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대컷] 음악극 「에릭 사티」 프레스리허설 현장카테고리 없음 2011. 10. 1. 08:43
▲ 박호산 / 에릭사티 役 9월 30일(금) 오후 3시경 대학로문화공간 1관에서 음악극 「에릭 사티」 프레스리허설이 열렸다. 안산문화예술의전당 단독 제작 공연인 음악극 「에릭사티」는 8월 26일 안산문화예술의전당에 올랐다. 이어 지역 공연장의 자체 제작 공연의 한계를 극복하는 차원에서 9월 30일부터 10월 2일까지 3일간 4회 공연이 대학로에 다시 오른다. 음악극 「에릭사티」는 천재작곡가 사티의 삶과 음악, 사랑을 대사와 음악으로 표현한다. 「바다거북의 꿈」, 「오페라 아랑」 등의 김민정 작, 뮤지컬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카르멘」의 정민선 작곡, 「가을소나타」, 「억울한 여자」 등의 박혜선 연출, 뮤지컬 「구름빵」, 「카르멘」의 신경미 음악감독이 모여 제작 초기 작품의 틀을 계속 만들어 왔다. ..
-
음악극 「에릭사티」 리뷰 : '에릭 사티'의 꿈의 무대의 구현REVIEW/Theater 2011. 10. 1. 08:29
▶ 프레스콜 사진 더 보기 초승달을 굴려 가는 남자, 달빛 요정의 빛의 무대, 그리고 거울 뒤에 비치고 그네를 탄 여자의 등장, 여기서 현실 공간으로 넘어옴, 이와 같이 「에릭사티」의 처음은 환영 공간 안 (그것을 품음) 인물들을 표상한다. 붙이지 못 한 편지 초반에는 음악이 바깥에서 안으로 침투하는 방식을 택한다. 곧 인물의 내면의 분출이 아닌, 주인공을 비롯한 몇몇 등장인물에 시선의/감정의 일부로 입히는 방식이다. 연주는 막이 바뀔 때마다 회전하는 문들로 인해 연주자들이 살짝 들여다보이게 되는데, 라이브 연주가 무대에 전적으로 투영됨으로써 단순한 배경 음악과는 다른 느낌의 생기를 무대에 부여하게 된다. 에릭 사티(박호산)는 음악과 삶이 일치하는 낭만주의적 삶의 전형을 보여준다. 피아노를 치다 지배인이..
-
「강화된 지혜-동물행동풍부화를 통한 고찰」 학술발표 리뷰 : 인간에 관한 메타 언설REVIEW/Theater 2011. 9. 30. 12:05
▲ 학술대회 종료 후 기념사진 ‘행동풍부화’는 야생동물을 제한된 구역에서 살게 했을 때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모든 행위를 총괄한다. ‘Interactive Eenrichment(I.E.)’, 먹이를 주는 것의 놀이 방식으로 치환한 동물원에서의 행동풍부화 프로그램 중 상호풍부화 프로그램을 보고, 환경 시스템을 디자인하고 적절히 통제/조절할 수 있으리라는 어떤 생각을 갖게 됐는데, 이것보다는 먹이를 주는 방식을 놀이로 치환한 데 그친다는 생각이 든다. 사실 「강화된 지혜-동물행동풍부화를 통한 고찰」은 이러한 행위/실험을 동반한 수행이 일련의 이 안에서의 체계 담론/명제/문장들을 성립시키게 되는데 이것은 그 체계 안에서 진릿값으로 성립되고 일시/임시적으로 수행성을 얻게 된다. ‘종 특이성’ 동물에게 기회를 ..
-
<메갈로폴리스 : 거대한 도시> 실존(지루함)에 허덕이는 현대사회(관객)REVIEW/Dance 2011. 9. 29. 11:55
▲ [사진 제공 = (재)한국공연예술센터] 도무지 집중할 수 없음, 파편/조각처럼 너저분하게 펼쳐 놓는/깔려 있는 청각 기표/시각 기표의 병치·혼합·소거 이른바 기표들의 콜라주/배치는 기표 그 자체를 표현/극적 몰입/서사의 흐름으로 바꾸지 않는다. 알랭 바디우가 『비미학』에서 연극(안의 역할)의 정치성을 이야기했던 것과 또한 다르게 여기서의 인물/존재들은 탄츠 테아터(Tanztheater)의 표현주의적 양식과 맞닿아 있고, 역할들을 제각기 표현하는 와중에 각자의 파편 속으로 사라진다(이는 어떤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다만 징후적이고 또한 생채기, 이후의 발현될 징후로 남는다. 그러니까 이것은 발산적인 표현을 만들지만, 한편 증발되는 기표에 가까운데, (또한 하나의 그 자체의 메시지 그리고 기의가 되는데..
-
[현장컷] <Mr.아이돌> 제작보고회 현장 (29장)카테고리 없음 2011. 9. 29. 10:31
9월 28일(수) 오전 11시경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에서 제작보고회가 열렸다. 에서 카리스마 넘치는 기획사 대표로 연기 변신을 한 배우 김수로가 직접 사회를 보는 가운데 라희찬 감독과 박예진, 지현우, 김수로, 임원희, 박재범, 장서원, 김랜디가 참석했다. 의 라희찬 감독의 영화 은 '미스터 칠드런' 멤버들의 데뷔 스토리를 다루며 ‘아이돌’ 탄생의 뒷이야기와 대한민국 쇼 비즈니스 세계를 리얼하게 그릴 예정으로, 10월 개봉을 앞두고 있다. ▶ 취재 기사 더 보기 김민관 기자 mikw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