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극 <햄릿이야기> 시연회 : '햄릿에 대한 현대적 시선'REVIEW/Theater 2012. 4. 12. 10:57
▲ 햄릿과 오필리아 지난 9일 2012 서울연극제 출품작 극단 가변의 (연출 이성구) 시연회가 서울 종로구 안국동 ‘해빛’에서 열렸다. 지난 서울연극제에서 로 무대예술상을 수상한 바 있는 이성구 연출은 리허설보다는 연습의 일부로 시연회를 진행할 것임을 시작 전에 공지했다. 재현을 위한 재현의 의미보다는 완성의 과정 차원을 지켜볼 수 있다는 점이 일단 흥미로웠다. 는 고전의 재현보다 현대적 변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무대는 독특하고 인물들은 현대적 옷을 입고 재탄생한다. 피라미드 모양의 골격만을 지닌 구조물의 형태가 세워진 무대는 연습장에서는 구현할 수 없었지만, 햄릿의 선 현실의 위치를 역동적이고 위태위태한 균형으로 보여줄 것이라 생각되었다. 또한 칸칸이 분리된 하나의 구조물은 복잡한 심리의 지층들의 ..
-
유니버설발레단 <잠자는 숲속의 미녀> 읽기 : ‘발레를 보는 조금 다른 시각’으로...REVIEW/Dance 2012. 4. 11. 15:12
▲ 잠자는 숲속의 미녀(1막 군무)-강예나 [사진 제공=유니버셜발레단] ……집단 도열의 군무 신은 하나의 스펙터클이다. 3막의 끊임없이 다른 스타일의 치환은 내러티브나 이야기의 환영 대신 관객에게 직접 제시되는 것이다. 강예나의 춤은 일종의 인간이 낼 수 없는 움직임을 구현하는 데 있다.…… 발레의 장르적 힘 ▲ 잠자는 숲속의 미녀(3막 결혼식)-강예나, 이현준 [사진 제공=유니버셜발레단] 발레 역시 현대로 들어오며 토슈즈를 벗어 버리는 실험이 용인된 지도 오래다. 갖은 레퍼토리와 총보는 발레를 재연의 틀을 따라, 정해진 동작들과 이에 토대가 되는 갖가지 기본기의 습득을 통한 발레가 가진 형식 틀은 일종의 발레를 무용에서의 하나의 장르의 힘으로 채색하게 한다. 여기에 가녀린 발레리나의 움직임에 몰입하고 ..
-
연인 간의 공감대 형성하는 연극 <연기속의 그녀>REVIEW/Theater 2012. 4. 11. 14:17
▲ 4월 10일 오후 3시경 산울림소극장에서 열린 연극 의 프레스리허설 장면(이하 상동), 담배를 피우고 있는 '여자'를 연기하는 배우 서은경 ▲ 연극 는 두 남녀 배우가 처음부터 끝까지 무대를 채운다. 배우 최규하, 서은경(사진 왼쪽부터) 2012년 소극장산울림 개관 27주년 기념 두번째 무대인 첫 번째로, 프랑스의 젊은 작가 엠마뉴엘 로베르-에스빠리유의 연기속의 그녀(fume cette cigarette)가 임수현 연출의 무대로, 오는 4월 29일까지 소극장 산울림에 오른다. 첫 만남은 마치 그 둘이 함께 담배를 피우듯 두 사람 간의 말은 술술 섞여 들어가고 술술 뿜어져 나온다. 경계를 그릴 수 없는 말들은 이 두 사람 간의 첫 만남과 그 거리 해소에 대해 담배 연기의 환유로써 드러난다. 초반부터 연..
-
연극 <서글퍼도 커튼콜> : '삶을 지속케 하는 저마다의 커튼콜'REVIEW/Theater 2012. 4. 11. 13:41
▲ 연극 장면(이하 상동), '우람'이 '반지'에게 안기고 반지가 그런 우람을 품어 준다. ▲ 연극 장면(이하 상동), 늘 밝은 모습의 '정란', 슬픔을 잊는 방법이기도 하다 15일까지 서울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에 오르는 한국공연예술센터 제작, (김슬기 작, 오유경 연출)은 신춘문예 희곡분야 당선 작가와 연출의 만남으로 제작되는 ‘봄 작가, 겨울 무대’의 2011년도 겨울에 제작했던 4작품 가운데 최우수 작품으로 선정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작년 11월에 이어 두 번째 접하게 됐다. 두 번째 관람은 시간의 순행과 속행을 가능케 한다. 두 가지에 초점을 두어 보게 되었다. 하나는 희곡과 연극의 관계, 그리고 다른 하나는 갈등에서 파열로 넘어가는 부분. 가령 희곡이 무대에 오른다고 할 때 우리는 연극의 대사..
-
‘여러 판을 섞고 짜고 펼치는 기찬 연극’, 오태석의 <마늘먹고 쑥먹고>REVIEW/Theater 2012. 4. 10. 12:42
▲ 4월 9일 명동예술극장에서 열린 프레스 리허설 장면(이하 상동) "사람 된 웅녀가 지금까지 살고 있다면‧ 그 참을성 없던 호랭이가 다시 마늘과 쑥을 먹게 된다면‧", 2012 국립극단 삼국유사 프로젝트의 첫 번째 오태석의 의 몇 가지 가정은 곧장 단군신화부터 현대까지를 관통하는 놀이판으로 이어진다. 삼국유사 속 곰이 무당 할미 되어 한반도에서 현재까지 삶을 유지하고 있는데, 그녀가 섬기는 하회마을 허도령은 그녀 딸 순단에게 일제 때 잃어버린 탈 세 개를 백두산에서 찾아오라 한다. 순단은 신발 장수에게 호랑이탈을 씌워 할미와 함께 드넓은 만주벌판을 향해 백두산에 정계비를 세우러 길을 떠나는 대강의 얼개는 뒤죽박죽 정신없이 판들의 해체와 그 엮음으로 우여곡절 완성된다. 너른 판들의 직조를 바라보며 이 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