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2 한팩 라이징스타> 첫 번째 편 리뷰 : 차세대 안무가 3인을 만나다...REVIEW/Dance 2012. 3. 20. 23:59
는 한국공연예술센터(이하 한팩)가 선정한 무용계의 2012년의 라이징스타 6명의 무대를 가리킨다. 이는 한팩의 주요 추진 과제중 하나인 차세대 예술가 육성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지난주 3.16-17일 공연에는 황수현·윤푸름·금배섭으로 구성된 1팀이 무대를 선보였다. 이어 전성재·이재영·지경민으로 구성된 2팀이 3.23-24일 두 차례 공연을 올린다. 한팩은 ‘젊은 무용인들의 활발한 창작 활동’을 지원하고자 2011년에 이어 제작을 기획하였다. 황수현, : 과정적·관계적 리서치 ▲ 지난 3월 6일(화) 오후 5시경 서울 아르코예술극장 스튜디오 다락에서 열린 쇼케이스 모습, 여섯 작품이 십여 분간 짧게 본 공연을 압축해서 내지는 일부를 선보였다.(이하 상동) 두 안무가(임지애, 황수현)는 창작의 과정, 워크..
-
‘인디 신’의 공연기획자들, 가상의 북한 인물을 전시로 구성하다...《북조선 펑크 록커 리성웅》전REVIEW/Visual arts 2012. 3. 17. 23:55
전시라는 것의 발명 ‘아트선재 오픈 콜’ 첫 번째 ▲《아트선재 오픈 콜 #1 : 북조선 펑크 록커 리성웅》전에 참여한 자립포크뮤지션인 '회기동단편선', 15일 아트선재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16일 개막식에 선보일 공연을 앞서 선보이고 있는 모습 지난 17일부터 4월 18일까지 아트선재센터(서울 종로구 소격동 소재) 3층에서는 ‘더 아웅다웅스’ 기획의 《아트선재 오픈 콜 #1 : 북조선 펑크 록커 리성웅》전이 열리고 있다. 공연 기획자인 더 아웅다웅스가 전제한 ‘평양에서 펑크 록 음악을 연주하는 클럽이 있고, 그곳에서 공연을 했던 뮤지션이 있었다’라는 가정은 가상의 리성웅의 흔적들을 통해 구성된 리성웅의 연대기 전시로까지 이어졌다. 수집된 그의 흔적들은 스토리텔링적 장치의 역할을 하고, 이를 통해서..
-
'이름 없는 연대'-공모전 제도에 대한 각성 : “제 27회 한선정 초대전- 책상 위의 한 선정은, 결국”展REVIEW/Visual arts 2012. 3. 16. 13:51
▲ “제 27회 한선정 초대전- 책상 위의 한 선정은, 결국”展, 인사미술공간 전시장 입구 전경 인사미술공간(서울 종로구 원서동 소재)에서는 한선정이라는 가상의 한 작가의 전시가 지난 14일부터 이달 말까지 진행 중에 있다. 사실상 2011아르코미술관 전문가성장프로그램 신진작가비평워크숍 B팀 참여 작가 9명(곽이브·김경호·김진희·박재환·송유림·신주영·이수진·장유정·정주희)가 만든, ‘한 선정’, 즉 하나의 선정을 가리키는 공모 제도에 대한 자각의 시선들이 실질적인 작가의 이름이 아닌 한 명의 가상 주체로 수렴하는 결과를 낳았다. 일층에는 이와 같은 ‘한선정’이라는 작가에 대한 작가들의 이야기가 페이크 다큐 식의 영상으로 이어진다. 작가들이 평소 좋아하던 작가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는 인터뷰를 하고, 그 작..
-
‘클럽공간으로 간 댄스’ : [디스코버스] 리뷰REVIEW/Dance 2012. 3. 16. 11:49
▲ 신영준 [디스코버스]는 극장에서 주로, 아니 대부분 춤을 췄던 무용수 내지 안무가들을 클럽으로 소환하면서부터 시작된 프로젝트, 우선 문전성시를 이룬 이 비-극장으로서의 극장에서 개인적으로 제대로 된 관람은 불가능했다. 클럽은 엄밀한 공간의 분할이 불가능한 공간이다. 개인적인 영역이 성립되기는커녕 접촉과 음악과 춤에 의한 유동적인 흐름 하에 재편되는 공간으로, 빛과 색감 있는 화려한 조명 아래 테크노나 일렉트로닉 계열의 음악은 어둠 속 집단 제의적인 광경을 연출한다. 저마다의 사람들은 자신의 영상이라는 집단적 도취 상태에서 자아의 구속을 일시적으로 벗어날 수도 있다-일종의 변형된 무아경의 상태. ▲ 김한성 실상 이 안에서 공연이란 곧 관객과 댄서가 엄밀히 구분이 되어 관찰하고 보여주는 따위의 분리가 상..
-
백남준아트센터의 전시장 자체를 실험한 '오토모 요시히데'의 퍼포먼스REVIEW/Performance 2012. 3. 16. 02:50
▲ 오토모 요시히데 경기도 용인에 소재한 백남준아트센터의 2012년 첫 번째 기획 전시인 [x_sound : 존 케이지와 백남준 이후]가 지난 9일 개막했다. 개막일에는 존 케이지의 악보가 연주된 데 이어 오후 6시경 두 번째 오프닝 무대를 이룬 오토모 요시히데의 연주는 급작스럽게 시작됐다. 사실 그럴 수밖에 없다. 보는 것과 다르게 사운드는 의지와 상관없이 나를 침범하는 것이다. 큰 충격의 감각의 치밂, 이는 내 감각과 사운드의 일종의 팽팽한 장력의 긴장 상태를 경험하는 것이다. 즉 일차적인 감각은 제어할 수 없지만 우리는 이에 대한 귀가 받은 충격과 그것을 보상하며 자신의 귀라는 매체를 원 상태로 되돌리려는, 그리고 이를 소음이 아닌 예술이라는 장 아래 해석해 보려는, 곧 받아들이거나 방어하거나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