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다페 2012》스파크 플레이스#2 리뷰 : 박미선‧김광민‧설륜성‧성한철‧한범희카테고리 없음 2012. 5. 29. 08:00
박미선 , 음악과 결부되는 춤의 무늬 ▲ 의 박미선 안무가 [사진 제공=모다페] 말발굽처럼 들려오는 소리, 팔꿈치와 손바닥 등을 활용한 탁자 위에서의 마찰을 통해 강력한 소리가 되는 과정에서 음악은 구성되지만 그 음악 외피로 무대의 어둠에 이어지는 몸의 자국들이 선연하다. 군악대의 폭력적이고 단순한 군무로 소급되기보다 몸이 판에 새기는 무늬들을 그 진동을 가만히 들어보는 것에 가깝다는 점에서 춤이 구성되는 것이다. 반면 이 소리에 막상 춤이 새겨지고 나면 몸은 그 강렬함에 훨씬 못 미친다. 이 소리가 체현되는 과정이 이들의 격렬한 관계 맺음의 주고받음의 치열한 각축장이 벌어지는 과정인데 큰 파급력은 없다. 이 각자는 오히려 하나의 멈춤의 포즈를 전제하고 나아갈 수 없는 부딪침과 단절을 또 의미하며 현실의..
-
《모다페 2012》 수잔델랄센터(Suzanne Dellal Centre), ‘소극적 양상의 가상을 입다.’카테고리 없음 2012. 5. 29. 08:00
: 군중의 중심을 형성하는 것의 은유 ▲ 수잔델랄센터(Suzanne Dellal Centre) , ⓒGadi Dagon [사진 제공=원더스페이스] 실재적인 사운드의 매질이 전해지며 가벼운 움직임이 긴장감을 돋우며 퍼지고 여섯 명은 공기를 바깥으로 퍼뜨리며 흩어졌고 개별자만이 춤을 생경하게 그 안에서 시선에 의해 대상화됨을 외면하며 춘다. 이 가벼움은 무거움의 음악적 힘을 의기양양한 미소로 전유한다. 음악은 국가 행사에 쓰이는 그런 음악으로, 각자 다른 현대의 보통 사람을 상정하는 개체 둘은 의상을 통한 차이로 나타나고 이 영광스러운 음악을 유희적으로 전유하며 마치 꼭두각시 같은 몸짓들로 자리한다. 이 유희적 몸짓이 군무의 정확한 일치의 흐름을 보인다는 것이 아이러니하다. ▲ 수잔델랄센터(Suzanne D..
-
《모다페 2012》스파크 플레이스#1 리뷰 : 김아름‧김광민‧설륜성‧성한철‧한범희카테고리 없음 2012. 5. 28. 10:00
김아름 : ‘실재와 환영의 전도되는 순간’▲ 김아름 안무가 [사진 제공=모다페]이 지루함의 대기의 숨의 실재에서 음악에서 작은 분절만을 몸의 리듬으로 삼으며 쌓아가고 반복하는 움직임은 이 음악에 대한 동화이며 또한 백색소음으로 무화되는 파편들의 원동력에 그저 부응할 뿐이라는 사실을 전한다. 옷 벗기라는 허무함의 간극은 실체에 대한 물음의 전제에서 시작된다. 역할 벗기의 변신은 거기에 남은 자국, 옷의 그림자가 된 하나의 자국이다. 그의 재현으로서 원본과 모사의 지위를 다루며 정체성 찾기보다 실체 없는 허무함을 곁으로 밀린 존재들과 옷 벗기의 대체 작용을 통해 드러낸다.김광민 : ‘지속과 멈춤의 순간에서’▲ 김광민 안무가 [사진 제공=모다페]둘은 일치된 춤과 서로를 향한 지향의 신호를 보내며 끈기 ..
-
《모다페 2012》다니엘 아브레우 컴퍼니(Cia Daniel Abreu) <ANIMAL> 리뷰 : '비-인간의 잠재화된 움직임의 추구'카테고리 없음 2012. 5. 28. 09:30
▲ 다니엘 아브레우 컴퍼니(Cia Daniel Abreu) ⓒAlberto Bañares [사진 제공=원더스페이스] 매우 느린 속도의 몸과 이를 감싼 무대는 하나의 설치 작품 같다. 전체를 움직임으로 변형시키는 건 조심스러운 몸의 움직임인데 검은 돌, 부풀어진 회색 종이들이 조명의 변화를 받아 변형되는 환영의 세계 속 인간은 비-인간에 가깝다. 어떤 자국을 이 대기 속에 섞는 것, 뚜렷한 자취로 선분을 긋는 대신 공간 자체가 되는 몸짓들, 이는 시각 대신 촉각으로 전이를 이룬다. 남자에 매달린 여자는 이 환경에 오롯하게 부착되어 있는 모습이다. 움직임을 분출함은 단순한 동일성의 군무 아닌 어떤 하나의 세계에 접착되는, 그것과 떼어지지 않는 속성을 가리킨다. 이들은 하나의 몸으로서 본능적인 움직임의 기표를..
-
《모다페 2012》'라 바라카 컴퍼니' : '힙합의 구문과 절합되는 두 다른 양상의 음악과 무대'카테고리 없음 2012. 5. 28. 09:00
도시에 출현하는 볼레로 (음악: 모리스 라벨,' Bolero') ▲ 라 바라카 컴퍼니(La Baraka Companie) 공연 장면 ⓒLaurent Aït Benalla [사진 제공=원더스페이스] 도시의 시끄러운 환경과 축제적인 흥겨움이 뒤섞임, 그리고 볼레로 음악의 끝이 없는 끝없는 시작, 이들의 춤은 어찌할 수 없는 극한의 무엇으로 자신을 꿈틀거림과 활력적인 몸짓, 관객에게서 시선을 잃지 않는 가운데 어렴풋하게 들린 볼레로 음악에 다가올 움직임에 대한 예비적 기다림과 간극의 불안정함을 품고 잠재해 있다. 이 몸은 어떤 명확한 선과 그것이 갖는 환영, 분절되는 움직임이 만드는 환영, 곧 나를 제어할 수 없는 더 큰 힘의 벌림과 하나의 상에 머무르지 않는 힘의 선분으로 환영과 실재의 시차를 몸으로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