확장되며 큐브로 압축된다. 이 큐브는 입체적이고 모서리가 비대칭적으로 깎여 나간 다변형의 구조로, 계절의 분기에 맞춰 위치를 달리한다. 매우 변화무쌍한 건축적 구조물은, 그럼에도 유선형이 아닌 직각적이고 평면적으로 공간에 상정되며 이와 합치되려는 움직임들은 다분히 딱딱해지는 경향이 있다. 어쩌면 이는 수직 축을 유지하며 그것을 은폐하는 유연함의 몸짓들과 전체적인 활강의 동력을 가져가는 발레를 공간 안에 결부 지으며 다소 더뎌지는 흐름으로 인한 탈은폐의 측면일지도 모른다. 개막작인 만큼, 사계절의 화려..
-
전미숙 <Amore Amore Mio>: 반복의 적층과 순간의 영원REVIEW/Dance 2015. 7. 1. 10:12
막이 오르기 전, 전미숙 안무가의 솔로 무대는 그 자체로 하나의 막이 되어 갔는데, 가령 둥글게 말아 흩어지지 않는 무거운 몸짓의 원환은 어떤 하나의 무게이자 몸으로, 막이 오르기 전에 무겁게 어둠으로 녹았다. 이는 이후 펼쳐진, 화려한 무대의 와 대칭을 이루며, 수많은 문들로 이뤄진, 그러나 그것들은 소통 불가능성으로 소급되는 각각의 모나드들로, 그것들이 만든 가상의 세계 그 문을 열었을 때 마치 그것들 모두가 해체되어 산화되는 것과 같은, 그 빛의 심핵을 건드리고 있는 듯했다. 전미숙의 솔로가 삶의 솟구치며 다져진 이야기의 주름, 그 궤적이라면, 는 그 찬란한 표면의 입자들이었다. 이 분자적 진동을 가리키는 가장 명징한 기호는, 결국 처음 무용수들이 들고 온 찻잔 위의 컵이 떨리며, 자신의 움직임을 ..
-
요헨 롤러 <그림문자>, 다만 이것은 하나의 음악-춤의 리듬과 속도!REVIEW/Dance 2015. 6. 20. 13:05
▲ 요헨 롤러 , 사진 제공=국립현대무용단(이하 상동) 가령 두 사람의 얽힘에서 상하의 위치 전환의 양상과 그에 따라 달라지는 음악의 판은, 일종의 몸이 시각적으로 드러난 기계 버튼이 된 디제이 믹싱의 변전에 다름 아니었다. 이는 전체적으로 보면 음악과 맞물린 무대가 몸을 촉발하고 움직임은 그 음악에 합당한 지점에 위치함을 의미한다. 음악은 몸을 위한 일종의 수많은 참조자료들의 성격을 띤다. 단지 음악과 춤 그 하나로 합쳐지며 무한하게 달려 나가는 무대가 주는 쾌감은, 곧 변화에 있었다. 어떤 과거나 돌아감 따위는 없다. 의식을 갖춘 주체나 존재 양상도 찾을 수 없다. ‘구성은 없다!’ 다만 뭔가 흘러가는 양태들만이 있을 뿐이다. 이 단순한 무대 구성의, 그러나 화려한 흐름은 감각을 완전히 사로잡기에 이..
-
2015 안산 국제거리극축제 리뷰: '시민적 일상 공간의 모색' 그 과도기에서REVIEW/Interdisciplinary Art 2015. 5. 8. 17:26
▲ 실존하는 거리극 축제로서는 가장 많은 인파를 모은다고 보인다. 일자형 이차선 도로를 모두 축제의 장소로 바꿈으로써 각기 다른 장소를 찾아다니며 얻는 장소 특정적인 경험의 상존 대신, 사이트로서의 구별 가능함으로 일종의 투명한 경계의 부스 형태로 공연들이 시간의 분배에 따라 온/오프되는 것으로 변화되어 있었다고 보인다. 한 마디로 비워진 공간이 도시 질서의 해방 출구를 체현하는 안산 국제거리극축제를, 오랜만에 찾았을 때 느낀 것은 한 마디로 별로 볼 것이 없다는 것. 장소 특정적인 무대로의 전환에 드는 비용은, 몰입의 관객 대신, 평범한 공공 설치물들과 함께 ‘셀카’ 찍는 시민의 관광객들로 수렴되었고, 그것이 붙잡아둘 수 없는 시간의 공연 대신, 함께 기억할 수 있는 추억의 기념 장소들을 구축하는 것의..
-
[페스티벌 봄 2015] <멈출 수 있는 미래의 환영>, 적나라한 파국에서 시야각 바깥으로REVIEW/Interdisciplinary Art 2015. 5. 8. 17:14
@ 차지량 119 구조대 공간에 들어서 본 건 ‘여기’가 아닌 ‘저기’, 곧 한강 위 오리 배에 탄 난민들이었다. 미래에서 온 난민의 입국을 허용하는 협상의 자리에서, 그것과 거리를 좁힐 수 없이, 멀리서 중계되는, 매우 미소하게나마 시차를 허용하는 지연을 거쳐 그것과 마주하는 것이다. 구조 보트를 구동시킬 때 흔들림을 경험하고 전체적으로 땅에 뿌리박지 않은 공간에서 관객은 응시 대신 기다림과 지루함을 겪는, 일시적인 폐쇄 공동체의 운명을 띠게 된다. 이러한 답답하고 어두운 공간은 결국 차지량 작가가 미래로 전이한 현실의 알레고리를 실제적으로 체현하는 것이라 하겠다. 한편 난민 협상의 타결을 보기보다, 이 화면이 언제 끝날지가 기다림의 끝으로, 그 생명력은 곧 보이지 않는 미디어의 암묵적 권력에 있는 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