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다페 2012》김보람‧조주현 음악과의 합치를 통한 황홀경으로...카테고리 없음 2012. 5. 27. 14:07
김보람 안무 , 종특이성으로 발현된 음악-춤 장들의 흥겨운 엮음 ▲ 김보람 안무 Ambiguous Dance Company 작품 포스터 ⓒ옥상훈 [사진 제공=원더스페이스] 시작은 무대와 객석을 나누지 않음에서 출발하며 공통의 나눌 수 있음을 상정한다. 이어 무대에 올라 나는 여기서 관객의 위치에서부터 무대는 객석을 바라보고 있음을 드러낸다. 전체적으로 김보람은 무용수와 무용수 간 나눌 수 없음, 음악과 춤의 나눌 수 없음의 불가능성의 가능성을 향한다. 춤은 매우 명확하고 즐겁고 또한 살아 있다는 느낌을 준다. 정확한 안무의 타점과 순식간에 응축됨, 그리고 단체로 음악에 휩쓸려 감은 속도에 속도를 더한다. 라샤 클래식은 한 명을 위한 세레나데로 변모한다. 그에게 멀어진 그 바깥에서의 춤은 이 음악에 무관심..
-
《모다페 2012》M.O.S STUDIO, '신인 안무가들의 표현의 장'카테고리 없음 2012. 5. 27. 13:47
오는 31일까지 아르코예술극장, 대학로예술극장, 국립극장에서 펼쳐지는 제 31회 국제현대무용제, 모다페 2012에서 25일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에서 신인 안무가들의 제한 없는 참가를 받아 진행한 M.O.S STUDIO가 열렸다. '신인 안무가들의 표현의 장'은 11개의 공연이 중단 없이 이어져 지루함을 주기도 했지만, 다양한 개성의 안무의 싹을 띄워 가는 안무가들의 신선한 생각들의 표현의 단초를 찾고자 하는 시도에서 유의미한 시도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고, 관객들은 자연스레 이러한 전제에 암묵적으로 동의하며 개방된 감상 태도를 취했다. (대략적인 감상만을 전할 수밖에는 없을 듯하고, 사진 없이 작품의 간략한 소개가 담긴 브로슈어와 작품을 일치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모다페에서 무용 공연마다의 사진을 따..
-
<Brother> 리뷰 : ‘분절된 현실 속 관계에 대한 긴장과 화해’REVIEW/Dance 2012. 5. 27. 13:15
형제의 신화적 탄생 ▲ 포스터 [제공=공연기획MCT] 어둠 속에서 피어오르는 공명의 웅혼한 목소리로부터, 달이라는 심상이 더해져 어렴풋한 자취로 각인되며 겹겹의 살결로 섞이는 두 형제는 은밀한 살의 계약을 맺고, 신화적인 뒤섞음으로 반쪽 같은 뗄 수 없는 관계를 세계에 기입한다. 몸부림치는 이 둘의 하나 된 꿈틀거림은 시차를 둔 일반적인 형제의 탄생과는 차이를 내포한다. 움직임은 겹쳐서 나타나고 서로에게 쏠리는 힘에 대한 의존과 불균형의 균형으로서 잡는 움직임의 평형은 이 한 덩어리로 맺어지는 확장과 접힘의 불균질한 실재로 무대를 휘젓는다. 들고 남은 이토록 거칠며 거친 숨과 함께 사건처럼 불연속적으로 연속된다. 나의 반쪽인 너 ▲ 공연 모습 [사진 제공=공연기획MCT] 김남진에 비해 상대적으로 아주 말..
-
《모다페 2012》최진한‧오창익‧임민희 : '독특한 분위기로부터의 춤'카테고리 없음 2012. 5. 25. 13:40
최진한 ▲ 최진한 [사진 제공=원더스페이스] 구멍 뚫린 철망에서 마치 그 구멍들을 접촉하며 사운드가 나오는 듯한 음악의 파열을 만드는 가운데 진공 상태의 긴장을 그린다. 물질은 믹싱되는 기계적 처리의 성격이 강하지만 그 매체를 성찰하게 하는 데로 나아가지는 않는다. 어떤 신비함을 주지만 명확한 몸의 성찰은 일시적이다. 불가능을 가능성으로 바꾸려는 이야기와 소리, 연기로 인해 연극으로 바뀌는 순간은 비단 하이힐에 성 정체성의 특이성을 기괴한 이미지로 끌어올리는 처음에서 제시되기보다 음악이 무대에 주어지고 분위기가 서사적 흐름을 만드는 어느 순간을 단절하며 최진한의 표정이 변화되는 데서 비롯된다. 달은 외부적인 것, 환경으로 주어지며 그 빛이 사라지며 최진한은 소통 불가능한 감정을 연기한다. 거문고 소리와 ..
-
《모다페 2012》토마 르브뤙 안무 <FranKorean Tale> 리뷰 : '한국‧프랑스 두 문화의 해체적 융합'카테고리 없음 2012. 5. 25. 13:09
토마 르브뤙(Thomas Lebrun) - 한국&프랑스 공동제작 재현의 제스처에 신화의 이야기 덧씌우기 ▲ 토마 르브뤙 ⓒFrédéric Iovino [사진 제공=원더스페이스] : 토마 르브뤙은 4월초 한국에서의 오디션을 통해 6명의 한국 무용수를 선발하고 한국과 프랑스에서의 리허설을 통하여 모다페 개막 공연을 선보였다. 프랑스와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잘 보여주는 각 나라의 유명한 동화를 모티브로 활용, 두 문화를 안무로 엮어냈다. 재현의 제스처는 순식간에 질서가 갖춰지는 어색함의 순간, 타악이 지정하는 그 순간에 따르는 것으로, 한국 전통에 부합하는 친숙한(이들에게는 낯선) 그 기호들은 그 자체로 어떤 안무가 될 수 있을까, 컨템퍼러리한 경계를 시험할 수 있을까. 위엄의 기호로서 호랑이가 되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