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극 <광부화가들>: '예술(의 의미)'의 시차적 도착REVIEW/Theater 2013. 10. 11. 15:07
▲ 연극 [사진 제공=명동예술극장] (이하 상동) 일차 텍스트 곧 대본을 현재화하는 연극의 특성을 전제하면, 동시대성을 띤 작품은 단순한 재현 이상의 것을 넘어, 현재에 (정치적으로든 문화 비평적으로든) 유의미한 감각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1934년 영국 북부, 우여곡절 끝에 애싱턴 노동자교육협회에 속한 광부들의 미술 감상 수업을 맡은, 예술에 대한 어떤 편견도 배제하고자 하는 선생 라이언의 등장은 일견 이 작품의 초반을 카르페 디엠이란 개념을 우리에게 전파했던 의 로빈 윌리엄스를 떠올리게 한다. 반면 구체적으로 그가 전하는 예술의 의미는 작품의 의미가 주어져 있는 것(작가의 의도나 작품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고 그림을 보는 사람이 받아들이는 부분에서 발생한다는 식의 이야기를 이미 바르트의 수용자 중..
-
[수정]<레일웨이 트래블러스 핸드북>: '이질적인 시공간'의 환시REVIEW/Interdisciplinary Art 2013. 10. 11. 14:02
- 과도한 현전/매체를 초과하는 실재: 뤼미에르 형제가 1895년경 소규모의 정원으로 카페에서 영화를 상영했을 당시 기차가 스크린을 뚫고 사람들을 덮칠 것처럼 느껴져 그것으로부터 도망을 쳤다는 일화는 꽤 유명하다. 스크린이 아니라 실제 그 규모는 더 컸을 테니 초기 열차는 사람들에게 거대하다는 인상을 심어줬을 것이다. - 시스템으로서 열차: 는 빙하기 이후 인류 대부분이 죽고 소수의 사람을 싣고 1년을 기점으로 원래의 지점으로 돌아온다. ‘노아의 방주’와 알레고리를 이루는 듯했던 열차는 산업혁명과 노동/진보의 알레고리로, 다시 시스템 자체에 대한 사유로 나아간다. - 레일웨이 트래블러스 핸드북 The Railway Traveler's Handbook: 파편적 텍스트들은 작가의 방대한 리서치를 전제한다. ..
-
프로젝트 남김 <런닝머신>: 잉여로서의 재잘거림과 무의식의 몸체REVIEW/Interdisciplinary Art 2013. 10. 11. 12:52
▲ 프로젝트 남김 포스터 [=프로젝트 남김 제공] 어둡고 음습한 듯한 외피, 그럼에도 입구에서부터 확장‧개방되는 시야와 카운터가 주는 안락함까지 지하의 콘크리트 공간은 화이트박스의 부정형으로만은 느껴지지 않는 구석이 있다(말하자면 탈제도적인 공간으로서). 갤러리 정다방 프로젝트라는 이름은 마치 이곳을 다방으로 이질적으로 전유하는 차원을 넘어 ‘정’ 씨란 누군가의 은근한 기획의 풍모를 느끼게 하는 측면이 있다. 곧 기실 장소는 한 군데이지만, ‘새끼치기’를 한 것 같은 느낌을 주며 가상의 여러 공간들을 상상하게 하는 것. 이곳에서 벌어진 ‘프로젝트 남김(Project Namkim)’의 이름 역시 뭔가 오역과 오해의 여지를 많이 두고 있는데, 영어로는 남 킴으로 발음하게 되며(될 여지가 있으며) 우리말로 ‘..
-
'장소'의 전유,《근성과 협동(GUTS AND COOPERATION)》REVIEW/Visual arts 2013. 9. 29. 04:55
▲ 홍은주, 김형재, , 2013. 옵셋 프린트, 15 x 21 cm. 엽서 이미지. 오래된/허름한 역사적/시차적 환경, 번쩍거리는 조명들의 오브제들을 지나, ‘좁고 높은 유격’의 콘트리트 계단을 밟아 스튜디오에 입성하면, 책들로 둘러싸인, 컴퓨터 환경의 사무실임을 깨닫게 된다. 전시는 이 ‘스튜디오’의 일시적인 전유로서, 김실비의 작업은 이 ‘홍은주 김형재 스튜디오’ 안에 하나의 모니터 안 뮤직비디오 형식의 영상으로 소환된다. 이는 중앙에 있으며, 우리가 컴퓨터 앞에 앉을 때 하나의 내밀한 개인적 공간의 장을 곧장 형성하듯 좁은 공간의 낯섦, (가령 오프닝의 들락날락하는 열린 분위기가 아닌 이상) 평상시 작업하고 있을 스튜디오 주인들과 데면데면한 관계를 형성할 수밖에 없는 이 공간이 갖는 분위기, 속에..
-
연극 <알리바이 연대기>: '과거를 현재로 깁는 경험적/서사적 시선'REVIEW/Theater 2013. 9. 28. 00:46
▲ 연극 [사진 제공=국립극단] (이하 상동) 는 아버지와 아들의 시차적 삶의 재현을 한국 근현대사의 연대기의 큰 흐름으로 두는 가운데, 회상으로써 순간적인 에피소드들로 과거와 단절된 일상의 영속된 시간 안에 과거로부터 현재를 다시 깁는다. 이 회상의 형태가 현재에 머물러 있는 우리들에게 있어 과거의 현전으로 나타나며 이는 현재를 재구성하게 된다. 마치 시간 여행을 떠나 과거를 현재의 시점에서 체험하며 혼합된 시간을 경험하는 역사 탐험의 교과서적 만화를 보는 것 같은 매체의 전이가 느껴진다. 이러한, 과거를 재현하는 이야기 형식‧현전의 양태‧혼합된 시간으로서의 측면은 를 그야말로 현재와의 연대를 맺는, 현재로부터 출발한 나아가 과거까지를 다루는 연대기가 되게끔 한다. 박정희와 동시대를 산 김재엽 연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