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다페2011 리뷰]《 Last Man 》_Mitsutake Kasai :REVIEW/Dance 2011. 5. 30. 12:25
Last Man_Mitsutake Kasai : 시간의 체현 ▲ 《 Last Man 》_Mitsutake Kasai ⓒYoichi Tukada 일본 안무가 미츠다케 카사이는 매우 가볍고 쾌활하게 움직인다. 한국에서 본 대중가수의 노래‧움직임 기표를 상투성을 안고 고스란히 표현하는 순간을 가져가기도 하고, 전체적으로 시간에 대한 알레고리로서 시계를 무대에 놓고 시간을 현시시키는 측면에서 물질화하거나 시간에 몸을 섞어 그 경계를 드러내고자 한다. 먼저 작은 시계가 무대 앞쪽에 놓이고 그것을 확장하는 카메라의 영상이 무대 후면의 스크린에 놓이며 그 앞에 같은 시계가 하나 놓여 있다. 시계를 통해 시간은 분절되고 단위화되며 결국 시간의 개념을 갖게 된다. 무대 앞쪽으로 나타나 일상적인 측면에서부터 현재의 시간을..
-
[2011모다페 리뷰]《멱》장혜주 /《Last Man》Mitsutake Kasai/공동작업REVIEW/Dance 2011. 5. 30. 12:08
장혜주, '멱' : 유연한 테크닉과 기발한 포즈, 광기로부터... 장혜주는 돼지로 상정되는 비인간으로 분하는 데 있어 동물 되기로 존재를 탈바꿈하는 대신 오히려 그 안에 인간의 탐욕과 광기를 뒤섞고 중간 중간 비존재 내지 귀신의 존재를 현시함으로써 기괴한 분위기를 선사한다. 그녀의 움직임은 매우 유연하고 테크닉적으로 우월한 한편, 존재의 탈각, 비인간의 존재를 드러내기 위한 뒤집고 구르고 리드믹컬하게 신체 작용을 일으키는 과정을 가져간다. 돼지 멱을 딴다는 말을 쓰는 것처럼 돼지의 목덜미를 의미하는 말에서 유래한 제목과 같이 자연으로서 동물이 인간 세계에 반란을 꾀하는 것을 그리는 대신 오히려 인간에게 공포를 주는 어떤 인간의 타자성과 같은 부분, 인간 스스로의 쾌하지 못 한 모습들로써 비존재로서 인간 ..
-
[2011모다페 리뷰]《 당신이 머문 자리는……? 》_이광석 : 낭만적 사랑의 자리REVIEW/Dance 2011. 5. 30. 11:59
골반을 내밀고 다리를 구부정하게 다리를 굽혀 앞으로 걷는 추임새가 작품 내 대표적인 표식으로 기능한다. 조명을 통해 무대를 양분하여 남녀의 다른 층위로 무대를 구분하며 우스꽝스럽게 광대의 움직임을 직조하는 이광석은 옆 우아하고 슬픈 깨지기 쉬운 섬세한 타자성을 지닌 존재에 대한 움직임을 보는 슬픈 시선의 존재로 변한다. 이는 그들 앞에 등장한 다른 관계상으로 확장되고 그들은 또 환유적 심상으로 치환된다. 발레를 하는 듯한 우아한 신체의 환영적인 감각의 결을 직조하는 타자성의 신체는 낭만 주체의 마치 기사도 문학과 같은 이광석의 범접하지 못 하는 상태로 섬세하게 그녀를 바라보고 접촉하는 것으로 타자성을 간직하고 대상화될 수 있는 분리의 간극을 내면에 이는 미적 가치로 고양시킨다. 다른 이들의 그룹이 그것을..
-
[2011모다페 리뷰] 《 Inspiration 》_유호식 : 음악의 전유로서 움직임REVIEW/Dance 2011. 5. 30. 11:56
음악은 조명을 통한 시공간의 달라짐의 양상을 지정하는 데 어떤 시선과 이야기를 부여한다. 조명으로 인한 무대의 네 개 공간으로의 분리, 공간의 분화 혹은 옮겨감의 변화가 수반되며 클래식은 무용수의 등장을 유예시키며 동시에 빈 공간에 지나간 무용수의 존재를 상기시켜 무용수의 존재를 우리 스스로 유예시키게 되는 모종의 시간성을 갖게 된다. 이윽고 나타난 유호식은 음악을 전유하며 있는 그대로 투박하게 자신의 몸을 드러내는데, 발레 동작 같이 유연하고 우아한 몸짓은 큰 몸피의 그에게 미끄러지며 오롯하게 몸을 휘감지 않는다. 반면 그는 음악을 있는 그대로의 에너지로 받아들여 자신의 감정을 그 속에 담그고 그것을 체화하는데, 이것이 너무 단순하여 어떤 다른 뜻이 있나 하는 생각을 불러일으킨다. 그가 어둠 속에 빛이..
-
[2011모다페 리뷰]《 Pause Philo ver.2 (쉼의 철학) 》_이현범&최진주 : 재기 발랄한 관계성의 움직임REVIEW/Dance 2011. 5. 30. 11:46
무대를 채우는 이현범과 최진주는 끈질기게 서로를 좇고 도망간다. 존재의 확인은 상대방의 신체를 통해서고, 자신의 작용에 대한 그의 반작용을 통한 것이다. 핀 조명이 부분화시킨 무대 구석에서 머리를 관객 쪽으로 하고 팔을 끊임없이 접고 펼치는, 하나의 신체 덩어리가 되어 움직이는 이들의 시작은 육화된 관계의 양상을 단단하게 또 단순화해 제시한다. 관계는 추억의 전유나 비탄력적 오고 감의 메시지 운용을 통한 드라마적이고 일상적인 한 부분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탄탄한 시공간 안에 존재에 묶인 존재의 드러냄으로, 역동적인 변주로써 일종의 상대방의 타자성은 긴밀하게 자신의 자아와 결부되어 나타나고, 자아는 점층 되는 동시에 벗어나며 또 다시 자신을 일깨운다. 끈끈함 몸의 서사를 쓰는 둘의 전략은 일방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