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뷰] 여우樂(락)페스티벌_<양방언 콘서트> : '양방언의 다채로운 음악 세계를 경험하다'REVIEW/Music 2011. 7. 14. 14:36
지난 7월 9일(토)부터 23일(토)까지 국립극장 KB국민은행청소년하늘극장에서 제2회 여우樂(락)페스티벌-「여기, 우리음악이 있다」가 진행 중이다. 페스티벌의 시작은 크로스오버 뮤지션 양방언의 콘서트로, 아시아는 물론 유럽에서 작곡가·연주가·편곡가·프로듀서로 활동하면서 클래식·락·월드뮤직·재즈·한국음악 등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 양방언은 이번 페스티벌을 위해 일본에서 함께 활동하는 5인의 연주 팀과 한국을 찾았다. ▲ 음악가 양방언의 모습 여우락 페스티벌에서 첫 공연을 장식한 는 비단 양방언이란 피아니스트의 연주에 초점이 맞춰진 것만은 아니었다. 오히려 작곡가이자 프로듀서이기도 한 그는 음악을 연주하며 지휘하고, 관객과 함께 숨 쉬고, 그 숨과 음악에 감싸인 채 음악을 느끼는 한 사람으로 존재했던 것 같..
-
[리뷰] "2011 한국을 빛내는 해외무용스타 초청공연" 2막REVIEW/Dance 2011. 7. 11. 07:00
K Arts 발레단 「Inspiration II」(안무: 조주현) ▲ 조주현 「볼레로」© 최성복 2막의 첫 번째 무대는 익숙한 볼레로 음악에 맞춘다. 다리 보폭을 넓게 서서 손 밀며 움직이는 동작들은 매우 분적절인 시현이다. 격정적 달리기와 몸을 펼치고 뻗고 하는 동작은 멋진 한편, 이질적으로 보인다. 손의 팔랑거리는 움직임 등 각기 서로 다른 표현들은 조명의 비침에 따라 나타나서 낯선 느낌을 준다. 앞 사람으로부터 리듬이 달라지는 다른 움직임의 출현, 단조롭고도 점증되는 음악에 모던하고 깔끔하고 건조하게 푸는 동작들은 세련되고 절도 있다. 한편 그 음악의 엉뚱함에 새로운 동작들을 서슴없이 포용한다. 곧 음악이 갖는 추상적이고 무형의 시간에서 연결 마디를 잔상으로 가져가며 맺고 끊음을 분명히 하여 단독자..
-
[리뷰] "2011 한국을 빛내는 해외무용스타 초청공연" 1막REVIEW/Dance 2011. 7. 11. 07:00
Sergio Bustinduy(스위스 바젤 발레단)의 「Feel Good」(안무: 허용순) ▲ Sergio Bustinduy 휴대폰의 울림과 전화를 받으며 무대에 올라오는 남자, 다소 상투적인 등장은 무대의 긴장을 지우고, 이어진 춤은 화려하고도 경쾌한 막을 열기에 충분하다. 상의를 노출한 채 빠른 무대와 움직임의 전환, 활기차게 추며 맛깔 나는 무대를 선보인다. 그 역동적이고 활기찬 음악의 흐름과 중간 중간의 임팩트를 박자를 지정하는 손짓이나 몸짓으로 상쇄하며 무대를 달궜다. 김유미 & Jacob Bush(미국 애틀란타 발레단) 「에스메랄다」중 파드되(안무: Ben Stevenson) ▲ 김유미 고아한 표정과 자신감을 안은 김유미는 텅 빈 무대에서 완전히 빛과 넓은 터전에 놓인 낯섦을 상쇄하듯 매우 꼿..
-
[프리뷰] 연극 '아시안 스위트' : 현실의 나락에서 희망의 순간으로...PREVIEW/Theater 2011. 7. 11. 02:47
‘고맙습니다.’, 나락에 가 본 사람은 그 어려움에 감사할 줄 안다는 것은 인간이 가진 역설 가운데 하나이다. 지나간 것의 추억을 겪었던 모든 것의 사랑을. 감사함은 모든 슬픔과 흔적들, 그리고 현재 삶에의 감사함이 묻어 있다. 무엇보다 내 자신을 보듬는 것이다. 이는 커튼콜을 대신하는 배우로서 관객에게 던지는 메타 차원의 대사이기도 하다. 이후 그녀가 일상에서 매만지던 현실에의 감각들, 마치 손 어느 한 곳에서 스치듯 수없이 훑었던 웨딩드레스, 마치 그 시간들이 삶의 환유 차원에서 시간의 조각들로 된 웨딩드레스를 무의식적으로 이루고, 그 결혼의 은유로서 웨딩드레스가 다시 꿈의 서사, 새로운 삶의 전환을 여는 중첩적인 기호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녀에게 부착된 존재된 루저들, 또는 세상 바깥의 사람들..
-
[리뷰] 국립국악관현악단(황병기 예술감독)의 <Part of Nature> 창작발표회 현장REVIEW/Music 2011. 7. 10. 18:34
지난 6월 29일(수) 국립국악관현악단(황병기 예술감독)의 창작음악회 (파트 오브 네이처)의 창작발표회가 개최됐다. ▲ 황병기 예술감독 황병기 예술감독이 지난해 초 구상하여 재독(在獨) 작곡가 정일련에게 위촉한 이 작품은 올해 말로 임기가 만료되는 황병기 예술감독이 재임 중 마지막으로 심혈을 기울여 기획한 대작이다. 작곡가 정일련이 작품 전체를 맡아 ‘자연속의 인간’ 이야기를 ‘출(birth)’, ‘숨(breath)’, ‘심(heart)’, '손(hands)‘, ‘이름(name)’, '혼(spirit)' 이렇게 6개의 인간을 대표하는 키워드에 각각 어울리는 협연곡으로 구성한다. 오는 10월 6일과 7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지휘자 정치용이 객원 지휘를 맡아 전 악장이 펼쳐진다. '창작음악회'는 국립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