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뮤지컬 <서편제> 리뷰 : 한국 뮤지컬의 경계를 실험하다...REVIEW/Musical 2012. 4. 23. 13:39
중첩 레이어들과 하얀 평면의 무대 미학 ▲ 뮤지컬 장면, 유봉 역 양준모(사진 가운데)와 송화 역 차지연 [사진제공=랑] 하얀색 무대는 매우 넓은 무대를 만든다. 한지들을 붙여 수놓은 천의 레이어들은 불투명하며 그 자체의 내러티브들을 품고 있는 듯 보인다. 즉 이 수많은 한지들은 층층이 쌓인 시간은 많은 사연의 각각의 모나드monad(단자單子)로 소급된다. 이 커다란 레이어들이 중첩되고 일순간에 사라지는 가운데, 하나의 레이어가 한 존재의 등장 내지 사라짐을 상정하고, 또 중첩되어 복잡한 현실의 실타래를 상징하는가 하면, 모두 다 사라져 북과 북채만 달랑 놓인 공간으로 일순간에 등장인물의 내면에 대한 공허함을 드러내기도 한다. 이런 자체적인 레이어의 이동은 무대의 존재들이 개입되지 않는 시간과 운명의 거..
-
제14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개막작 <더 프라이즈>를 달고 아득한 항해를 시작하다'REVIEW/Movie 2012. 4. 21. 00:55
▲ 제14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개막식이 열린 이화여대 대강당 앞 행사 전 정경: 곳곳에 자리해 입장객을 맞는 퍼포머들의 모습 및 부산국제영화제 명예 집행위원장(하단 좌측 사진 왼편)과 배우 권해효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모습 "Spring: 희망을 조직하기"를 주제로 한, '제14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개막식이 19일 오후 6시경 서울 이화여대 대강당에서 열렸다. '제14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26일까지 신촌 아트레온을 비롯하여 CGV송파, 한국영상자료원, 서울여성플라자 아트홀 봄, 강동어린이회관 등 서울 곳곳에서 열리며 30개국 120편(장편 44편, 단편76편)의 초청작이 상연된다. 개막식 스케치 이날 배우 신현빈과 함께 사회를 맡은 변영주는 시종일관 재치 있는 입담으로 좌중을 웃겼다. 영상 속의 ..
-
연극 <카메라를 봐주시겠습니까?> 읽기 : '현실 참여로서 연극의 기능'REVIEW/Theater 2012. 4. 20. 10:01
▲ 17일 서울 종로구 연지동 소재 두산아트센터에서 열린 연극 프레스콜 장면 오는 29일까지 서울 종로구 연지동 소재 두산아트센터에 두산아트센터 기획연극 경계인 시리즈 4번째로, 연극 가 오른다. 2012년 현재까지 시리아는 정부군의 압제로 인한 민간인 숫자가 7천 5백 명을 넘고, 감옥에는 수천 명이 불법으로 구금되어 있는 상황이다. 현 정부의 독재 장기 집권에 대한 민주화 시위가 1년 이상 지속되며 정부의 무력 진압이 따른 것. 한편 정부군에 대항한 반군의 무장 세력의 출현으로 내전으로 변하게 되고, 국제 사회의 개입이 뒤따르는 복잡한 상황을 맞고 있다. 는 동명의 원작 소설의 구조와 이야기를 빌리고, 연출 오마르아부사다(mar Abu Saada)를 비롯한 제작진이 실제로 감금되었던 시리아 젊은이들을..
-
백현진‧밤섬해적단 : 다원예술의 지형도를 그려 보다 : ‘콘서트 위에서의 연극이란 장치’REVIEW/Interdisciplinary Art 2012. 4. 20. 01:23
▲ 배영환 개인전, 『유행가-엘리제를 위하여』포스터 [사진 제공=플라토] 지난 12일 삼성미술관 플라토의 글래스 파빌리온 공간에서 열린 한 시간 여의 백현진의 소위 ‘유행가 변주’는 시대적 자취의 공통된 감각들에 대한 선분을 명확하게 그린다는 것과는 완전히 동떨어져 있는 것만 같다. 이는 배영환 개인전 『유행가-엘리제를 위하여』(~5월 20일)의 전시 연계 특별 공연 첫 번째 시간으로 마련됐다. ‘유행가’는 특정 시대의 흐름 속에 동화되는 감정과 감각의 덩어리이자 우리들의 이름으로 불리는 공동의 자리에 포섭 가능하다. 참고로 유행가는 두 시점에서 존재한다. 흥얼거림의 행위가 유행가가 유행하는 시점에 자연스레 흘러나오는 음악에 입을 맞추는 것이라면, 웅얼거리는 행위는 이 음악이 다른 유행가들의 흐름으로 대..
-
발레 <스파르타쿠스> 읽기 : 발레를 완성하는 가장 기초적인 요소는...REVIEW/Dance 2012. 4. 17. 12:35
음악의 안무와의 조응 관계▲ 12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열린 국립발레단의 의 프레스콜 장면(이하 상동), 스파르타쿠스 역을 맡은 발레리노 이동훈를 이해하는 첫 단초이자 가장 중요한 자리는 그 움직임 이상으로 오히려 아람 하차투리안(Aram Khachaturian)의 음악의 라이브 연주이다. 이는 음악 자체만의 이해로의 소급과 음악에 대한 상세한 이해의 필요를 요구로 이어진다기보다는 ‘악단석 음악’의 청각의 시각화 작용을 인지할 필요가 있음을 가리킨다. 참고로 작곡가는 니콜라이 볼코프Nickolai Volkov가 만든 대본에 흥미를 느끼고 1940년대 초반에 작곡을 시작하여 1954년에 의 발레 음악을 완성하였다.음악은 부분 악곡들로 이뤄져 있고, 일종의 내러티브와 시각적 평면을 가정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