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MAF 2013] <프리즈마>: 신체와 결부된 카메라, 그리고 매체가 되는 신체카테고리 없음 2013. 10. 22. 19:19
▲ (임철민 감독) 는 어떤 내용을 담은 것이라기보다는 그것을 바라보는 ‘관점’ 내지 매체의 지각 방식 자체에 대한 것에 가깝다. 우선 카메라는 부유하며 이는 어떤 대상이 아닌, 대상과 세계가 뒤섞여 유동하는 판과 그어지는 일시적 선분으로만 구성된 하나의 유동하는 혼합적 공간을 창출하고, 이는 계속해서 어떤 앞으로 걸어가는 행위의 리듬과 결부된다. 인트로에 해당하는 이 영상은 나의 시선을 대신한 카메라의 시선이 걸어가는 행위와 결부된 곧 신체 자체를 매체화하며 그 걸음, 그리고 몸의 흔들림과 카메라와 몸 간의 유격을 통해 목적 없는, 지향 없는 시선을 만들어 낸다. 다만 하나의 그보다 큰 세계(몸)에 종속된, 그리고 그 둘이 속한 커다란 세계(현실 공간)를 향해 가는 가운데, 카메라는 자신의 앞에 놓인 ..
-
[SIDANCE2013] 라 베로날(La Veronal), <숏컷–세 도시 이야기 Shortcuts>: 말과 몸, 봄과 보임의 시차 속에서REVIEW/Dance 2013. 10. 18. 15:30
▲ 라 베로날(La Veronal), [사진 제공=서울세계무용축제] 외화면 목소리가 지정하는 묘사와 서술, 그 바깥에서 유희적인 캐릭터들의 파편적이고 반복적인 일상, 이 둘의 관계 내지 간극은 서로에 대한 완벽한 재현으로 작용하기보다 오히려 평행되며 나뉘는 차원에서 출현한다. 전체적으로 말은, 특히 첫 번째 도시 ‘레이캬비크’에서의 말은, 어둠의 공간에서 둘이 움직임을 쌓아 나가는 것에 그것에 순전하게 몰입하게 하지 않고, 모호한 서사의 일면에 재현되는 내지는 서술되는 측면에서의 부합되는 환상, 완전하게 파악될 수 없는 상황의 일부로 여겨지게 할 뿐이다. 이 말은 그래서 명확하게 현실을 만들기보다 (무)의식의 흐름으로 흘러가며 마치 주술처럼 내 안의 화자로 전이되며 파편들로써 현실을 불완전하게 파악하는 ..
-
<더 코러스:오이디푸스>: '생생한 원작'의 구현...REVIEW/Theater 2013. 10. 18. 15:13
▲ [사진 제공=LG아트센터] (이하 상동) 는 더 코러스란 수식어가 붙지만, 당연하게도 소포클레스의 원작 『오이디푸스』의 2차 텍스트이자 동시에 수많은 2차 텍스트의 해석적 담론들에 대한 참조와 변형, 궁극에는 자유로운 해석의 귀결로 나아가는 헝클어진 내지는 또 다른 텍스트들과 달리 오히려 2차 텍스트로서 원전에 충실한 편이다. 한편, 그리스 연극에서의 주인공과 코러스의 위계적 분리 이전에 코러스가 갖는 높은 비중으로서의 역할을 회복하려는 시도가 합창으로서 갖는 말의 울림으로써 또 무대의 입체적인 재편의 지속으로써 극을 풍부하고도 다른 모습으로 표현하게끔 만든다고 볼 수 있다. 오이디푸스는 테베에 주어진 벌에 대한 죄의 원인을 (합리적으로) 찾고자 하고, 이는 원인과 결과의 인과론적 전제를 전제하며 또..
-
[SPAF2013] <메디아 온 미디어>: 미디어의 재전유REVIEW/Theater 2013. 10. 16. 13:27
▲ [사진 제공=한국공연예술센터] 제목처럼 미디어로 중개‧중계되는 메디아에 대한 이야기다. 계속 역동적으로 달라지는 각기 다른 미디어 속 모습들로부터 취해 온, 흰색 프레임 속 장들의 변전은 일종의 역할 놀이이자 중계되는 쇼로, 그 사이에 그 역으로 분하는 장 바깥으로의 준비가 있다. 메디아에 대한 내용 자체가 아니라 그것이 또 다른 매체로 전해지고 있음을 메타적으로 구현하며 미디어 형식(의 달라짐) 그 자체를 보여주며 그 내용을 현실의 유비 관계로, 매체가 전하는 삶의 형식들 자체로 연장/확장한다. 이는 곧 ‘미디어는 메시지다’의 맥루한의 전언을 상기시킨다. 미디어 속 모습으로 연극을 꾸밈에 따라 미디어와 연극은 서로 간의 절합의 측면을 중간 중간 가져가게 된다. 메디아의 기자회견장으로 시작된 연극은 ..
-
[SPAF2013] <스푸마토>: 현존을 만드는 방식의 안무REVIEW/Dance 2013. 10. 16. 13:15
▲ [사진 제공=한국공연예술센터] 배로부터 피어나며 위쪽으로 느리게 도달하며 무대를 장악하며 겹에서 또 다른 겹으로 펼쳐지는 안개, 이것을 자연 그 자체에 대한 환유이자, 비자의적인 안무 그 자체로 보지 않는다면 이 작품의 특질과 메시지 이전의 표현의 강력함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것일 것이다. 그 안에서 안개에 뒤섞여 끊임없이 돎의 현존을 추구하며 이동하는 축을 가진 자동 회전 기계의 비인간의 형상으로 변해가는 여자 무용수의 몸짓으로 보이는 움직임은 그 은근하고 거대한 현존에 조응하는/맞서는 또 다른 생명의 현전이라는 서사 차원에서의 전개와 몸짓이든 수용의 측면에서건 인간으로서 어떤 가용 범위를 넘어서는 듯한 바로 그 부분에서의 현존이 맞물리고 있다. 후자는 그야말로 처음에는 느리게 도무지 믿을 수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