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극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리뷰 :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삶에 대한 인식'REVIEW/Theater 2012. 6. 3. 10:59
두 명의 배우만이 등장하는 무대 ▲ 지난 5월 31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 소재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에서 열린 연극 프레스콜에서 배우 이호재 은 두 명의 배우, 이호재(모리 역), 박준혁(밋치 역)만이 나온다. 무대는 낯설게 대상화되어 역할과 상응하는 의미 있는 공간으로 변화하길 기다리고 있다. 소품을 거두는 사람이 있지만 어떤 역할이 주어지지 않은 채 단지 어떤 그 기록을 위한 장치로 기능할 뿐이다. 곧 두 사람의 존재가 특별한 시간과 공간, 역할을 상정한다. 두 존재의 상정은 어떤 한 명의 화자의 시선(일반적인 소설에서처럼)으로 주체와 타자가 나뉘어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두 인물은 한 명씩 역할이 만드는 공간을 현재에 삽입하여 무대에 자리하며 다른 한 명의 평면은 잠재성의 영역으로 이를 감싼다. 타자의..
-
극단 동 <비밀경찰> 리뷰 : '최고의 연극', '차이의 반복'을 통한 표현의 경이적인 감각들...REVIEW/Theater 2012. 5. 31. 09:31
가상으로 접선하는 Intro 바람과 함께 펄럭이는 신체, 이는 바람이 이는 가운데 몸은 이를 보이지 않게 구현하며 또한 그 휩쓸림에 흔들림으로 바람의 움직임을 몸으로 체현한다. 외화(바람 되기)로부터 변형된 내화(바람에 휘날리는 나 되기)가 일어난다. 연극(할아버지라는 역할 설정)과 현실(선풍기로 바람을 일으키고 도포를 휘날리게 하는 역할의 스태프)의 경계는 내부와 외부의 경계에서 응축의 펼침을 통해 하나의 평면으로 종합됐다. 이는 음악의 마디로서 긴장의 단위로 측정되는 음악은 또한 흩어져서 현실로 제자리했다. 음악은 때때로 고양되어 이 반복의 행동에 맞춰 채 의식하지 못하게 작품에 틈입해 그 자신의 존재를 일러주는 것이었다. 함축의 전개(표현)과 제어의 현실 표상으로 배우들은 인형이 된다. 즉 처음 할..
-
'1930년대 두 여인의 동성애를 소재로 한 창작 뮤지컬' <콩칠팔 새삼륙>REVIEW/Musical 2012. 5. 30. 10:24
지난 5월 29일(화) 2시경 충무아트홀 컨벤션센터에서 뮤지컬 (부제: 봄날 경성 연애사)의 제작발표회가 개최됐다. ▲ 지난 29일 오후 2시경 충무아트홀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뮤지컬 (부제: 봄날 경성 연애사)의 제작발표회 현장에서 뮤지컬 넘버 ‘너와 나/그녀와 나’의 용주 역 배우 신의정 ▲ 지난 29일 오후 2시경 충무아트홀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뮤지컬 (부제: 봄날 경성 연애사)의 제작발표회 현장에서 뮤지컬 넘버 ‘너와 나/그녀와 나’의 옥임 역 배우 최미소 ▲ 지난 29일 오후 2시경 충무아트홀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뮤지컬 (부제: 봄날 경성 연애사)의 제작발표회 현장에서 뮤지컬 넘버 ‘여자로 태어나’의 화동 역 배우 정연 먼저 뮤지컬 의 네 곡이 시연됐다. ‘너와 나/그녀와 나’는 옥임과 용주 간의..
-
국립극단 <레슬링 시즌> 리뷰 : '연극의 현실 개입을 이야기하다.'REVIEW/Theater 2012. 5. 30. 09:02
"~넌 나를 몰라" : 너로부터 나를 향해 긋는 선분 ▲ 29일 오후 3시경 서울 서계동 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극장에서 열린 프레스콜(이하 상동) 레슬링 군단의 역동적인 훈련 현장은 군무의 제스처를 취한다. 동물적 아드레날린이 분출되는 듯한 훈련 현장에 가득한 무대의 에너지는 화두의 물음을 하나씩 자기에게 소급되는 형태로 던지며 그 에너지의 부풀어 있는 장에 공백을 기입한다. 이 단단한 추동력에 스쳐가는 사유는 "넌 나를 안다고 생각하지만 넌 나를 몰라"라는 자기 정체성을 내재화하는 주체의 과정을 표상함으로 이어진다. 나는 나만의 공간을 만들고 사실 이 경계는 나를 모른다는 너로 인해 작동한다. 이는 나도 모를 선분을 나에게 긋는 것이기도 하다. 삶과 경기의 혼재된 규칙 경기장 안에 자리하는 이들 곁에 이..
-
《모다페 2012》시스템 카스타피오르(Systeme Castafiore), <Stand Alone Zone> 리뷰 : '가상의 실재화가 주는 심미적 감각들'카테고리 없음 2012. 5. 29. 08:52
'다른 세계' ▲ 시스템 카스타피오르(Systeme Castafiore), ⓒKarl Biscuit [사진 제공=원더스페이스] 2813년 가을, 오프닝 타이틀은 어둠에서 무대를 선행하며 영화적 장치로 작용한다. 무대는 비약으로 자연과 현실의 확장으로 드러난다. 이 환영의 세계 속에 날개 달린 다른 존재는 받침대 위에 올라가 있음을 통해 그 세계와는 다른 공간감을 제공한다. 구름 속의 도시, 환영의 그림자를 남기며 조합되어 이 세계를 초월하며 잉여로 자리하는 무대 위 존재들의 움직임은 이 공간의 무한한 대기에 공간을 벌리는 움직임으로 환영을 극대화하여 가시화한다. 이들의 '언어'는 마이크를 통과하는 특이한 목소리이자 독특한 리듬을 가진 재잘거리는 외계어로 말과 움직임을 교차하며 소극의 우스꽝스러운 캐릭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