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쓰-플레이'전 리뷰: '어떤 어긋나는 지점'들에 대한 찬동들REVIEW/Interdisciplinary Art 2014. 3. 13. 19:41
▲ 장현준_ 나는 협소한 창문으로 출입하라 _퍼포먼스_2014_전시전경 2013 아르코 신진기획자 인턴십 프로그램 성과보고전 '미쓰-플레이'전(1월 24일 - 2월 28일) 기획 의도에 따르면, ‘미쓰-플레이’라는 제목은 “오해·오독을 의미하는 miscommunication과 놀이를 뜻하는 play의 합성어로 오차 발생을 통한 창의적인 움직임을 발견하고자 만들어낸” 것이라고 한다. 이는 놀이라는 행위에 방점이 찍히는데, 또는 그 과정 자체를 수반하고 있는 작품의 가능성을 노정한다. 장현준의 에서, 관객은 전시장의 사물을 본다기보다 노트북 화상 채팅을 통해 장현준과 만나는 체험을 하게 된다. 일견 그가 지령을 준 동작들을 따라 하는 시간은 ‘존재론적 닮음’을 추구하는 모방하기에 가까운 듯하지만, 어느 순간..
-
'아오병잉 페스티벌': 잉여로부터 추출한 가능성들REVIEW/Interdisciplinary Art 2014. 3. 5. 14:49
▲ 아오병잉 페스티벌 포스터 왜 ‘아오병잉’인가, ‘아시아-오프-병맛-잉여’의 줄임말은, 웅얼거리며 차마 언어가 되지 않는 유아어 같고 의미를 형성하지 않는 잉여의 네 음절로 느껴진다. 한편, 페스티벌 기념품인 세 가지 버튼 묶음에는 ‘잉’의 자리에는 ‘인’‧‘신’‧‘잉’이 각각 들어가는데 의미는 한층 더 불명료해진다(도대체 이는 무엇의 줄임인가. 세로읽기를 통해 한데 묶어도, 의미는 형성되지 않는다). 프로그램을 따르자면, 아오병잉에서 ‘아시아’는 참가단체의 국적을 아우르는 영역의 범주이자 그것을 한정하는 개념이라면, ‘오-병-잉’은 다원예술의 새로운 정의로 전유되고 있다. 여기서 아시아는 대안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거나 아시아 자체의 고유성을 내세우거나 또는 아시아의 오-병-잉을 지향함을..
-
구자혜 연출의 <모래의 여자>, '부조리한 존재 물음의 모호한 지속'REVIEW/Theater 2014. 3. 5. 14:10
▲ 모래의 여자(각 색 ‧ 연 출 구자혜, 출 연 윤현길, 백석광)_photo by 김도웅 긴 어둠, ‘도대체 이 공간은 어디인가’라는 물음은 작품의 시작과 함께 떠나지 않는다. 초반 어둠과 함께 등장하는 여자의 메아리-목소리, 그리고 이후 그것이 반복되고 지속되지 않는 엄밀히 언어가 되지 않는 소리는 가령 이 바깥의 신체가 아니며 어떤 음악적인 부분의 효과로서 장식의 초과적인 측면이라고 하기에는 조심스럽고 미약하다. 이는 이곳에 낯선 자로 자리하지만 그에게 낯선 자로 있는 여자의 무의식의 결로부터 연유하는가, 오히려 이는 이 노래로 둘러싸인 곳에서 나갈 수 없는 가운데 죽어나간 수많은 영혼의 것인가, 이는 그 둘의 바깥에 있는 반면, 그렇다고 그 바깥을 상정할 수 있는 것조차 아니다. 이는 모래가 바람..
-
최은진 <신체하는 안무>, ‘끊임없이 말-움직임으로부터 생겨나는 것들’REVIEW/Dance 2014. 2. 28. 14:29
▲ 최은진 포스터 우선, 공연의 각기 다른 무대를 선보인 세 무용수를 표피적으로 구성해 본다면, 첫 번째 무용수 윤상은이 끊임없이 중얼거리는 자폐적인(autistique) 모습을 보인다면, 두 번째 위성희는 조금 더 관객에게 말이 움직임으로 전환되는 측면에 대한 설명이 표면적이다. 그러니까 관객에게 전달하는 것에 있어 말과 움직임을 혼란스럽게 처리하는 것 모두를 하나의 연기 과정처럼 원활하게 선보이는 능수능란한 연기자(actor)의 모습으로, 곧 스스로를 드러내는 특별한 전개, 동시에 중계의 과정을 펼쳐내는 것이다. 마지막, 세 번째 최은진은 관객에게 자신을 드러내기 이전에 그 드러냄의 벽에 스스로 부딪친, 실은 앞을 보지 못하는 소경의 모습, 동시에 무언가를 계속 말해야 하는 거의 강박 자체를 다시 말..
-
6명의 작가, 미디어극장의 막이 오른다.PREVIEW/Visual arts 2013. 11. 17. 22:34
▲ 육근병_by night_월스크린, 빔 프로젝터_1996 아트스페이스 갤러리 정미소는 ‘미디어극장 2013’ 프로젝트로 오는 19일부터 12월 18일까지 여섯 명의 미디어아트 작가를 차례로 초대해 갤러리 정미소에서 전시를 연다. 이는 2011년 정미소에서 실행했던 결과의 노하우를 되살려 좀 더 본격적으로 한국의 비디오, 미디어아트의 10여 년의 역사를 작가들의 작품과 그 시대의 담론을 묶어 내는 작업으로 조망해 보고, 더 나아가 한국의 비디오, 미디어아트가 현대미술의 현주소를 응집시켜 발전시키려는 프로젝트이다. 영상을 제작하기 척박한 상황에서도 꾸준히 비디오, 미디어설치작업의 등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에 본 프로젝트를 통해 백남준 이후의 한국미디어아트가 어떻게 진화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