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뷰] 코르넬 문드루초 :「프랑켄슈타인 프로젝트」, 괴물 주체의 패러디적 되살림카테고리 없음 2011. 5. 14. 08:09
컨테이너 박스, 카메라의 개입, 헝가리 사람들, 프랑켄슈타인 박사 이야기의 모티브. 아주 좁다는 것, 카메라와 연결된 몇 대의 수상기가 무대를 복사하고, 전시 프레임으로 바꾼다는 것, 통역과 번역이 필요하고, 좁다는 것으로 인해 가까이서 그들을 대면한다는 것, 자신을 만든 사람을 죽인다는 것, 신화적인 이야기의 실재화/현재화. 이 공간 전체를 쓴다는 것, 컨테이너 박스의 문을 열고 나가거나 예고 없이 들어올 수 있다는 것, 시선은 끊임없이 이동되어야 한다는 것, 카메라의 연결을 통해 공간 외부로 확장되기도 하는 것, 헝가리어가 관객에게 있어 영어 대신 언어의 대등한 층위를 상정한다는 것, 카메라에 의해 오디션 배우로 등장하는 사람들의 얼굴을 괴물처럼 변형시킨다는 것, 무대가 아닌 컨테이너 박스 자체를 리..
-
[리뷰] 바르바라 마티예비치 & 주세페 치코 :「나는 1984 I am 1984」, 칠판이란 스크린카테고리 없음 2011. 5. 14. 08:05
칠판에 1984년에 일어났던 일, 주로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것들을 나열하는데, 이는 칠판이라는 레이어를 통해 생각과 개념의 기호들을 연쇄적으로 적어 나가는 과정에서 렉처 퍼포먼스의 형식 아래 칠판이 메워지고 1984년이 재구성된다. 몇 개의 도상 기호들이 앞서 그려졌지만, 새롭게 이야기가 구성되며 기호들이 이어진다. 일종의 이전 기호는 전략적인 용도로 배치되어진 셈이고 또 미래적으로 재전유되어 배치되는 경험을 군데군데 할 수 있다. 과거는 지나갔고 기억을 통해서 재구성될 수 있음을 그림으로써 사실들의 나열과 사실들의 의도적이고 의지적인 선택과 배치를 감추고 천명하는 묘연한 경계 속에, 역사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기억을 통해 재구성해 현재와 연결된 지점들의 흥미로움을 띠게 된다. 매우 무미건조하게 기억..
-
[리뷰] 홍성민 :「엑스트라스 EXTRAS」, 봉쇄된 레이어에 배우에 대한 메타 시선카테고리 없음 2011. 5. 14. 08:00
Photo © Sungmin Hong 수많은 대학로 연기자들의 각각 다른 작품의 한 부분을 연기하는 것, 이는 작품의 해체이자 해체를 통한 조합이고, 조합을 통한 해체이다. 홍성민은 일부러 그것들이 연결되거나 접점을 일게 만들지는 것으로 보이는 것을 피하려 한 듯 보인다. 어떠한 덩어리로만 존재할 뿐이고 그 역할 자체로 존재할 뿐이다. 그렇지만 이 역할들은 어떤 감흥을 전달해 주지 못 하는데 그들의 대사와 몸에 달라붙는 조명과 다른 배역 간의 관계, 이야기의 최소한의 단위조차 형성되지 않는 분절로서의 대사만이 나오기 때문이다. 크게 보면 역할이 갖는 레이어는 하나의 구조로서의 작품을 성립시키지 않고 구체적으로는 역할의 레이어를 봉쇄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조명과 무대 등의 표층 층위가 성립되어야 하는데 이..
-
[리뷰] 파드미니 체투 : 「아름다운 것 2」 ‘이 안에 있다’, 현존의 조건카테고리 없음 2011. 5. 14. 07:54
보는 게 아닌 엄밀히 시공간 속에서 시공간을 감지하고, 어떤 순간의 지점들을 찾는 것, 변화 내지 시공간의 변화를 뒤늦게 몸으로 감지하는 것. 작품은 보는 것이 믿는 것이라는 단순한 진실 같은 허위를 직시하는 것이자 최소한의 정보가 제공될 때 더 큰 몰입을 이끌어내는 맥루한의 차가운 매체 속성을 띠는 것도 같다. 움직임이 최소화된 이 시공간은 너무 가득 차 있어 실제 그 안에서 벗어나기 힘들다. 그렇다고 뭘 본다고 크게 달라지는 건 없다. 분명 움직임을 그런 순간에서도 놓치거나 잔상 같은 지난 움직임을 지금과 관련짓거나 또는 뒤늦게 감지하는 신체 감각들로부터의 인지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단지 움직임만이, 움직이지 않는 움직임. 천천히 이동하는 무대에서 홀연히 그녀는 존재한다. 그녀가 존재한다는 것은 ..
-
제11회 서울 국제 즉흥춤축제 리뷰, 16일 그룹 컨택 즉흥REVIEW/Dance 2011. 5. 14. 07:40
▲ 에오시 무용단의 즉흥 모습 보통의 즉흥은 음악과의 에너지적 충돌과 마찰, 밀접한 관계 내지 그룹을 만드는 가운데 영향의 주고받음으로 관계, 두 축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경우가 많다. 음악이 만드는 내러티브, 리듬, 에너지 층위는 무대 전체로 확대되고 이 영향권 아래서 움직임 또한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다. 다만 이것이 시작 지점에서 동기와 이야기를 전한다면 이후 움직임에 그것이 덧입혀지는 측면도 크고, 이는 어차피 음악의 영향권 아래 움직임이 영향을 받고 있음을 뜻하면서 동시에 시선의 영향권까지 확대되는 것을 의미한다면 움직임은 그것을 전복하고 때로 침묵하며 축을 새로 틂으로써 음악의 양상을 변화시킨다. 즉흥은 의외로 탈코드의 탈주 전략을 일관되게 펼치는 것만이 아닌 코드를 쌓아 가는 코드의 방향 전환..