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연을 탐(探)하다: 이재효 1991-2012>展, ‘자연을 탐貪하고 탐探하다’PREVIEW/Visual arts 2012. 4. 9. 11:05
展이 지난 30일부터 5월 27일까지 성곡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다. 이번 전시는 2010년부터 시작한 성곡미술관의 중견․중진작가집중조명시리즈 9번째로, 2012년 신작을 포함해, 이재효 작가의 지난 20여 년간의 초창기 드로잉, 조각 소품, 설치 작업 200여 점 등 총 300여 점의 작품이 전시된다. 이재효 작가는 주로 땅에 떨어진 자연물이나 버려진 고물의 재 쓰임에서부터 시작한다. 못이나 돌, 나무들을 유기적으로 모아 곡선과 직선의 총체적인 형태로 설치하여 자연의 순환성과 원만함을 띤 구조로 표현해 낸다. 이는 너른 자연의 부분을 절취한 형태라기보다 동일한 계열의 무한에 가까운 재료들을 하나의 세계로 재 포섭하며 형태들의 형태이자 형태들이 형성되는 하나의 원리를 가시화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는 한편 커..
-
《북조선 펑크 록커 리성웅展》 읽기 : '전시의 발명', 음악을 전시하다.REVIEW/Visual arts 2012. 4. 4. 14:49
인디 음악과 대중가요의 다른 지평 ▲ 쾅프로그램, 3월 23일 금요일 저녁, '리성웅의 탄생' 공연에서. 인디 음악과 대중가요와의 가장 큰 차이는 소비와 스펙터클(보여주기)과 도취되기의 선형적 흐름의 수용이 아닌 현장에서 현시된다는 것, 이것이 하나의 운동으로서 관객과 아티스트의 참여가 뒤섞이는 가운데 수행성의 측면이 제고된다는 것이라는 생각을 해왔었다. 한편 인위적인 발성과 교수법에서 유래된 보컬의 절취된 선분이 아닌, 밴드라는 철저한 형식과 수공업적인 연주의 노동이 뒤따른다는 것, 개인이 있는 게 아닌 밴드가, 가수가 있는 게 아닌 현장이 있는 것이다. 이는 관객들과 밴드 간의 내밀하고도 참여적인 장이다. ▲ 쾅프로그램 이 부분이 일견 ‘쾅프로그램’에게는 기타와 외침과도 같은 몽롱한 어구의 박자를 갖..
-
<먼저 생각하는 자 – 프로메테우스의 불> 읽기 : '시작 단계에서 던지는 몇 가지 질문들'.REVIEW/Dance 2012. 3. 31. 22:49
"무용수의 정체성은 무대 바깥에서 재형성되고 있었다" ▲ 연습 장면[=LG아트센터 제공](이하 상동) 정영두의 안무는 자연 보는 이의 정서를 움직이는 미묘한 감정 작용의 흐름, 정동(affection)을 일으킨다. 처음 조명 장치가 돌아가며 빛을 뿜는 환경에서, 불을 품어 올리는 것과 같은 몸짓들은 무시간적‧원시적 세계의 어떤 존재가 생명의 기로들을 빚어내는, 대기들의 질서를 만들어 내는 잠재성의 연금술적 발명에 가깝다. 움직임은 하나의 신체로 정위되는 게 아니라 어떤 흐름에 파고드는 부분, 신체의 움직임이 길어내는 대기에 신체 자체를 합치시켜 가며 정서적인 흐름을 만드는, 묘연한 흐름에 침잠되어 가는 질서가 있다. 이는 우연함의 물질적인 것, 신체적인 것 대신, 순간적으로 뭉쳐지며 그것을 기다리게 되는..
-
<2012 한팩 라이징스타> 두 번째 편 리뷰 : 차세대 안무가 3인을 만나다...REVIEW/Dance 2012. 3. 29. 03:09
는 한국공연예술센터(이하 한팩)가 선정한 무용계의 2012년의 라이징스타 6명의 무대를 가리킨다. 이는 한팩의 주요 추진 과제중 하나인 차세대 예술가 육성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지난주 3.16-17일 공연에는 황수현·윤푸름·금배섭으로 구성된 1팀이 무대를 선보였고, 이어 전성재·이재영·지경민으로 구성된 2팀이 지난 23-24일 두 차례 공연을 올렸다. 이번에는 지난 첫 번째 공연을 다룬 데 이어 두 번째 공연을 다룬다. 전성재의 : 과거를 감싸 안은 유행가들... ▲ 지난 3월 6일(화) 오후 5시경 서울 아르코예술극장 스튜디오 다락에서 열린 쇼케이스 모습, 여섯 작품이 십여 분간 짧게 본 공연을 압축해서 내지는 일부를 선보였다.(이하 상동) 전성재의 는 일상에서 무의식으로 횡단하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
-
연극 <우리동네, 미쓰리> 리뷰 : '미쓰리는 오늘도 신화 속에 살아간다'REVIEW/Theater 2012. 3. 26. 16:11
▲ 지난 22일 목요일 오후 3시경 열린 프레스콜 장면(이하 상동) 는 처음 찰리 채플린 영화의 경쾌한 리듬의 행위 양상에 맞아 떨어지는 음악들을 차용해서 바쁘게 움직이는 현대인의 영상을 무대 위의 희극으로 치환한다. 일종의 영화의 한 부분으로서 영화 제목을 나타내는 메인타이틀은 이 영화와 무대를 접합하는, 판타지에서 실재를 잇는 선명한 분할선으로 드러난다. 현실과 연결됨 잠자리와 일자리로 곧장 연결되는 삶의 분절 리듬의 현실이, 또한 삶의 관습적 감각이 무대에서 체현되는 어느 한 순간 제목 타이틀이 오르는 것이다. 이 영상은 연극 전체를 요약한다. 그리고 일종의 무성영화를 전유한 영상에 변사 둘이 출현한다. 이 변사들은 관객에게 새롭게 극을 전유하게 하는 기제로 작용하면서 불쑥 극에 출현하여 현실의 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